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gi membran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금붕어(Carassius auratus L.) 체표 분비세포에 관한 연구 (Integumental Secretory Cells in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 정연경;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1호
    • /
    • pp.1-10
    • /
    • 1994
  • The integumental secretory structure is exocrine unicellular gland located in the epidermis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ucous and granular cells. By the histochemical studies of integumental secretions the mucos cells reacted for acidic polysaccharides, and the granular cells for neutral glycoprotein.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the secretion the integumental mucous are gradually sulphated. The mucous cells are typical form of goblet cell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pidermis, and membrane bounded vesicles of the mucous are observed several size and electron densities by the cellular differentiation. The granular cells in middle and lower epidermis are present syncitial forms occasionally, and contain electron dense granules sized $1.0{\mu}m$ which are accumulated in cytoplasmic process held the cells to the basal lamina. The precursors of the integumental secretory materials are originated from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next transported through the Golgi apparatus as a form of membrane bounded vesicles. After accomplish this process mature secretions are extruded to integumental surface by the mechanism of merocrine secretion in response to nerve stimulations respectively.

  • PDF

방사선 조사가 흰쥐의 Paneth 세포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y study on the change of Paneth cells of rat after irradiation)

  • 김정삼;정지숙;정경아;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2호
    • /
    • pp.20-28
    • /
    • 1995
  • This study observes the change of small intestine mucosa paneth cell by changing the amount of radiation to rat. It uses the rat(Wistar) of 250-300g as the experimental animal and irradiation equipment is Gammacell 3000Elan System. and the irradiation is conducted for 500Rad group for 34sec., 1000rad for 68sec., and 1500Rad for 102sec. once on the whole body of each group, eachgroup is anesthetized with ether after 24hours. its small intestine is extrated and then it i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ic microscop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 1. 500 Rad Group The Slightly elongated form of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re observed in 500 Rad group. 2. 1000 Rad Group Golgi apparatus is appeared as the extended plasmodium, secretory granules exist only external membrane due to the self-fusion, the number of mitochondria that are changed as L-type are reduc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s distributed with the expanded form. 3. 1500 Rad Group The number of Golgi apparatus and granules is remarkably reduced, mitochondria is changed into C-type and free ribosomes can be observed instead of the reduction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 PDF

Ethionine 투여로 인한 소장흡수상피세포의 소포체변화 (Changes of Endoplasmic Reticulum of Rat Intestinal Epithelium Induced by Ethionine Feeding)

  • 김풍택;손태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3권1호
    • /
    • pp.17-22
    • /
    • 1973
  • 흰쥐를 실험 동물로 하여 기본식에 0.5% 가 되도록 DL- ethionine 을 첨가하여 1 주 내지 4 주간 사육하고 회장 흡수상피세포의 소포체를 중심으로 하여 이와 관련있는 소기관들의 변화를 관찰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ER 에 있어서는 attached ribosome 의 탈락과 그 내강의 확장을 free ribosome 에 있어서는 poly- some 의 감소와 monosome 의 증 가를, Golgi complex 에 있어서는 확장을, 그리고 sER에 있어서도 그 내강의 확장 등이 주적인 변화였다. 이 변화들은 ethionine 투여후 2 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점차로 성하여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의 연구 성적으로 보아 ethionine 을 투여하면 회장 흡수상피세포에 있어서도 간장이나 취장에서와 같이 단백 합성에 관하여는 소기관들에 주로 변화가 일어난다고 믿어진다.

  • PDF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Boulenger)皮膚 黃色素細胞(Xanthophore)의 分化에 관한 硏究 (The Cutaneous Xanthophore Differentiation in Bombina orientalis)

  • 문명진;김우갑;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1-271
    • /
    • 1986
  •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Boulenger)背皮의 청록색 발현에 관여하는 黃色素細胞(xanthophore)의 분화과정을 광학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체의 개구리에서 관찰되는 황색소세포는 pterinosome과 carotenoid vesicle등 2가지 색소과립을 함유하고 있으며, 진피의 다른 색소세포들과 複合體를 이루어 기저막을 따라 길게 세포질의 돌기를 뻗고 있었다. 최초의 황생소세포는 幼生期의 섭식시기를 전후하여 진피층에 나타나는 rER이 풍부한 세포와 Golgi complex가 풍부한 세포로부터 發生, 分化하며 변태의 각 단계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색소과립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변태가 완료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pterinosnme의 급격한 증가현상이, 그리고 동면기 이후에는 carotenoid vesicle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들 색소과립은 분화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고양이 담창구 (Globus Pallidus)의 신경원과 연접기구에 대한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Neurons and Synaptic Organization in Pallidum of the Cat)

