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gi localiz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흰쥐 눈물샘의 Prolactin 존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Localization of Prolactin in Rat Exolacrimal gland)

  • 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1호
    • /
    • pp.25-34
    • /
    • 1993
  • Prolactin has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the tear film of humans and prolactin-like immunoreactivity has been detected by immunofluorescence in acinar cells of the lacrimal glands of humans and rat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clarifying the intracellular distribution of the prolactin-like immunoreactivity, using the electron microscope immunogold technique. The lacrimal gland acinar cells have two types of secretory granules: 1) Secretory granules containing flocculent materials irregularly shaped and are often coalesced. 2) Secretory granules are fairly round and contain homogenous materials of a moderate electron density. The density of the granular content varies even within a single cell. We found prolactin-like reactivity in secretory granules, some smaller cytosolic vesicles, Golgi cisternae and nuclei in acinar cells from intact glands of rat. Our present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prolactin is present in lacrimal cells. The presence of prolactin reactivity in the nucleus suggests that prolactin may be a regulatory factor modulating gene expression.

  • PDF

발생중인 흰쥐 망막의 분화 및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the Developing Rat Retina)

  • 김완종;최준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2호
    • /
    • pp.131-144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the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ies of the developing rat retin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tina of fetal rat on the 13th day of gestation showed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Briefly, there appeared dividing chromosomes, the plentiful free ribosomes, and the high ratio of nucleus to cytoplasm. The reaction products by AChE were localized at the membrane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on the outer membrane of nucleus. Ultrastructures and AChE activities in the retina of the fetal rats on the 18th day of gesta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ior stages, except the appearenc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apparatus. According to the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the rat retina was still in immature state at birth, but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were fully differentiated, e. g. the increase of melanin granules, the development of mitochondria and Golgi apparatus. The AChE activity was weekly detected. The differentiated retinal layers and the outer segment of photoreceptor cells were observed on the 7th postnatal day. And the pigment epithelium appeared to be fully differentiated. On the 14th postnatal day, rat retina were completely differentiated. In other words, the rat retina was characterized by the prominent outer segments, phagocytosed residues in the pigment epithelium, and the localization of reaction products by AChE in the synapses. In conclusion, the differentiation of rat retina is charaterized by the changes of cell shape, the increase of retinal layers, and the alterations of AChE activities. It seems that rat retina is to be functional from 2 weeks of birth onward, coinciding with the eye opening of the juvenile rats.

  • PDF

장대끈끈이주걱 분비모의 미세구조와 peroxidase 활성 (Ultrastructure and Activity Pattern of Peroxidase in Secretory Trichomes of Drosera capensis)

  • 김은수;오승은;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3호
    • /
    • pp.399-414
    • /
    • 1998
  • Glandular trichomes present on the leaf surface of Drosera capensis were examin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 large number of stalked glands exist on the adaxial surfaces of the leaf blade. The secretory head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secretory cells, one layer of middle cells, and the inner tracheids. The secretory cells contain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plastids, Golgi apparatus, and vacuoles. The secretory cells show prominent cell wall ingrowth, and thick cuticle restricted on the subcuticular wall. Frequently, the cuticle has some pores, canal-like structures, showing electron -dense granules being penetrated through them.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using diaminobenzidine showed the electron-dense deposits in the vacuole. No peroxidase activity was seen in the cell wall and cytolasm. The activity of peroxidase (POX) isozymes in Drosera which isoelectric point (pI) is 3.6 and some anionic POX isozymes which pIs are laid between 3.6 and 4.6 were espec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glandular trichomes. Also, the activity of some POX isozymes which isoelectric points are laid between 4.6 and 5.1 were increased in the regions of leaves which has trichomes.

  • PDF

Molecular and Cellular Studies of Seed Storage Proteins from Rice and Wheat

  • Kim, Woo-Tae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64-72
    • /
    • 1989
  • Near full length cDNA clones encoding the rice seed storage protein, prolamine, were isolated and divided into two homology classes based on cross-hybridization and DNA sequencing analysis. These cDNA clones contain a single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utative rice prolamine precursor(M.W.=17,200) possessing atypical 14 amino acid signal peptide. Clones of these two homology classes diverge mainly by insertions/deletions of short nucleotide stretches and point mutations. The deduced primary structures of both types of prolamine polypeptides are devoid of any major tandem repetitive sequences, a feature prevalent in other cereal prolamines. No significant homology teas detected between the rice prolamine and other cereal prolamines, indicating that the rice gene evolved from a different ancestor that gave rise to other cereal prolamine genes. Developing wheat and rice endosperms were examined using ultrathin sections prepared from tissues harvested at various days after flowering. By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techniques, wheat prolamines are localized within vesicles from Golgi apparatus and in homogeneous regions of protein bodies. The involvement of the goli apparatus in the packaging of wheat prolamines into protein bodies indicates a pathway which differs from the mode of other cereal prolamines and resembles the mechanism employed for the storage of rice glutelin and legume globulins.

