• 제목/요약/키워드: Goodyer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로젯사철란(Goodyera rosulacea: Orchidaceae)의 분류학적 위치: ITS와 trnL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적 증거 (Taxonomic status of Goodyera rosulacea (Orchidaceae): molecular evidence based on ITS and trnL sequences)

  • 이창숙;엄상미;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9-207
    • /
    • 2006
  • 로젯사철란(G. rosulacea Y. Lee)은 애기사철란과 유사하나 로젯트형의 잎, 짧은 땅속줄기와 서식지 등의 특징에 의해 한국산 사철란속(Goodyera R. Br.) 내의 신종으로 기재된 바 있다. 로젯사철란의 분류군의 실체와 근연종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군외군을 포함한 24개의 사철난속 식물을 대상으로 핵 리보좀(ribosomal)의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와 엽록체 DNA의 trnL 구간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류군의 실체와 근연종간의 유연관계는 정렬된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최대절약분석(Maximum parsimony analysis)와 근연결합법(Neibour Joining method)에 의한 계통수 및 고유 표지유전자 여부로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로젯사철란은 다수의 고유한 표지유전자를 가지며, ITS와 trnL 계통수에서 모두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로젯사철란과 한국산 사철란속 내 각 분류군간의 유전적 거리(pairwise distance)는 ITS에서 3.49-6.68, trnL에서 5.05-9.53으로서 독립된 종으로 간주하기에 무리가 없었다. 따라서 분자적 결과는 로젯사철란을 사철란속내 독립된 종으로 처리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계통수에서 로젯사철란은 형태적으로 유사한 애기사철란(G. repens)과 동일한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유전적 거리도 조사한 분류군들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므로 가장 가까운 근연분류군임을 나타내었다.

신분류군 탐라사철란(난과) (A New Taxon of Goodyera (Orchidaceae): G. × tamnaensis)

  • 이창숙;여성희;이경서;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1-254
    • /
    • 2010
  • 제주도에서 발견된 사철란(난과)속의 신분류군을 정기준표본에 근거한 분류군 기재, 해부도 및 서식지에서의 식물사진을 제시하여 탐라사철란(Goodyera ${\times}$ tamnaensis N.S. Lee, K.S. Lee, S.H. Yeau & C.S. Lee, sp. nov.)으로 신종 처리하였다. 탐라사철란은 잎맥, 잎 표면무늬와 잎의 표피세포 형태, 잎, 꽃과 포의 색, 곁 꽃받침의 모양, 털의 길이 등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철란과 흰줄사철란(털사철란)의 교배종으로 추정된다.

단양 석문봉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in Seokmun-bong, Danyang)

  • 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92
    • /
    • 2013
  • The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in Seokmun-bong, Danyang were listed 222 taxa (4.5%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67 families, 150 genera, 163 species, 2 subspecies, 43 varieties and 14 forms. Limestone plants, 29 taxa; Asplenium rutamuraria, Celtis koraiensis, Goodyera coreana, etc. So, Based on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endangered wild plants II, were recorded; Thalictrum coreanum (EN) and rare plants, 8 taxa; Thuja orientalis (LC), Exochorda serratifolia var. serratifolia (LC), Diarthron linifolium (EN), Bupleurum falcatum (VU), Lithospermum erythrorhizon (LC), Dracocephalum argunense (EN), Polygonatum robustum (EN), etc. and endemic plants, 3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Planted plant),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sperula lasiantha,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29 taxa; Thalictrum coreanum in class V, 7 taxa (Neillia uyekii for. uyekii, Prunus sibirica, Abelia coreana, etc.) in class IV, 8 taxa (Spiraea trichocarpa, Polygala tatarinowi, Asparagus oligoclonos, etc.) in class III, 2 taxa (Potentilla dickinsii var. dickinsii, Weigela florida) in class II, 11 taxa (Morus cathayana,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Zizyphus jujuba var. jujub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10 taxa (Robinia pseudoacacia, Oenothera biennis, Festuca arundinacea, etc.), naturalization rate (NR) was 4.5% of all 222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3.1%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속리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망개나무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of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 오현경;김영하;윤상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in Sadam-ri and Gallon valley)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vascular plant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3 taxa including 82 families, 182 genera, 236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6 forms. Woody plants were identified as 124 taxa (45.4%) and herbaceous plants as 149 taxa (54.6%). A total of 107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Sadam-ri, and 246 taxa were found in the Gallon valley. A total of 8 taxa of rare plants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was divided into 1 taxa of endangered (EN;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3 taxa of vulnerable (VU; Paeonia japonica,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Iris minutiaurea), 3 taxa of least concern (LC; Aristolochia contorta,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and 1 taxa of data deficient (DD; Alangium platanifoli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tax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ster koraiensis, Cirsium setidens, etc.).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4 taxa, a degree I were 17 taxa (Chloranthus japonicus, Celastrus stephanotifolius, etc.), 9 taxa of a degree II (Euonymus pauciflorus, Acer triflorum, etc.), 4 taxa of a degree III (Aconitum longecassidatum, Angelica gigas, etc.), 2 taxa of a degree IV (Ulmus macrocarpa and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2 taxa of a degree V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Alangium platanifolium).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Trifolium repens, Ailanthus altissima, Oenothera biennis, Erigeron annuus. Naturalization rate (NR) was 1.8% of all 273 taxa of vascular plants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not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ra that grows in the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the future.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3-644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listed 227 taxa; 71 families, 148 genera, 196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forms, Among them, trees and herbs were 103 taxa (45.4%), 124 taxa (54.6%), respectively. The rare plants were identified 6 taxa such as Paeonia obovata (Legal protection species),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Lilium distichum, Lilium callosum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8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seudostellaria multiflora, Thalictrum uchiyamai, Indigofera korean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nd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and Lilium callosum.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9.3%); Paeonia obovata in class V, 5 taxa (Betula davurica, 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Phaenosperma globosa) in class III, 4 taxa (Viola orientalis, Acanthopanax chiisanensis, Ostericum melanotilingia, Lilium distichum) in class II and 11 taxa (Cephalotaxus koreana, Betula schmidtii, Quercus variabilis, Aphananthe aspera, Ilex macropoda, Meliosma oldhamii, Tilia amurensis, Lilium callosum, Erythronium japonicum, Polygonatum inflatum, Hosta capitata) in class I. It is important that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ll be needed fo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As well, a long time of monitering and systematical management counterplan will be required.

