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and evil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2초

루이 라벨의 '악의 현존과 고통'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 그리고 그 한계 - 『악과 고통들』을 중심으로 -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Louis Lavelle for the Presence of Evil and Pain,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evil and suffering -)

  • 이명곤
    • 철학연구
    • /
    • 제146권
    • /
    • pp.163-192
    • /
    • 2018
  • 루이라벨의 사상에서는 현대철학에서 거의 다루지 않고 있는 '선과 악'에 대한 주제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의 사유에서 악의 개념은 '악이란 존재의 부족'이라는 스콜라철학의 소극적인 규정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세계에 현존하는 악이란 '삶과 가치'를 파괴하는 의지적인 힘으로, 즉 도덕적인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 규정하고 있다. '악의 현존(la $pr{\acute{e}}sence$ du mal)'을 '세계의 스캔들(le scandale du monde)'로서 규정하는 그의 사유에는 모든 인간이 의지의 태도로서의 악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세계와 인간사회에서의 악의 현존은 필연적인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반면 악의 결과가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으로서 나타나기에, 고통을 거부하고자 하는 인간의 '고통에 대한 태도'는 이러한 악을 극복하고자 하는 도덕적인 의지를 유발하게 한다. 악의 현존 앞에서 가지게 되는 '내적인 고통'인 '도덕적인 고뇌'는 그 자체 '도덕적인 존재'가 된다는 의식을 가지게 하고 여기서 자기만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비록 고통스럽지만 도덕적인 존재가 됨에 대한 자기만족과 행복감은 인간이 악의 현존에 맞서 이를 초극할 수 있는 유일한 계기이자 동기이다. 즉 라벨의 선과 악에 대한 사유는 '도덕 심리주의'에 기초해 있으며, 고통에 대한 거부와 도덕적 고뇌에 있어서의 '심리적 지평과 윤리적 지평의 일치'가 인간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악을 극복하고 선을 산출하도록 한다는 '윤리적 낙관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는 분명 스콜라 철학의 발전된 현대적인 적용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또한 '악을 유발하는 의지의 태도에 대한 구체적 양태의 분석', '사회 속에 현존하는 악의 구체적인 양태들' 그리고 이러한 악을 초극할 수 있는 '의지적인 노력의 다양한 양상' 등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구체성의 부족은 선과 악에 관한 라벨의 사유가 여전히 소극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The Philosophy of Good and Evil Engraved on Roof - End Tiles - A Contempl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 윤병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4-23
    • /
    • 2020
  • 본 소고(小考)는 우리의 문화재인 수막새의 보편적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특히 "신라의 미소" 수막새의 존재론적 의미 해석에 천착해 본다. 또 여기서 읽는 선악의 문제를 철학의 보편적 문제와 결부시켜 고찰해 본다. 선-악의 문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삶과 역사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철학과 윤리 및 종교의 주제임에 틀림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도 간과할 수 없는 심층 문제다. 중세의 교부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악의 근원에 대해 깊이 천착했으며 나름대로 그 물음에 응답했지만, 결코 그 문제 해결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보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말하자면 악의 근원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은 늘 열려있는 것이다. 셸링도 악의 근원 문제에 골몰했는데, 그는 이것이 "인간의 자유의지(menschliche Freiheit)"와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타진하였다. 그러나 니체는 소크라테스와 기독교로부터 전승된 도덕을 "낙타의 도덕"이라고 폄하하면서 "선악의 피안(Jenseits vom Gut und Böse)"에 거주할 것을 주장한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선악이 우리의 손에 잡히든 혹은 잡히지 않든 "즉자-존재(an-sich-sein)"의 형식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선악 사이의 싸움은 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 및 인간의 운명과 철저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피안적인 것이라고 하기 보다는 차안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차안적인 선악 사이의 끝없는 싸움은 인도 사상과 종교의 영향을 받은 발리의 "바롱댄스"에도 잘 드러난다. 우리에게 전승된 얼굴무늬수막새도 다른 종류의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기왓골 끝을 단단하게 마감하는 건축학적 의미를 지닌 장식적 의미도 갖지만, 수호와 벽사(辟邪)의 의미도 갖고 있다. 벽사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악이 곧 이 세상에 엄존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불가항력적인 악의 존재에 대처하는 여러 민속적인 방식들을 타진해보고, 특히 악에 대처하는 얼굴무늬수막새인 "신라의 미소"를 통해 악귀에 대응하는 신라인들의 기상천외한 창조적 발상을 고찰해본다.

