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f System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들잔디 배아세포의 부유배양과 식물체 재생 (Embryogenic cell suspension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 팽왼주안;한리바우;퀴충휘;리다이엥;박태윤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45-352
    • /
    • 2009
  • 한국들잔디는 운동경기장이나 골프 코스 등에 폭넓게 쓰이는 난지형 잔디이다. 많은 품종은 영양체로 번식한다. 이 연구는 배아세포 유도와 식물체 재생을 위한 적정 배양액 개발과 배양조건을 연구하여, 한국잔디의 육종과 번식을 위한 세포배양 체계 확보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Cu^{++}\;2.5mgL^{-1}$를 유도 배양액에 첨가하는 것이 캘러스 유도를 위한 최적 농도 조건 이였음을 보여주었다. Sub-culture의 횟수의 증가는 캘러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세포 부유배양을 위한 최적 용량은 2.5에서 10mL 사이였으며 본 연구에서 58%의 식물체 재생산비율을 보였다.

A Study on the Odor Removal Control System of Sewage Sludge

  • KIM, Su-Hye;LEE, So-Hee;YUN, Yeo-Jin;CHOI, Soo-Young;JUNG, Min-Jae;KWON, Woo-Taeg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19-2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odor complaints by identifying problems with odor management at the site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researching odor management methods. Due to the high population density of Korea,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adjacent to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malodor-emitting faciliti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preliminary treatment facilities (2,220 times), sedimentation basins (4,628 times), and sludge treatment facilities (9,616 ti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mpound malodors and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were collected from five site boundaries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fficial methods to test malodor, and a total of two times (August and September 2020)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compound malodors were detected at a maximum of 8 times and at least 3 times during the dawn time. As for the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0.1ppm of ammonia was detected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and the park golf course. This is within 15 times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compound malodors and within 1ppm of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ammonia. Conclusions: Even if the dilution rate of the compound malodors did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the odor could be recognized, and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and seasonal odor characteristics.

토양의 온도와 수분이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stis palustris Huds)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Soil on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Growth)

  • 임승현;정준기;김기동;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9-240
    • /
    • 2009
  • 여름철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 기온에서 토양 온도와 수분은 잔디의 생리학적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한지형 잔디생육은 우리나라 여름철 기후의 특이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실험은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stispalustris Huds.)를 이용하여 고온의 조건에서 각기 다른 토양 수분함량 조건에서의 한지형 잔디생육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는 수분함량과 온도에 따른 bentgrass의 생육 및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평가하였다. 모의 USGA(United State of Golf Association) 그린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 및 열 특성 실험 결과 수분이 거의 없는 건조 상태에서의 토양 온도는 $34^{\circ}C$로 발열 했을 때 토양 표면 온도가 $80^{\circ}C$까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과수분 조건에서 $34^{\circ}C$ 발열을 했을 때에는 건조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10^{\circ}C$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포장에서의 온도와 수분에 따른 열 특성 변화는 관수시기와 무관하게 처리구 모두에서 관수 후에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열 확산성(thermal diffusivity), 및 토양 온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수분이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갖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실험에서 관수 초기에는 과수분 조건에 비해 수분 결핍 조건에서 토양 온도의 증가를 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수분 조건에서 더 높은 토양 온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즉, 토양 온도는 과수분 조건에서 열전도에 의해 높아져 잔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잔디 표면부 온도가 높은 시각대의 과도한 관수는 여름철 잔디의 생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소나기 등에 의한 일시 침수 시 지반배수의 불량은 잔디 생육에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산소, 유산소 운동종목별 엘리트선수의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ergy System Contribution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Various Sport Events Athletes)

  • 권형태;김기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72-279
    • /
    • 2018
  • 이 연구는 에너지 기여도에 따른 무산소, 유산소 운동종목 선수들의 등속성 근력, 근파워 그리고 H/Q 비율을 검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선수 120명을 무산소 운동종목(n=60; 단거리, 역도, 도약, 투척, 볼링, 골프종목 선수)과 유산소 운동종목 집단(n=60; 근대5종, 필드하키, 핸드볼, 자전거, 복싱, 조정종목 선수)으로 구분하였으며, 무릎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력 그리고 햄스트링근/대퇴사두근력 비율은 등속성 장비인 cybex 770을 이용하여 주측 다리의 $60^{\circ}$, $180^{\circ}/sec$에서 실시하였다. 무산소 집단과 유산소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 내에서 종목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무산소 운동종목에서 유산소 운동종목에 비해 신전근력, 굴곡근력, 굴곡근 파워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육상 단거리와 도약종목의 선수들에서 다른 종목에 비해 근력과 근파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유산소운동종목 집단에서는 집단내 종목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모든 종목에서 H/Q 비율은 50-60%로 안정된 범위의 비율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엘리트선수들과 지도자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해 생리학과 더불어 스포츠 과학적인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납축전지 열화 예측 모델 개발 (Building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real field data)