  • PDF

Differentiation and Distrbution of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Magnocellular Preoptic Nucleus of the Rat Forebrain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 Chung, Young-Wha;Choi, Yoon-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3호
    • /
    • pp.483-489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tion and distribution of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immunoreactive cells in the magnacellular preoptic nucleus (MCPO)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 forebrains, utilizing techniques of immunocytochemistry. According to the cell shape and the ratio of long axis versus short axis of cell soma, the ChAT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MCPO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1) round, 2) oval, 3) elongated, 4) fusiform, 5) triangular, and 6) polygonal types.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oval and round nerve cells on the postnatal day (PND) 0 were observed to be high. But in the adult,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same cells were shown to decrease. Compared to those of the postnatal rats, frequency distributions of elongated, fusiform, triangular, and polygonal nerve cells in the adult were increased. The total mean volumes of ChAT-immunoreactive cell somata in the MCPO of PND 0 rat were the lowest, while those in the PND 17 rat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and decreased in the adult. The soma volumes of the immunoreactive cells at the PND 17 were evenly distributed, but those in the other developmental stages (e.g. PND 7 and adult) appeared to exhibit unimodal distributions. On the electron micrography, the free ribosomes, polysome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a (RER) of the nerve cells in the MCPO of PND 21 rat forebrains were immunoreactive to ChAT in the tissues untreated with triton X-100.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in the present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T-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MCPO of the rat forebrains are differentiated throughout the following processe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1) increase in cell soma volumes, 2) development of neurites, 3)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differentiated cell types, and 4) decrease in cell soma volumes. The ribosomes, polysomes, and RER are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intracellular localization and biosynthesis of the ChAT but not Golgi complex.

  • PDF

CMTM5-v1, a four-transmembrane protein, presents a secreted form released via a vesicle-mediated secretory pathway

  • Li, Henan;Guo, Xiaohuan;Shao, Luning;Plate, Markus;Mo, Xiaoning;Wang, Yu;Han, Wenling
    • BMB Reports
    • /
    • 제43권3호
    • /
    • pp.182-187
    • /
    • 2010
  • family (CMTM) is a novel family of proteins linking classical chemokines and the transmembrane 4 superfamily (TM4SF). Our earlier studies indicated several CMTM members (such as CKLF1 and CMTM2) have a secreted for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secreted form of CMTM5-v1, the major RNA splicing form of CMTM5, which is produced as small vesicles (<100 nm diameter) and floats at a peak density of 1.19 g/ml on continuous sucrose gradients. CMTM5-v1 has no obvious co-localization with CD63 or Golgi complex. In addition, brefeldin A but not wortmannin can inhibit the secretion of CMTM5-v1. Our results suggest that CMTM5-v1 might be secreted via a different vesicle-mediated secretory pathway,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ies of vesicle-mediated secretion and MARVEL domain-containing proteins.

세포내 특정 소기관 타기팅 마커 개발을 위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 변형 및 세포내 타기팅 분석 (Development of intracellular organelle markers using modified glycolipid-binding peptides in mammalian cells)

  • 전용우;이진아;장덕진
    • 분석과학
    • /
    • 제28권1호
    • /
    • pp.65-71
    • /
    • 2015
  • 진핵세포내 막성세포소기관들은 각각 고유한 세포의 중요한 기능들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기관에 분포하는 단백질들은 세포질에서 발현된 후, 정교한 조절에 의해서 다양한 세포내 소기관으로 운송된다. 따라서, 세포내에 존재하는 막성세포소기관의 마커를 개발하고, 이들의 타기팅 기전을 알아내는 것은 세포 생리 및 병리학적 기전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과 이들의 변형을 통한 세포내 타겟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은 미토콘드리아, 원형질막, 골지체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펩타이드가 세포내 기관을 마커로 이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원형질막에 타기팅하는 펩타이드 마커의 경우는, 정전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원형질막에 선택적으로 타기팅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이 다양한 세포내 운송과 관련한 연구에 세포소기관의 위치 및 모양을 분석 할 수 있는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 출생 후 발육기간에 따른 콜린성 신경세포의 분화 (The Differentiation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at the Meynert Basal Nucleus of the Basal Forebrains in the Growth Period of Rat)