디오니소스적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선악 표현 : 3D 애니메이션 <빅 히어로>를 중심으로 (Expression of Good and Evil in Animation Film from a Perspective of Dionysian : Focusing on , a 3D Animation Film)

  • 안세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31-55
    • /
    • 2015
  • 이 논문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기존의 이분법적 선악구도를 벗어나 진일보하고 있는 선악 표현에 주목하고 이를 밝히는데 있다. 3D 애니메이션 영화는 놀라운 기술력으로 우리에게 현실 같은 실재감을 제공하고 있지만 담겨 있는 이야기는 가족영화의 한계에 머무른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게 하는 시나리오로 그 한계를 넘어서는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권선징악의 의미를 디오니소스적 긍정 차원으로 확장한 <빅 히어로>에서의 선악표현을 유의미하게 보고 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작품에서 기존 관점의 경계를 허물고 긍정적 극복을 추구하는데 선악의 가치를 두고 있는 측면을 면밀하게 들여다보고 논의하였다. 논의를 위한 개념의 틀은 선악의 의미를 디오니소스적으로 해명한 니체를 중심으로 칸트, 헤겔의 철학적 진술을 차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으로 관련된 개념들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작품에 나타나 있는 선악 표현에 대입하여 사례 제시와 함께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상 세계로서의 애니메이션 영화가 우리의 현실 세계에서 사고 전환의 지평을 여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향후 행보를 기대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진사탁(陳士鐸)의 『변증록(辨證錄)』 처방(處方) 연구(硏究) - 비증(痹症)을 중심으로 - (Study on Bi-jeung Prescriptions in Byunjeungrok)

  • 성시열;국윤범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64
    • /
    • 2014
  • Objectives : Bi-jeung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al name. Bi-jeung is similar to rheumatoid arthritis(RA).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get the practical use of Bi-jeung prescriptions in Byunjeungrok. Methods: Original records related Bi-jeung in Byunjeungrok are interpreted and contemplated. Results: Bi-jeung prescriptions in Byunjeungrok are put stress on Byunjeung in conformity with entrails good energy enforcing as well as evil energy eliminating removing damp-evil among wind-evil cold-evil and damp-evil showing concrete prognosis.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Bi-jeung prescriptions in Byunjeungrok have an influences for RA. It may also suggest that Bi-jeung prescriptions may expand therapy field for treatment of RA. and its complications.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에 나타난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 선과 악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the Musical Jekyll and Hyde - Focusing on the Nature of Good and Evil -)

  • 범서희;이인성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45-57
    • /
    • 2010
  • The costume in musical is an important visual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level of stage completion by for the character and overall atmosphere of the whole play. Besides, as if it is has a fixed times in the drama, it has to produce to consider an opinion of producer to express the theme, atmosphere of a play and especially in the period adventure drama, to revive as it is historical dress, there is not creation at stage of today. This research is studied into the stage costume of the musical 'Jekyll and Hyde' an adapted to express image of good and evil in the one character. For this research, it researched costume of Victoria period in England, study character of main actor by analysis of the play in an original work, examine the stage costume of the musical 'Jekyll and Hyde' perform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the musical stage costume, by character difficult of stage costume, factor of design feature divided to good and evil and compare feature design of stage costume, research new design express method to consider musical acting, moreover through designing and producing the costume to be suitable for the content of the work. This research consists of research and actual production of work,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collection and analysis of overseas performances, news releases, video material and internet research were the methods of this study.