  • 최근호;김건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243-264
    • /
    • 2018
  • 현재 전세계 배터리 시장은 이차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실제로 소비되는 배터리 중 가격 대비 성능이 좋고 재충전을 통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납축전지(이차전지)의 소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납축전지는 복합적 셀(cell)을 묶어 하나의 배터리를 구성하여 활용하는 배터리의 특성상 하나의 셀에서 열화가 발생하면 전체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와 열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학습하여 배터리 열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골프장 카트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 분석을 통해 열화 전조 현상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16,883개의 샘플을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베이지언, 배깅, 부스팅, RandomFor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의사결정나무를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한 배깅 모델이 89.3923%이 가장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날씨와 운전습관 등 배터리 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이는 향후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열화 예측 모델은 배터리 열화의 전조현상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배터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lements and Tennis/Golf Elbow

  • Choi, Jungmin;Park, Jungwoo;Kim, Hyunseu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3-19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agreement between job physical risk factor analysis by ergonomists using ergonomic methods and physical examinations made by occupational physicians on the pres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Background: Ergonomics is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principles concerned with the design of devices and working conditions for enhancing human capabilities and optimizing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Proper ergonomic design is necessary to prevent injuries and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The major types of ergonomic injuries and incidents are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 acute strains, sprains, and system failures. Minimization of use of excessive force and awkward postures can help to prevent such injuries Method: Initial data were collected as part of a larger study by the University of Utah Ergonomics and Safety program field data collection teams and medical data collection teams from the Rocky Mountain Center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RMCOEH). Subjects included 173 male and female workers, 83 at Beehive Clothing (a clothing plant), 74 at Autoliv (a plant making air bags for vehicles), and 16 at Deseret Meat (a meat-processing plant). Posture and effort levels were analyzed using a software program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Utah (Utah Ergonomic Analysis Tool). The Ergonomic Epicondylitis Model (EEM) was developed to assess the risk of epicondylitis from observable job physical factors. The model considers five job risk factors: (1) intensity of exertion, (2) forearm rotation, (3) wrist posture, (4) elbow compression, and (5) speed of work. Qualitative ratings of these physical factors were determined during video analysis. Personal variables were also investigated to study their relationship with epicondylitis.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epicondyle pain.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ender, smoking status, and BMI do have an effect on the risk of epicondylitis but ther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EM and epicondylitis. Conclusion: This research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rgonomic Epicondylitis Model (EEM) and the occurrence of epicondylitis. The model was not predictive for epicondylitis. However, it is clear that epicondylitis was associated with some individual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status, gender, and BMI.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may discover risk factors that seem to increase the risk of epicondylitis. Appli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used a combination of questionnaire, ergonomic job analysis, and medical job analysis to specifically verify risk factors related to epicondylitis, there are limitations. This research did not have a very large sample size because only 173 subjects were available for this study. Also, it was conducted in only 3 facilities, a plant making air bags for vehicles, a meat-processing plant, and a clothing plant in Utah. If working conditions in other kinds of facilities are considered, results may improve.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perform analysis with additional subjects in different kinds of facilities. Repetition and duration of a task were not considered as risk factors in this research. These two factors could be associated with epicondylitis so it could be important to include these factors in future research. Psychosocial data and workplace conditions (e.g., low temperature) were also noted during data collection, and could be used to further study the prevalence of epicondylitis. Univariate analysis methods could be used for each variable of EEM. This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ifferent effect of each variable. Bas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is that univariate analysis deals with one predictor variable at a time, whereas multivariate analysis deals with multiple predictor variables combined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univariate analysis could show how each variable is associated with epicondyle pain. This may allow more appropriate weighting factors to be determined and therefore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EM.

