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shap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II. 난발생과 유생의 발달 (Studies on the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Geoduck Clam, Panope japonica II.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 이채성;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2
    • /
    • 1997
  •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성숙된 모패를 절개법에 의하여 인공수정시켜 난 발생 및 유생의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끼리조개의 난은 분리침성란으로 나타났으며, 방란직후 알의 모양은 타원형이나 수정이 되면 직경 $70\mu$m의 구형으로 된다. 수정난의 발생은$ 11^{citc}C$에서 4시간 후 4세포기로 되고, 2일이 지나면 담륜자 유생(trochophore larvae), 수정 후 3일째에는 D상 유생, 23일째에는 각정기, 36일째에는 성숙유생으로 되었다. 수온(w)에 따른 각 단계별 소요시간(t)의 관계를 보면, 8세포 : 1/t=0.0209 w-0.1167 (r=0.9967) 포배기 : 1/t=0.0055 w-0.0192 (r=0.9825) 담륜자기 : 1/t=0.0034 w-0.0155 (r=0.9907) D상 유생기 : 1/t=0.0014 w-0.0023 (r=0.9843) 상기 식에서 산출된 코끼리조개의 생물학적 기초수온은 3.82$^{\circ}C$였다.

  • PDF

실내에서 사육한 동갈돗돔, Hapalogenys nitens의 생식소 성숙, 포란수 및 생식잠재력 (Gonadal Maturation, Fecundity and Reproductive Potential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 강희웅;조재권;손맹현;홍창기;박종연;김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90-997
    • /
    • 2015
  • The condition factor (CF) were calculated by the morphometric data, and gonadal maturation and reproductive potential associated with fecundities of indoor cultured Hapalogenys nitens were investigated by microscopic and morphometric analysis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Monthly changes in the GSI and CF were closely related to gonadal maturation and spawning. The ovary consisted of a pair of saccular structure with many ovarian lobules, the testis is a pair of lobular structure with many testicular lobu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fecundity (F) and total length (TL) of fish was expressed as $F=0.0449TL^{2.7926}$($r^2=0.0653$), and body weight (BW) was expressed as $F=1.4492BW^{0.8964}$($r^2=0.0863$). In this study, some exceptional special cases and phenomena were observed: absolute and relative fecundities were not increased with the increases of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respectively. Absolute and relative fecundities were no concerned with the increases of age classes of total length (cm) and of body weight (g).

한국 서해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의 생식과 초기 생활사 (Reproduction and Early Life History of Gunnel, Pholis fangi in the Yellow Sea off Korea)

