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development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5초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Sex Differentiation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돈;노섬;장영진;백혜자;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1996
  • 조피볼락 (S. schlegeli)의 성분화 과정을 구명하기 위해 시원생식세포의 출현과 원시생식소 형성, 그리고 암${\cdot}$수의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출산후 2일, 전장 6.3mm 개체에서 장관과 중신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묻혀 식별되었다. 출산 65일 전장 $5.2\~5.9cm$ 개체에서, 생식소의 주변 부위에 강 (cavity)을 형성하고 다수의 생식원세포로 구성된 생식소는 난소로 발달한다. 이 시기에 체세포들이 곡정세관을 형성하는 생식소는 정소로 분화된다. 출산후 115일, 전장 $7.0\~7.2cm$ 치어들에서, 생식소는 흑색소를 함유하는 정소와 흑색소가 없는 난소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피볼락은 초기 성분화 단계에 자상을 거치지 않고 난소와 정소로 분화되는 분화형의 자웅이체에 속한다. 출산후 12개월된 개체들의 성비는 1 : 1이었다.

  • PDF

여자만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 김성연;신윤경;임한규;이원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2-258
    • /
    • 2008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여자만에서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채집된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새꼬막은 자웅이체로 난소는 많은 난소 소낭(oogenic follicl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소도 많은 정소 소낭(acin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식소지수(GI)는 6월에 연중 최고 값을 나타내었고, 그 후 감소하여 7월에 최저 값를 나타내었다. 비만도지수(CI)는 4월에 연중 최고 값을 보였고, 그 후 감소하여 7월에 최저 값을 보였다. 새꼬막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sim}4$월), 후기 활성기($3{\sim}6$월), 완숙기($5{\sim}8$월), 방출기($7{\sim}9$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9{\sim}3$월)의 연속적인 발달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7{\sim}8$월로 조사되었다. 암, 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Granular Ark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김성연;문태석;신윤경;박미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41
    • /
    • 2009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여자만에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꼬막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꼬막은 자웅이체로 난소는 많은 난소 소낭(oogenic follicl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소도 많은 정소 소낭(acin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식소지수(GI)는 6월에 연중 최고 값을 나타내었고, 그 후 감소하여 8월에 최저 값을 나타내었다. 비만도지수(CI)는 7월에 연중 치고 값을 보였고, 그 후 감소하여 9월에 최저를 나타냈다. 꼬막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3{\sim}5$월), 후기 활성기($4{\sim}6$월), 완숙기($5{\sim}7$월), 방출기($7{\sim}8$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9{\sim}3$월)의 연속적인 발달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7{\sim}8$월로 조사되었다. 암 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Nonylphenol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식소 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ylphenol on Gonadal Development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문순주;이치훈;나오수;김병호;이영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1호
    • /
    • pp.7-11
    • /
    • 2002
  • Effects of nonylphenol (NP) on gonadal development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NP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fry fish (during 55 to 64 days after hatching) using oral adminstration at nominal NP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150 tig/g BW Gonad before NP treatment was sexually undifferentiated as observed with mostly gonia cells. At 159 days after hatching, ovarian lamella of ovary were filled with oogonia and perinucleolus oocytes. On the other hand, testicular lobules of the testis were occupied by spermatogonia,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Histological observation of ovary and testis development was an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NP treated groups. However,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P treated groups than control groups (P< 0.05). These results considerate that NP has any effect for sex differentiation and gonadal development, but act for early growth in olive flounder.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 김연호;정의영;신문섭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55-165
    • /
    • 2007
  •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 보령시 외연도 앞바다에서 형망으로 채집된 갈색띠매물고둥(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을 대상으로 번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식소지수, 비만도지수, 생식주기, 군성숙도 및 성비를 조사하였다. 산란기를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조사한 생식소지수(GI)의 변화는 생식소 발달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생식소지수(GI)는 암, 수 모두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최대값에 이른 후 $5{\sim}8$월까지 계속 감소하였으며, $9{\sim}12$월까지 점차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 수의 생식소지수 및 비만도지수(CI)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 발단 단계 및 산란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활성기($9{\sim}10$월), 후기활성기($11{\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고, 수컷의 경우도 초기활성기($9{\sim}10$월), 후기활성기($11{\sim}2$월), 완숙기($2{\sim}6$월), 교미기($4{\sim}7$월), 회복기($7{\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은 암컷의 경우 $5{\sim}8$월 사이에 일어나며, 수컷은 $4{\sim}7$월에 교미가 일어난다. 암컷의 산란 성기는 $6{\sim}7$월이었다. 각고 $50.1{\sim}60.0\;mm$인 암, 수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각각 54.8%와 57.1%를 나타내어 군성숙도 50% 이상이었고, 각고 60.1 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100%이었다. 암, 수의 성비는 1:1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Identification and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chicken Pumilio family, Pum1 and Pum2

  • Lee, Jee-Young;Kim, Duk-Kyung;Zheng, Ying-Hui;Kim, Sun-Young;Kim, Hee-Bal;Lim, Jeong-Mook;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4-65
    • /
    • 2005
  • Pumilio 유전자는 생식 세포의 발달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러한 Pumilio family인 Pum1, Pum2 유전자를 닭에서 클로닝하여 그 Pumilio homology domain의 구조와 단백질 염기서열이 초파리, 생쥐, 인간과 유사하다는 것을 밝혔고 이를 통해 이 유전자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닭의 Pum1과 Pum2 genome 구조 역시 생쥐와 인간 Pum 유전자들의 구조와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Real-time RT-PCR 결과 닭의 배아의 여러 조직들 중 Pum1과 Pum2 유전자 모두 부화한 암컷 생식선에서의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Pum2 유전자의 경우 부화한 병아리의 생식선뿐만이 아니라 12일령의 생식선에서도 발현 수준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다른 동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닭에서도 Pumilio 유전자들이 생식선 발달에 관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 PDF