잔디에 Rhizoctonia 마름병을 유발하는 Rhizoctonia spp.의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ystemic Fungicides of Rhizoctonia spp. Causing Rhizoctonia Blight on Turfgrass)

  • 장태현;이승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87-394
    • /
    • 2013
  • Rhizoctonia spp. 에 의한 Rhizoctonia 마름병은 잔디에서 중요한 병이며, 골프장에서 잔디의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시험은 포장에서 분리한 R. solani AG-1 IB, R. cerealis 및 R. solani AG2-2에 대한 침투성 살균제인 flutolanil, pyraclostrobine, and hexaconazole에 대하여 실내에서 상대적인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억제하는 $EC_{50}$농도를 결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3종의 Rhizoctonia균주에 대하여 5 수준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3종류의 살균제에 대한 $EC_{50}$ 값은 R. solani AG-1 IB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R. solani AG2-2에 대한 살균제 감수성은 pyraclostrobine 과 flutolanil에서 평균 $EC_{50}$ 값이 0.026 ${\mu}g\;a.i.\;ml^{-1}$ 와 0.044 ${\mu}g\;a.i.\;ml^{-1}$ 로 가장 높았다. R. cerealis은 hexaconazole에서 $EC_{50}$ 값이 0.022 ${\mu}g\;a.i.\;ml^{-1}$로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각각의 살균제의 $EC_{50}$값을 사용하여 두 농약을 혼용한 3종의 조합에서 3종의 병원균에 대한 균사 생장억제율은 R. solani AG2-2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포장에서 Rhizoctonia 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과 캐나다 노인밀집도시의 노인주거관련 사회적지원에 관한 연구 : 농촌지역 소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Supports for the Elderly Housing in Senior Concentrated C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 Focused o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upports for elderly housing and their residential lives i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suggest future implications for age-concentrated rural villages in Korea. In this study, five small and medium cities in non-metropolitan counties of California and Ontario province were visited and elderly residents and service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community integrated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residences. The senior housing complexes were built due to influx of both metropolitan and rural residents seeking warm localities, traffic connections, business purposes in active production areas. and leisure attractions. There are five main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housing issues in these areas. First, the areas are claimed for senior zones and accordingly health industries are encouraged by local authorities. Second, the community is homogeneously constructed as a senior friendly environment and include features such as an RV park and mobile cottages. Third, senior-helping seniors are offered active work through golf-cluster active retirement communities. Fourth, traditional theme production camps are mobilized by the elderly workers. Lastly, an information system is maintained for screening volunteers and for senior abuse prevention. On the other hand, residential lives are occasionally negatively influenced by unbalanced concentrations of elderly facilities such as nursing stations and funeral homes. For the future of Korean rural elderly policie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an integrated urban and rural township that contains attractive places for early retiring people who seek a warm atmosphere in later life needs to be constructed. Second, an integrated model retirement village of urban and rural retirement life needs to be initiated as a measure of evaluat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overs in senior concentrated zones. Third, a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al ministries needs to be formed with the long- term goal of establishing a traditional rural town of independent housing districts and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Fourth, productive and active lifestyles need to be maintained as the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 develop successful retirement rural villages, by limiting the expansion of nursing related facilities. Finally, generation integrated visiting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for the housing areas especially in the winter, when social integration and activity are relatively low.

설부소립균핵병균 Typhula incarnata의 살균제 감수성 (Sensitivity to Fungicides of Typhula incarnata Isolates Causing Gray Snow Mold)