서양 악의 상징물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A Study of Formativeness in the Western Symbolic Icons of Evil)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27-135
    • /
    • 2018
  • 인간은 선과 악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면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은 악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악을 형상화하여 조형적 요소로 악의 상징물을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악의 개념부터 인간이 가지고 있는 악에 본질이 상징물로 표현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형성에 관하여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조형성의 분류 항목을 구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구성유형에서는 문자보다는 그림 또는 기호로 표현되었으며, 표현대상에서는 신화 속 인물과 동물의 형태로 나타났다. 레이아웃에서는 방사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묘사방법에서는 단순성과 복잡성의 형태로 외곽형태는 원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구성유형의 항목들이 높은 점수를 보인 상징물은 서로간의 조형적인 상관관계로 그려지고 사용되었으며, 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xamining Hegemony, Ideology, and Class in Mani Ratnam's Raavanan (2010)

  • Ilaiya Barathi Panneerselvam;Adrian Lee Yuen Beng
    • 수완나부미
    • /
    • 제15권1호
    • /
    • pp.181-203
    • /
    • 2023
  • Cultures often adopt the good versus evil dichotomy within their narratives of religious texts, aural anecdotes, and cultural mythologies. The Ramayana narrates a divine story that transcends time of the battle between the forces of good and evil, between Prince Rama and Ravana. Numerously adapted through time, the Ramayana is today told through moving visuals and has been adapted by Mani Ratnam through Raavanan (2010). Raavanan is adapted to the premise of hero versus villain using the good versus evil premise as Dev Prakash (Rama) searches to rescue his wife Raagini (Sita), who is abducted by Veeraiya (Ravana). The film, however, departs from the Ramayana as Raavanan is told through the perspective of Veeraiya. In the film, Veeraiya is portrayed as a flawed anti-hero who battles against injustice instead of being the antagonist. He seeks revenge for his sister and stands up against the oppression of his tribe. In this battle, he questions ideological understandings of justice and morality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interpellated within society. This paper discusses how Mani Ratnam, through the film Raavanan, contests hegemony, ideology, and class differences within modern cinema and society alongside the more significant question surrounding India's sociocultural conditions.

이제마의 양생론에 대한 이해 - 도교서적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 Focusing on Taoist Books)

  • 최성운;황지혜;박은주;김남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3-107
    • /
    • 2019
  • Objective : We compare the nurturing theories of Between the Nurturing Theory of Dogyogwonseonseo(道敎勸善書)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Gyeongsinrokeonseok(敬信錄諺釋), Taisanggauempyeondosul(太上感應篇圖說) and Guahwajonsin(過化存神) vs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of Lee-Jema. And the influences that Dogyogwonseonseo had on Nurturing Theory of Lee-Jema. Method : We sort out the identical or similar vocabularies and abstract the important concepts from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and two kinds of Lee-Jema's books mentioned above and compare them respectively. The prehistories of vocabularies and concepts needed such as Bok(福, good fortune) and Su (壽, longevity) will be traced. And the synchronic understanding needed such as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in late Choseon dynasty will be surveyed by investigating the controversy of the time. Results :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was influenced by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mentioned above. We can ascertain the influence from Lee-Jema's Concept of Myeong(命), Nurturing Life through everyday lif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deceiving mind(詐心), betraying mind(欺負心) and the jealousy of Man and Woman. Conclusion : The influences Dogyogwonseonseo had on Lee-Jema's nurturing theory were key concept words such as Myeong(命), the ways of thinking lik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and vocabularies such as deceiving mind(詐心).

<거울속으로>와 <미러>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d )

  • 이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45-250
    • /
    • 2023
  • 이 논문은 국내 영화 <거울속으로>와 리메이크인 <미러>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두 영화는 거울에 반사된 이미지와 실제와의 차이를 부각시키는 21세기 초 국내 영화의 경향을 예시한다. 기본적인 설정과 플롯에는 유사성이 있지만, 내러티브를 이끌어가는 동기 등에서 주요한 차이점들이 있다. <거울속으로>는 원혼설화의 서사전통을 따르는데, 권선징악의 구도에 사회 비판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거울을 통한 악령의 사악한 작용이 지배적인 <미러>는 서양의 공포영화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이 리메이크는 동양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서사를 기독교 문화가 지배적인 서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한 방식을 예시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