  • Park, W.B.;C.Y. Y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7-123
    • /
    • 1983
  • The globus pallidus of normal cats were prepared for electron microscopic study following perfusion with a mixture of 1% paraformaldehyde and 1% glutaraldehyde solution. Neurons of two size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1 $\\mu$m araldite sections and their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adjacent thin section. 1. Large neurons ($30 \\mum \\times 45 \\mum$ in diameter) had extensive areas of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m, abundant perinuclear Golgi complex, numerous mitochondria and lipofusin granule, and had a large spherical nucleus with shallow indentation of nuclear manbrane. Small neurons ($17 \\mum \\times 27 \\mum$ in diameter) had poorly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moderate number of mitochondria and randomly distributed Golgi complex. The nuclear envelope of this cell frequently showed multiple deep invagination. 2. Three types of axo-somatic synaps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shape of vesicle in the axon terminal and the symmetrical or asymmetrical thickening at the synaptic site. Type I synaptic terminal shows an even distribution of round and oval synaptic vesicles, and has a symmetrical synaptic thickening. Type II axon terminals reveal mostly round and pleomorphic vesicles and a few vesicles were localized near the presynaptic membrane in pale axoplasm and its synaptic thickening were symmetric. Type III axon terminals contain round vesicles, which were aggregated in the axoplasm, and has a asymmetrical synaptic thickening. 3. The majority of axo-somatic contact with the large and small neurons were type I, and type II and III synapes were rare.

  • PDF

Proteomic profiles and ultrastructure of regenerating protoplast of Bryopsis plumosa (Chlorophyta)

  • Klochkova, Tatyana A.;Kwak, Min Seok;Kim, Gwang Hoon
    • ALGAE
    • /
    • 제31권4호
    • /
    • pp.379-390
    • /
    • 2016
  • When a multinucleate cell of Bryopsis plumosa was collapsed by a physical wounding, the extruded protoplasm aggregated into numerous protoplasmic masses in sea water. A polysaccharide envelope which initially covered the protoplasmic mass was peeled off when a cell membrane developed on the surface of protoplast in 12 h after the wound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protoplasmic mass began to form a continuous cell membrane at 6 h after the wounding. The newly generated cell membrane repeated collapse and rebuilding process several times until cell wall developed on the surface. Golgi bodies with numerous vesicles accumulated at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rebuilding cell at 24 h after the wounding when the cell wall began to develop. Several layers of cell wall with distinctive electron density developed within 48-72 h after the wounding. Proteome profile changed dramatically at each stage of cell rebuilding process. Most proteins, which were up-regulated during the early stage of cell rebuilding disappeared or reduced significantly by 24-48 h. About 70-80% of protein spots detected at 48 h after the wounding were newly appeared ones. The expression pattern of 29 representative proteins was analyzed and the internal amino acid sequences were obtained using mass spectrometry. Our results showed that a massive shift of gene expression occurs during the cell-rebuilding process of B. plumosa.

Study of Counter Diffusion in Isostatic Permeameters

  • Bianchi, F.;Pegoraro, M.;Zanderighi, L.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3권1호
    • /
    • pp.39-50
    • /
    • 2001
  • The counter-diffusion of two gaseous substances permeating a polymeric membrane has been investigated both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find mutual effects, if any, that could influence the permeability and diffusivity data. The experimental data were obtained with an isostatic permeameter operating at ambient pressure and 303 K: helium, nitrogen, carbon dioxide methane were used as permeating gas at different partial pressure; helium or nitrogen as equilibrating or carrier gas. No evident mutual effect of the counter-diffusing gas was observed. The theoretical analysis gave some insight into the phenomena and it was concluded that at near-atmospheric pressures, and in the absence of swelling phenomena no mutual interaction exists. On a theoretical basis any mutual interaction between diffusing and counter-diffusing gases could only occur: i) at high pressures , when the free movement of permeating gas molecules within the polymer is hindered by the counter-diffusing gas; ii) when a large part of the free volume fraction is occupied by the counter--diffusing gas; iii) swelling phenomena modify the structure and free volume fraction of the polymer.

  • PDF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와 우수리땃쥐 C. lasiura의 이하선 선세포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 비교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the Acinar Cell and Secretory Granules of Parotid Salivary Glan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and the Big White-toothed Shrew, C. lasiura)