  • 이승준;이동운;장태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69-75
    • /
    • 2012
  • 설부소립균핵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Typhula incarnata 균주를 2012년 용평에 3곳 골프장에서 채집하여 propiconazole, tebuconazole 및 azoxystrobin 살균제에 대하여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50개의 균주에 대한 실내에서 감수성을 평가를 위하여 4개의 다른 농도로 수행하였다.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까지 억제하는 농도인 $EC_{50}$은 tebuconazole이 가장 낮았다. Triazole 계인 tebuconazole의 평균 $EC_{50}$은 0.0048 ${\mu}g\;ml^{-1}$이며, 최소 $EC_{50}$은 0.0005 ${\mu}g\;ml^{-1}$ 농도이며, 최대 $EC_{50}$의 농도는 0.014 ${\mu}g\;ml^{-1}$이었다. 반면, Propiconazole의 평균 $EC_{50}$은 0.5825 ${\mu}g\;ml^{-1}$이고, $EC_{50}$의 범위는 0.078 ${\mu}g\;ml^{-1}$에서 1.651 ${\mu}g\;ml^{-1}$이었다. Strobilurin 계인 azoxystrobin은 평균 $EC_{50}$은 0.0278 ${\mu}g\;ml^{-1}$이고, 최소와 최대 $EC_{50}$은 범위는 0.0017 ${\mu}g\;ml^{-1}$에서 0.131 ${\mu}g\;ml^{-1}$이었다. Propiconazole, azoxystrobin 및 tebuconazole 살균제간의 $EC_{50}$ 사이에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 균주와 이들 살균제 간에 교차저항성도 없었다. 이 연구 결과 용평에서 채집한 T. incarnata 균주는 3종의 살균제에 대하여 실내감수성 시험에서 저항성 균주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종류 잔디지반 구조에서 주요 초종의 엽색품질, 동절기 색상 및 이른 봄 녹화 특성비교 (Comparison of Color Quality, Winter Color, and Spring Green-up among Major Turfgrasses Grown under Three Different Soil Systems)

  • 김경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59-268
    • /
    • 2013
  • 다단 구조, USGA 구조 및 약식 구조에서 자란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연중 잔디색상 품질, 동절기 색상 및 이른 봄 녹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단 구조, USGA 구조 및 약식 구조의 전체 깊이는 각각 60cm, 45cm 및 30cm 이었다. 공시 초종은 들잔디 세 품종과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페스큐 조합종 및 이들 한지형 혼합구가 각각 세 종류이었다. 연구결과 잔디지반 및 초종별로 잔디색상 품질, 동절기 색상 및 이른 봄 녹화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색상은 지반 및 초종에 따라 계절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다단 구조와 USGA 구조에서 자란 잔디의 색상이 약식 구조에 비해 지속적으로 우수하였다. 지반에 관계없이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 모두 겨울에 비해 봄부터 가을까지 색상이 양호하였으며 초종 간 차이는 특히 계절적으로 12월 초에서 겨울 휴면기를 벗어나 녹화되기 시작하는 이른 봄 사이 크게 나타났다. 공시 초종 간 잔디색상은 다단 구조, USGA 구조 및 약식 구조에서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보다 훨씬 양호하였다. 한지형 잔디의 색상 품질은 켄터키 블루그래스 >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혼합구 > 톨 페스큐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난지형 들잔디의 경우 '야지' 및 '제니스'의 잔디색상이 '중지'에 비해 양호하였다. 동절기 잔디색상의 지반 간 우열관계는 USGA 구조 > 다단 구조 > 약식 구조 순서로 나타났으며, 초종 간 차이는 난지형 '야지', '중지' 및 '제니스'의 경우 모두 완전히 갈색으로 나타났고, 반면 한지형 잔디는 모든 지반에서 녹색을 유지하였다. 이 중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색상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톨 페스큐는 탈색이 빨리 진행되어 녹색이 가장 옅게 나타났고,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 사이의 색상을 나타내었다. 이른 봄 잔디녹화 속도는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 모두 다단 구조에서 생육 시 가장 빨랐고, 반면 약식 구조에서 잔디녹화가 초종에 관계없이 가장 느리게 나타났다. 잔디지반에 관계없이 모두 난지형에 비해 한지형 잔디의 이른 봄 녹화속도가 훨씬 빨랐다. 한지형 잔디 중에서는 톨 페스큐의 색상 균일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경우 녹화 속도는 빨랐지만 색상의 균일도가 떨어졌다. 그리고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녹화 속도는 가장 느리게 나타났는데, 이는 근계 발달이 낮게 분포하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종합적으로 잔디지반에 따라 색상 품질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또한 동일 지반에서도 초종별로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잔디 초종 및 지반 선정 시 주의 깊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수한 잔디 색상품질, 동절기 색상 및 이른 봄 녹화를 위해서는 약식 구조 대신 다층 구조(다단 구조 및 USGA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구의 경우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페스큐 혼합 정도에 따라 연중 잔디색상품질, 동절기 색상 및 이른 봄 녹화가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정원, 공원,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컨셉에 의한 초종 선정 및 혼합율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