소흑산도(小黑山島)와 홍도(紅島)의 식물자원(植物資源) 조사(調査) (Investigation of Vegetation in Soheuksan-do and Hong-do)

  • 이종석;김일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45-148
    • /
    • 1978
  • 우리나라의 최남서단(最南西端)에 위치(位置)하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신안군(新案郡) 흑산면(黑山面)에 속(屬)하는 소흑산도(小黑山島)와 홍도(紅島)의 식물자원(植物資源)을 조사(調査)하였다. 소흑산도(小黑山島)의 식물상(植物相)은 매우 다양(多樣)하였으며, 이중 출현빈도(出現頻度)가 많고 관상식물(觀賞植物)로도 개발(開發) 가능(可能)한 27과(科) 54종(種)을 보고(報告)하였다. 그중 난과식물(蘭科植物)은 새우난(Calanthe discolor)등(等) 8종(種)이었다. 홍도(紅島)의 식물상(植物相)은 소흑산도(小黑山島)와 매우 유사(類似)하였으나 덜 풍부(豊富)해 보였으며, 아직 미기록(未記錄)된 1종(種)을 추가보고(追加報告)하였다. 풍란(風蘭), 석곡 등(等) 기호도(嗜好度)가 높은 관상식물(觀賞植物)은 이미 절종상태(絶種狀態)에 이르고 있어 이의 보호(保護)가 절실(切實)히 요청(要請)되었다.

  • PDF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Ohdo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Hapcheon-gun)

  • 김태운;서장미;박유진;문현식;강미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39-151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식물상 분석을 통해 생태적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자연휴양림의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전체 식물상은 86과 192속 255종 3아종 32변종 6품종 등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종/속 비율은 1.5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진범, 은꿩의다리, 흰괭이눈, 참갈퀴덩굴 등 총 10분류군이 나타났고, 희귀식물은 세뿔투구꽃, 주목, 히어리, 사철란 등 총 6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분류군으로 IV등급이 5분류군, III등급이 6분류군, II등급이 7분류군, I등급이 11분류군이 나타났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총 42분류군이 나타났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식재종인 구상나무, 세뿔투구꽃을 포함하여 총 4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가죽나무, 망초 등 총 11분류군이 나타났다.

홍도 관속식물상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vascular plants on Hongdo Island, Korea)

  • 장영종;박종수;이진실;이지연;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5-249
    • /
    • 2021
  •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홍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과거 홍도 식물상 연구들에서 수집된 표본 검토와 함께, 본인들이 2003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과거에 채집된 것과 금번조사 표본을 종합검토한 결과, 홍도의 관속식물은 102과 296속 425종 6아종 41변종으로 총 47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중 111 분류군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6분류군의 형태적 특징과 생육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 및 재동정된 29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주석을 기술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붉은사철란, 수정목, 신안새우난초, 홍도원추리 등 4분류군은 홍도가 국내에서 분포 북한계지임이 밝혀졌다. 한편 흑산도비비추와 홍도서덜취의 분포는 국내에서 홍도와 인근 섬에만 분포가 한정되었다. 이들에 대한 분포도를 기재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I급에 나도풍란과 풍란 2분류군, II급에 대흥란, 새깃아재비, 석곡, 신안새우난초, 혹난초 등 5분류군으로 총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발간한 적색자료집에 따른 희귀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40분류군이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