한국 및 일본의 굴 양식에 관한 연구 -억제종묘의 비교 양식- (A Comparative Study of Oyster Culture in Japan and Korea Culture of Hardened Seed Oyster)

  • 김안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3-262
    • /
    • 1990
  • 양식굴의 주요 생산지인 한국의 한산만 및 일본의 광도만산 억제종묘를 광도시 앞 바다의 이도 굴양식장에 수하양식하여 1972년 6월부터 1973년 6월까지 매월 수온$\cdot$염분등의 환경요인과 양억제 종묘에 대한 각고$\cdot$각장$\cdot$육중양$\cdot$함수율$\cdot$비만도 그리고 생식소의 발달과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1. 본 실험을 한 광도시 앞 바다의 이도 굴 양식장은 한국의 한산만 굴 양식장의 수온 및 염분에 비하여 다소 고수온$\cdot$저염분$\cdot$이었다. 2. 양억제종묘의 각고$\cdot$각장의 성장을 보면, 한산만산 억제종묘가 다소 우세하였고, 특히 육중양의 증량이 뚜렷하게 우세하였다 3. 양억제종묘의 생식소의 발달과정에 대한 관찰결과, 1972년 6월 이후 12월까지는 생식소의 변화는 큰 차가 없었으나 다음 해 생식소의 발달이 시작되는 시기인 2월 이후에는 한산만산 억제종묘의 생식소가 광도만산 억제종묘의 생식소보다 조기에 발달하였다. 종묘의 성장, 육질의 비만 및 생식소의 발달과정 등을 금후종묘 이용도의 기준으로 볼 때, 한도만산 억제종묘가 광도만산 억제종묘보다 생산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비스무스 차폐체 개발을 통한 소아 방사선검사의 피폭에 관한 연구 (Pediatric Radiation Examination by Development of Bismuth Shield Research on Radiation Exposure)

  • 김훈;김용근;김준년;위승현;박은경;채명준;백부길;김은혜;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7권3호
    • /
    • pp.205-211
    • /
    • 2024
  • 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X-ray examinations for medical examinations at hospital is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reduce radiation exposure by measuring the exposure dose received by pediatric patients and the spatial dose of the X-ray room. Dosimeters were installed in the eyeball, thyroid gland, breast, gonads and 4 directions at a distance of 30 cm, 40 cm, 50 cm from the phantom. The dose was measured ten times each,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bismuth shield under the examination conditions of the head, chest, and abdomen of pediatric patients. Under the condition of head examination, when a shielding was applied, the dose reduction rate was 68.58% for the eyeball, 72.88% for the thyroid, 84.2% for the breast, and 72.36% for the gonad. The chest examination showed reductions of 19.56% eyeball, 56.98% thyroid, 1.21% breast, and 0.68% gonad. The abdominal examination showed reduction rates of 2.6% eyeball, 10.67% thyroid, 19.85% breast, and 82.02% gonad. Spatial dose decreased by 62.25% at 30 cm, 61.16% at 40 cm, and 68.68% at 50 cm. When the bismuth shield was applied, there was a decrease in dose across all examinations, as well as a reduction in spatial dose. Continued research on the use of bismuth shields will help radiological technologists achieve their goal of dose reduction.

Gonadal Maturation and Artificial Spawning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in Komso Bay, Korea

  • Chung Ee-Yung;Hur Sung Bum;Hur Young-Baek;Lee Jung Si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08-218
    • /
    • 2001
  • We have investigated the gonad index (GI), gonadal development, reproductive cycle, first sexual maturity, sex ratio, the number of spawned eggs and spawning frequency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Komso Bay,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9. Monthly changes in the gonad index (GI) and condition index showed a similar pattern in the reproductive cycle.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between early June and early October, there was a spawning peak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 was over $20^{\circ}C$.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February to March), late active (April to May), rip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June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March).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and male clams of l5.1-20.0mm in shell length were $56.3\%$ and $60.0\%$, respectively, and $100\%$ for the clams >25. mm. The sex ratio of individuals >15.1 mm in shell length was about 1:1 $(\chi^2= 0.02,\;p>0.05)$. Number of the eggs released from each clam by the induction increased as the size of clam in terms of shell length increased. Mean number of the eggs from the second induction of the spawning was $75.35-84.30\%$ $(average\;79.81\%)$ of the number of the eggs released in the first spawning. Our data indicated that R. philippinarum in Komso Bay has one major spawning peak with over two minor spawning, and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5-17 (average 16.5) days.

  • PDF

Lectin-binding properties of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 Kim, Duk-Kyung;Seo, Sam-Youl;Lee, Eun-Young;Lee, Seul-Ki;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69-70
    • /
    • 2001
  • Lectins have great potential as to determine the alter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cell surface carbohydrates during cellular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Her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cell surface carbohydrates on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PGCs) during the migration and gonadal stages using a variety of lectins. A total of six FITC-labelled lectins from several specificity classes were used: ConA (glucose/mannose), WGA (N-acetylglucosamine), STA (N-acetylglucosamine), DBA (N-acetylgalactosamine/galactose), UEA-I (fucose) and PHA-E (oilgosaccharide). As a results, PGC-specific binding was observed in STA. PGCs of migration stage (2.5- and 5.5-day embyos) were STA-positive whereas PGCs of 10-day embryonic gonad were not. The results suggest that N-acetylglucosamine residuse are present specifically in migrating chicken PGCs and changes during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