  • 정순정;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91-97
    • /
    • 2005
  • 이하선의 선세포와 분비과립을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와 우수리땃쥐 C. lasiura에서 연구하였다. 두 종 모두의 이하선은 장액선세포 한 종류만을 가지는 장액선이었고 선세포, 사이관, 과립관 그리고 줄무늬관들은 평범하였다. 작은땃쥐의 경우, 장액선세포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현저한 골지체, 몇몇의 큰 미토콘드리아와 성숙 혹은 융합하고 있는 많은 중간 정도의 전자 밀도 과립들을 가지고 있었다. 미성숙 선세포의 분비과립들은 미세하고 강한 전자 밀도의 알갱이만으로 혹은 알갱이들이 주가 되었고 불분명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고, 성숙 분비과립들은 균일하고 옅은 중심부를 가지고 그 주변에 미세하고 강한 전자밀도의 알갱이들과 명확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다. 우수리땃쥐의 경우, 선세포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현저한 골지체, 몇몇의 큰 미토콘드리아 뿐 아니라 성숙 혹은 융합하고 있는 많은 진한 전자 밀도의 분비과립들을 가지고 있었다. 미성숙 선세포 분비과립들은 옅고 거친 알갱이들만으로 채워져 있었으며 불명확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고, 성숙 분비과립들은 진하고 거친 알갱이들만으로 채워져 있었고 명확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작은땃쥐의 이하선 분비과립은 광학과 전자현미경 수준에서 중간 정도의 전자밀도로, 우수리땃쥐의 분비과립은 광학 현미경 수준에서는 아주 진하게, 전자현미경에서는 진하게 관찰되었다.

Dibutyryl Cyclic AMP에 의해 成熟이 抑制된 Mouse 卵子의 微細構造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Fine Structures of Mouse Oocyte Whose Maturation has been suppressed in Vitro by Dibutyryl Cyclic AMP)

  • 崔林淳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101
    • /
    • 1975
  • dbcAMP에 의한 卵子의 核 崩壞 抑制作用을 電子顯微鏡的으로 究明하기 위하여 생쥐 濾胞卵子의 微細構造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實驗群에서의 核膜의 彎曲은 對照群의 것에 비하여 얼마간 줄고 있으며 2種의 核膜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核膜을 따라 무수히 많은 核膜孔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核 崩壞 抑制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mitochondria는 對照群에서는 細胞質 전체에 산재해 있고, cristae의 構造가 뚜렷하지 못한 未分化 혹은 移行型의 것들이 많은 반면, 實驗群에서는 mitochondria가 대체로 核 周邊部에 모여 있으며 cristae가 얼마간 발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3. Iysosome은 實驗群에서 그 構造도 보다 단순하고 또 그 數도 對照群에 비하여 얼마간 減少하고 있다. 4. Golgi complex는 對照群에서는 전현적인 顆粒, 層板狀 構造를 하고있으나, 實驗群에서의 것은 그다지 뚜렷하지가 않다. 5. multivesicular body는 兩群이 모두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tonofilament도 무수히 존재하고, 細胞質 전반에 걸쳐 free ribosome이 존재하고 있다. 6. 細胞膜의 microvilli의 形態는 實驗群에서는 無定形으로 변하고 있으며, perivitellin space도 상당히 넓어지고 있다. 7. 以上의 觀察結果로 미루어 보아 dbcAMP를 處理하여 24시간 배양한 卵子와, 卵巢에서 직접 採取한 卵子의 電子顯微鏡的 構造에는 근본적인 변화는 볼 수 없으며, 實驗群의 卵子에서 核膜孔의 數가 뚜렷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dbcAMP가 核膜의 透過性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므로써 卵子의 成熟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인다.

  • PDF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정상피세포의 분화와 미세구조 (Cell Differentiation and Ultrastructure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in Myotis macrodactylus)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25-39
    • /
    • 2003
  •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세정관 정상피의 분화과정과 미세구조적 특징들은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자형성 과정은 4월부터 9월까지로 나타났다. 정자형성세포의 미세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A형 (Ad, Ap)의 정원세포는 기저막 위에 위치하며, Sertoli cell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대부분의 세포는 타원형이다. Ad형은 Ap형 보다 핵과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적인 반면에, B형의 정원세포는 구형의 세포로서 A형 정원세포 보다 세포가 크며, Ap형과 마찬가지로 세포질이 밝고, 거의 핵소체가 핵막에 인접되어 있다. 정모세포는 크고 구형이지만, 제 1 정모세포가 제 2 정모세포보다 다소 크다. 정자변태는 골지, 두모, 첨체, 성숙 및 이탈기로 구분하였고, 세포구조물의 특징들에 의해 각각 전 후기로 다시 세분하여 전과정을 9 (기)로 나누었다. 핵질의 변화는 골지후기부터 서서히 응축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정자꼬리의 형성시기는 골지전기에서 형성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성되었다. 동면직전 10월부터 동면기 (11월, 12월, 이듬해 1, 2, 3월)까지는 정자형성 세포의 퇴화과정이 일어났다. 즉 미분화 정자형성 세포들은 세르톨리 세포의 식작용에 의해 포식되어졌는데 이는 동면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이용과 번식조절을 위한 적응 메카니즘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