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gsu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도시어촌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부산시의 어촌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ized Fishing Villages by Framework - Focus on Fishing villages in Busan City -)

  • 홍성민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1-50
    • /
    • 2013
  • One of the important point in the development of urban fishing villages is to create various alternatives providing appropriate environment of fishing villages by kee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shing vi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urban-planning alternation to main fishing villages in Busan city by adaptation of the framework analysis, by adapting differentiated strate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shing village and by having similarities of development direction the whole c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to propose against imprudent development of certain fishing villages or staying physical issues of existing plans about fishing villages. So this study is willing to visualize the frame of village and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after analyzing the 6 fishing villages(Songjeong village, Millak village, Daebyeon village, Gongsu village, Duho village, Dongam village) representing Busan city by using the five development types extracted from the type of cultural c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used the framework analysis as the visual tool of potential el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fishing villages by making frame of the most revealing cultural or environmental elements.

조선후기 전라좌수영 동헌 고찰 (A Study on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신웅주;천열홍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57-68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Buildings in Jeollajwasuyeong were completed since the mid-18th century. They formed areas based on functions and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reas. The buildings within Yeongseong included Gaeksa (guesthouse), Dongheon(government office), Hyangcheong(advisory organ), Jungyeong(military camp), Guncheong (county office), Gongbang(workroom), and Changgo(warehouse). There were also buildings for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 central part of Jeollajwasuyeong was the areas of Gaeksa and Dongheon. Gaeksa was iconic area where local governors served King and had 75 Jinnamgwan Guesthouses and 3 inner gates. Those were measured off by separate walls. The Dongheon area was located in the northeast of Gaeksa. There were three gates such as Wanyeongru, Gongsamun, and Jeongbyeonmun at the entry area, which were also divided by walls like Gaeksa. Unjuheon (Dongheon) was at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Gyeolseungdang, Mugwonjae, Naea, Chaekbang, and Gongsu were built. Outside the area, Baekwadang(used as Bijangcheong), Jinhyulgo, and Byeonggo were composed of part of the Dongheon area. Most of the buildings in Dongheon seemed to be repaired since 1664. It was difficult to locate the area of previous Dongheon. In particular, Jinnamgwan was first built in 1599 and destroyed by fire in 1716. In 1718, the building was reconstructed and shared historic denominator with Unjuheon before 1858 and reconstructed Unjuheon in 1869. It was found that Unjuheon was reconstructed more than at least three times, which was the central building in Dongheon. The buildings including Gyeolseungdang, Mugwonjae, and Baekwadang in the area were not existed within Jeollajwasuyeong and were reconstructed more than once and maintained until the early 1900s.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in the Spring at Gijang-gun, Busan)

  • 정승욱;최창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85
    • /
    • 2020
  • 본 연구는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 갈조류 18종(14.9 %), 홍조류 90종(74.4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 g·m-2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 g·m-2, 조하대 1,869.4 g·m-2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 g·m-2, 공수 1,228.1 g·m-2, 대변 1,044.4 g·m-2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 ~ '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안정주지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어항(송정항, 구덕포항, 공수항)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Settlements -Focused on the Fishery Ports(Songjeong, Gudeokpo, Gongsu) in Busan-)

  • 권도헌;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70-1777
    • /
    • 2014
  • 연안정주지에는 다양한 유 무형의 지역자산이 있으며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곳이다. 연안정주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역자산에 대한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첨예한 주민에 대한 고려 또한 미흡하다. 그 지역의 상황과 주민의 요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안정주지를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연안정주지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부문을 함께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연안정주지 개발은 지역주민의 소외와 갈등, 그리고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 상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연안정주지의 구성요소 및 유형을 구분하여 부산지역 어항(漁港) 일대의 연안정주지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연안정주지의 공간적 물리적 재생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환경을 포함한 지역 문화(전통성과 지역성) 보존,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강화 등을 포함한 통합적 재생의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며, 연안정주지의 매력과 경쟁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