  • 함영옥;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55-365
    • /
    • 2001
  • 흰쥐 전뇌 기저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는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교차앞핵, 복부담창구, Meynert기저핵 그리고 신선조체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에서 ChAT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신경세포들의 발생, 분포, 형태, 형별 출현율 및 세포체의 부피, 조직학적 특성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ChAT항체에 면역 반응을 하는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관찰하여 출생 후 발생단계에 따른 Meynert 기저핵에서 ChAT항체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의 분화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AT항체에 반응하는 신경세포의 분포는 조직마다 부분적으로 상이하지만, 대부분 담창구가 내포와 접하는 부위, 또는 담창구와 무명질의 연접지역에 군집을 이루거나 혹은 단독으로 관찰되었으며 ,무명질에는 시교차앞핵의 면역반응 세포와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형으로 분류되었다. 원형의 신경세포 출현율은 출생 후 7일에서 가장 높았고, 성체로 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난형 신경세포는 출생 후 14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원형의 신경세포와 같이 성체로 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세장형 신경세포의 출현 율은 출생 후 21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삼각형, 방추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는 성체에서 출현율이 높았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7일에 $1,268{\mu}m^3$로 제일 작았으나, 출생 후 21일에서는 $4,453{\mu}m$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 후 성체로 되면서 점차 감소되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성체의 ChAT항체 반응 신경세포의 핵외막, rER의 막, 자유리보즘 그리고 polysorne등이 관찰되었으며, 대칭 및 비대칭 신경연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 후 발생과정에서 세포소기관과 신경돌기들의 분화에 따른 세포체 부피의 증가, 분화된 세포형들의 출현 율의 증가 및 세포의 손실이 없는 상태에서 세포 응축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들이 분화한다고 생각된다.

  • PDF

흰쥐 출생후 발생에 따른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 Choline Acetyltranseferase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 및 분화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Rat Forebrain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 이남섭;정영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79-491
    • /
    • 1999
  • 출생후 0일, 7일, 14일, 17일, 21일, 28일, 35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Meynert 기저핵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7일에서 성체까지 신경세포의 세포질에서 ChAT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특히 ChAT면역반응은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고루 분포하였다. 전뇌 기저부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으로 분류되었다. 성체의 Meynert기저핵에서 원형은 9.4%, 난원형은 35.5%, 세장형은 32.1%, 방추형은 5.9%, 삼각형은 9.1% 그리고 다각형은 8.0%의 출현율을 보였다. 원형과 난원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14일에서 가장 높아 각각 18.7%, 55.5%였고, 성체로 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세장형과 삼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21일에 가장 높아 각각 30.4%, 10.1%였고, 성체로 되면서 원형과 난원형 세포에서와 같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들과는 다르게 방추형과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7일에 $1,083{\mu}m^3$로 제일 작았으나, 출생후 21일에서는 $5,045{\m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2,731{\mu}m^3$로 감소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의 경우 ChAT면역반응은 신경세포의 ribosome, polysome 그리고 RER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칭 및 비대칭 신경연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에서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후 발생과정에서 세포소기관과 신경돌기들의 분화에 따른 세포체부피의 증가, 분화된 세포형들의 출현율의 증가 및 세포의 손실이 없는 상태에서의 세포 응축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들이 분화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Golgi체와는 다르게 ribosome, polysome그리고 RER들이 ChAT의 세포내 분포 및 생합성과 밀접한 관계를 같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發情週期에 따른 Guinea Pig의 子宮內膜 表層上皮細胞의 微細構造 및 細胞化學的 硏究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Studies on the Endometrial Surface Epithelial Cells of Guinea Pig During Estrous Cycle)

  • Park, Choon K.;Kwan H. You;Young K. Deung;Lee, Choon K.;Ho S. Chu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28
    • /
    • 1982
  • Guinea pig의 發情週期를 發情前期, 發情期, 發情後期, 그리고 發情間期의 4단계로 구분하여 子宮內膜의 表層上皮細胞에 있어서의 미세구조상의 변화와 이 세포들의 acid 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 그리고 adenosine triphosphatase의 활성의 변화를 細胞化學的인 방법에 의하여 관찰하였고 발정주기에 따른 자궁내막표층상피세포 표면의 미세구조 변화를 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表層上皮細胞들은 발정기와 발정간기에서 單層圓柱形이며 발정기와 발정후기에서는 多列上皮組織으로 관찰되었고 발정전기에서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크고 발정기에서는 세포와 핵들이 신장된 형태를 보이며 세포질이 증가하여 세포질이 子宮腔에 돌출된 모습이 관찰된 반면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세포의 길이가 작아졌다. 2. 細胞質내의 세포기관들은 발정기에서 미토콘드리아 및 유리리보좀의 증가와 粗面小胞多層版 構造物, 脂肪適, 리소조옴들이 다수 출현하였다. 3. 走査電子顯微鏡에 의한 연구로써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자궁내막의 표층상피세포들의 표면 미세구조는 세포의 境界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발정기에서는 多角形의 세포가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고 세포표면이 자궁강에 돌출된 구조를 나타냈으며,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의 표면은 편편하며 세포의 경계가 뚜렷하지 못하였다. 4. 微細絨毛는 발정기에서 가장 조밀하고 길게 發達된 반면에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짧은 미세융모가 관찰되고 數적인 면에서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5. 전자현미경에 의한 효소활성의 관찰 결과 acid phosphatase는 발정후기에서 미세융모와 공포, alkaline phosphatase는 발정후기때 미세융모, 세포표면, 그리고 측면세포막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ATPase의 경우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미세융모와 세포막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