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smith Mode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형의 개발과 검정 (Distributed GIS-Based Watershed Rainfall-Runoff Model Development and Its Calibration using Weather Radar)

  • ;최우희;김민환;김성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85-300
    • /
    • 2003
  •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홍수사상에 기초하고, 운동역학적이며, 초과강우가 고려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유역모형에서 강우로 인한 지표면 유출 및 지표면 흐름과 관련된 각종 변수의 공간적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인식하고 설명한다. 개발된 모형은 래스터 지형정보시스템과 공간적ㆍ시간적으로 변하는 강우자료와 호환된다. 몬테칼로 모의와 우도값이 이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검정 모형으로부터 반응되는 시스템의 가능범위가 허용되었다. 레이더-강우 추정에 대한 보정으로 강우계가 이용되고, 복잡한 토지이용 상태인 미국 덴버시 도시배수홍수조절 구역내에 있는 두 개 유역들(Ralston Creek와 Goldsmith Gulch 유역)의 제한된 기왕 홍수사상에 이 모형이 적용되었다. 제한된 수의 몬테칼로 모의들과 고려된 홍수사상들을 근거로 관측수문곡선과 계산수문곡선을 비교하여, Nash와 Sutcliffe 효율점수의 범위를 얻게 되었으며, 그 범위는 Ralston Creek과 Goldsmith Gulch 유역에 대한 검정모형들로부터 각각 -0.19∼0.95와 -0.75∼0.81이다. 또 한, Ralston Creek과 Goldsmith Gulch 유역의 Nash와 Sutcliffe 효율점수는 유출용적에 대해 각각 0.88과 0.1, 첨두유량에 대해 0.14와 0.71, 첨두유량 도달시간에 대해 0.99와 0.95로 평가되었다.

지식지도를 이용한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지식 유통 현황 분석 (Knowledge Distribution Status of the Korean SMC'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Using a Knowledge Map)

  • 유기동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7-81
    • /
    • 2018
  • 기술사업화는 기업이 기술개발을 위해 투입한 다양한 노력에 대한 보상의 과정으로, 기업기술개발 활동의 성과를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근거로 간주될 수 있다. 기술사업화의 극대화된 성과 창출을 위하여 많은 지식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지식은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세부업무를 유도 및 완성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지식 유통 관점에서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즉, 지식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지식지도를 이용하여, 기술사업화 세부업무별 지식흐름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한다. 또한 제시된 방법론을 실제 중소기업에 적용하여, 기업별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지식 유통 현황을 점검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보다 원활한 지식의 유통을 보장하는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방안과 프로세스 모델의 참고서로 활용될 수 있다.

소방 안전모의 안전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to Safety of Fire-proof Safety Helmet)

  • 한응교;엄기원;박준서;이성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5-14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 공학의 중요부분의 하나인 산업안전모와 화재진압시 소방관들이 쓰는 방수모의 안전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각종 실험장치를 50cm. 100cm, 120cm, 높이의 변화를 주어 가면서 같은 중량으로 낙하시켜 물체에 의한 낙하시 충격에 견디는 힘의 상태. 주파수 분석기에 의한 강도 및 bend의 응답신호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안전모와 스프링상수와 관계, 두뇌부분과 지면사이에서의 충격흡수력. 탄성력 등이 어느 정도인가를 수식 및 실험을 통해 알아봤을 때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모보다는 방수모의 탄성력과 강도력이 컸으며 또한 충격흡수력도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oldsmith, W.의 “Response of a realistic human head-neck model to impact” Vol.100. 1978. pp.25-52의 실험연구결과 기준치를 보면 인간두뇌에 충격물체로 부터 전달되는 충격파의 흡수력은 뇌파의 신경을 파손시키지 않으려면 최소한도의 주파수범위가 400Hz, 증폭화 0.00310 이하 이여야 된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방수모 강도의 안전성 및 bend의 충격흡수력은 410-810Hz의 주파수치가 나타났다. 고층에서 일정중량의 물체로 충격을 받았을 때 어느 정도로 흡수력을 방수모 bend에서 받아들어야만 두뇌신경에 충격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나 하는 우리 실정에 맞는 기준치가 설정되어야만 할 것으로 안다. Goldsmith ,W. 박사의 연구결과에 의한다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산업안전모보다는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양호하나 국제수준에는 못미치고 있었다. 이제 우리 방수모도 강도뿐만 아니라 방수모 내부의 bend 즉, 방수모와 두부 사이에 충격흡수력 장치를 좀더 과학적인 실험방법으로 개선되어 화재 진압시 물체낙하로 인한 두부보호에 좀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어야 될 것이다. 한편 방열복을 입은 상태에서 불길에 뛰어 들었을시 내부의 온도변화,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은 실험장치 불족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 보다 심층의 연구가 필요할 것을 인식하였으나 뒤로 미룬채 마무리 지었다.

  • PDF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영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the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권나영;이민희;김상훈;김수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465-48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evant to mathematics teachers and discuss implicatio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 156 articles written between 2006 and 2015 related to mathematics teachers. The articles are analyzed using the model of professional growth suggested by Goldsmith, Doerr, Lewis(2014). The model discusses personal domain, external domain, domain of practice, and domain of consequenc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ticles focusing on the personal domain of mathematics teachers appear a lot in reviewed ones, whereas studies relevant to external domain or domain of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re relatively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