  • 황선도;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8
    • /
    • 2001
  •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의 초기 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한국 서해의 대천 연안에서 1988년 3월에서 6월 사이와 1989년 2월에 흰베도라치 치어를 채집하였다. 성장에 따라 외부형태 변화와 이석을 관찰, 측정함으로써 출현양상과 산란시기 및 초기성장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1998년 5월부터 1999년 11월 사이에 매월 대천 해역에서 채집된 흰베도라치의 생식소 관찰로 산란기를 추정하였다. 2월에는 흰베도라치 치어가 천수만 안팎에서 넓게 분포하였다. 3월에서 4월 사이에 만 안쪽에서 주로 출현하였고, 5월에는 만밖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6월 이후에는 본 연구 해역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았다. 이석은 초기에 둥근 모양에서 체장이 30~40 mm 정도 성장하면 타원형으로 변하며, 일륜으로 볼 수 있는 미세 성장선이 나타났다. 또한, 핵으로부터 30개의 미세성장선 이후에 깊게 파인 불연속선이 나타나는데, 체장 10 mm 이하의 자어 형태에서는 성장 정지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불연속선은 연안측으로 회유하는 동안에 신진대사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흰베도라치의 초기성장은 다음과 같은 Gomertz식 TL = 6.702 exp {2.925 "1-exp (-0.0076 t)"} ($r^2=0.94$, N = 92)에 의해 추산되었다. 흰베도라치 이석에 처음으로 미세 성장선이 형성된 시기는 12월에서 1월 사이로 보여지며, 흰베도라치 성어의 생식소는 10월부터 성숙하기 시작하며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주로 산란하고 1월에는 산란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흰베도라치의 부화시간은 한 달 정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주꾸미 (Octopus ocellatus) 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난소와 소화기관을 포함한 몸통부위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 정의영;김종배;김병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3
    • /
    • 2004
  • Gonadosomatic index, condition index and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dat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0. And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from January to October, 2001.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at the coastal waters of Buan, Jeollabuk-do, Korea,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01. O. ocellatus is a dioecious organism. The gonad of O. ocellatus locates medially in posterior region of the body. Morphology of the ovary shows round and oval in shape, the average diameter and external colour of ripe ovary was 32 mm and semitransparent light brown in colour. As the ovary was getting mature, transparent elongated eggs covered with chorion were present in the ovarian cavity.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those of the condition index. The GSI and condition index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their values decreased from May and reached the minimum in September. Reproductive cycle of O. ocellatu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developing stage (September to December), late developing stage (November to March), ripe stage (March to May), partially spawned stage (April to June), and degenerative/resting stage (June to October). Follicle cells attached to an oocyte were involved in vitellogenesis in the cytoplasm of the vitellogeneic oocyte and formation of chorion (secondary egg membrane) of the ovarian eggs. Spawning occurred between April and June.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and the peak took place between May and June. This species belongs to semelparity. According to changes in biochemical contents of the ovary and the digestive organ, monthly variations of moisture, total protein, total lipid and glycogen contents (%) in the ovar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those of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ovary only may be received nutrient supply (total lipid content) for gonadal development from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r = -0.55, p < 0.05).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번식량 측정 및 유생발달에 관한 연구 (Quantification of Reproductive Effort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 이희중;강현실;박경일;;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번식량 및 유생발생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정란 및 유생을 21일 간 실내사육수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바지락은 2011년 8월 제주시 김녕에서 채집 실험 수조로 옮겨졌으며, 다음날 자연적인 방란 방정이 관측되었다. 바지락 수정란은 19시간의 배 발생과정을 거쳐 21일 후 포복피면자유생(pediveliger) 으로 발달하였다.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바지락의 생식소를 관찰한 결과, 방란, 방정 전 모든 개체는 성적으로 완숙한 상태였고, 산란 후 모든 개체에서 부분산란이 관찰되었다. 효소면역학적 방법 (ELISA) 에 의한 번식량 측정 결과, 암컷 바지락의 생식소 지수는 (GSI) 산란 전 28.6%에서 산란 후 17.3%로 11.3% 감소하였으며, 추정된 포란수는 6,998,658 eggs였다. 이 연구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바지락 유생 발달 및 번식량은 향후 바지락 인공종묘 산업 및 바지락 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Bacciger harengulae)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9-470
    • /
    • 1984
  •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1980년 7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맛조개(Solen strictus)의 생식소에 기생한 Bacciger 속 cercaria의 생활사를 구명하고자 sporocyst 및 cercaria의 형태와 발육과정, 기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이중간숙주 및 종숙주를 실험실에서 인공감염실험과 함께 내초도자연환경구에서 조사하여 metacercaria와 성충의 발육과정을 조사 연구한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바 없는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가 구명되었다. Bacciger harengulae는 맛조개, 대합, 바지락, 띠조개가 제일중간숙주이고, 밀새우를 제이중간숙주로 하며, 종숙주는 전어, 밴댕이로 밝혀졌다. 맛조개의 생식소에 기생된 성숙한 sporocyst의 크기는 $4.0{\sim}4.3{\times}0.20{\sim}0.21$ mm이고, cercaria는 체부 $270{\times}147{\mu}m$, 미부 $270{\times}147{\mu}m$의 크기로서 꼬리 양측에 27쌍의 강모속과 1개의 강미속은 6본의 가닥으로 되어있다. cercaria의 체내에는 구흡반($52{\times}42{\mu}m$), 인두($32{\times}25{\mu}m$), 복흡반($52{\times}50{\mu}m$)과 2 개의 정소와 V자형의 배설낭이 뚜렷이 나타나며, 화염세포식은 2[(3+3)+(3+3)]=24이다. 3년에 걸쳐 맛조개에 기생하고 있는 cercaria의 평균 기생률은 $9.67\%$ 였는데, 이것은 수온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연중기생된다. 기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수온 $28.8^{\circ}C$인 7월($28.0\%$)이고, 가장 낮은 시기는 수온 $19.5^{\circ}C$인 10월($2.4\%$)이었다. 맛조개의 cercaria 기생률은 각장이 클수록 높았으며, 4.0cm 이하에서는 cercaria가 검출되지 않았다. cercaria가 성숙되는 시기는 년중 수온이 $19.5^{\circ}C$이상 상승하는 $5{\sim}10$월까지며, 수온 $19.5^{\circ}C$이하가 되면 미숙한 cercaria만이 검출된다. Cercaria는 수온 $20^{\circ}C$에서 35시간, $25^{\circ}C$에서는 29시간까지 활력이 있었으며, 생존시간은 각각 71시간, 34시간이었으나 $20^{\circ}C$이하에서는 운동력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맛조개에서 유출된 cercaria를 밀새우에 감염시킨 결과 2{\sim}3시간후에 근육에 기생하였고, 기생한 cercaria는 $7{\sim}8$시간후에 cyst를 형성하였으며, 15일이 경과되어 $420{\times}310{\mu}m$의 성숙한 metacercaria로 발육되었다. 실험실에서 수온 $20^{\circ}C$일때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17.0\%$ 이었고, $25^{\circ}C$때는 $61.0\%$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냈으며, 감염된 부위는 제일복절, 두흉부, 제이, 삼, 오복절의 순으로 감염되었다. 내초도의 자연 서식장산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수온 $26.5^{\circ}C$인 6월에 $9.6{\sim}11.11\%$, 수온 $28{\sim}29.5^{\circ}C$인 7,8월에는 $1.56{\sim}2.50\%$의 감염률을 나타냈다. metacercaria가 감염된 밀새우를 사육중인 전어에 먹인 결과, 20일후 전어의 장에서 $440{\sim}520{\times}310{\sim}360{\mu}m$의 성충으로 발육되었고, 성숙한 충난은 $20{\sim}24{\times}11{\sim}20{\mu}m$ 크기의 타원형이었다. 실험실에서 검출한 것과 동일한 성충이 내초도의 자연산 전어, 밴댕이에서도 체장과 관계없이 $87.3{\sim}100\%$(평균 $95.2\%$) 검출되었으며, 6, 7월에는 $100\%$ 검출되나, 8, 10월에는 $87.3{\sim}88.9\%$로 그 검출률이 낮아졌다. 전어에서 발육된 성충의 크기와 내부형태를 Yamaguti(1938)가 밴댕이에서 검출한 것과 비교한바, 동일하므로 이 흡충을 Bacciger harengulae로 동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