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 nanoparticle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9초

자기조립법에 의한 $\alpha$-D-만노실 풀러렌[$C_{60}$]-금 나노입자 필름 제조 (Preparation of Self-Assembled of $\alpha$-D-Mannosyl Fullerene[$C_{60}$]-Gold Nanoparticle Films)

  • 윤신숙;황성호;고원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4호
    • /
    • pp.264-270
    • /
    • 2008
  • 3-아미노프로필메톡시 실란을 처리한 반응성 있는 유리표면 위에 "LbL" 방법을 사용하여 $\alpha$-D-만노실 풀러렌[$C_{60}$]-금 나노입자를 자기조립 하였다. 표면 처리한 유리막을 $\alpha$-D-만노실 풀러렌[$C_{60}$]과 헥산 티올레이트/아미노 티오페녹사이드-금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용액속에 교대로 담그었다. $\alpha$-D-만노실 풀러렌[$C_{60}$] -금 나노입자 필름을 시간에 따라 다중성(5층)막으로 제조하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사용한 자기조립 나노입자 필름의 분석은 530 nm 일 때 금 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밴드로 인해 다중성(5층)막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우스를 이용한 PLA - tetracycline 복합체 코팅 금 나노입자 - 티타니아 나노튜브의 적외선 레이저 유도 약물용출 생체 내 평가 (In vivo evaluation of infrared LASER mediated drug release of PLA-tetracycline complexes coated gold nanoparticle-titania nanotubes with mouse)

  • 문경숙;정찬권;배지명;오승한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3-41
    • /
    • 2017
  • In this study, we prepared PLA-tetracycline complexes coated gold nanoparticle-titania nanotubes and estimated their infrared LASER mediated drug release in the abdominal region of ICR mouse. The results of UV-Vis spectrophotometer showed the highest absorbance at the wavelength of 530 nm and 809 nm indicating the existence of gold nanoparticles. EDX analysis showed that the amounts of gold nanoparticle coated on titania nanotubes were approximately 3.62-36.5 wt%. In vivo test resulted that the tetracycline release value of experimental groups (6.5 ng/mL)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5.8 ng/mL) on the condition of 30 minutes of LASER irradi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PLA-tetracycline complexes coated gold nanoparticle-titania nanotubes have the feasibility in the field of infrared remote controlled drug device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location and time of drug release in dental implant.

Size-homogeneous gold nanoparticle decorated on graphene via MeV electron beam irradiation

  • Kim, Yoo-Seok;Song, Woo-Seok;Jeon, Cheol-Ho;Kim, Sung-Hwan;Park, Chong-Yu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87-487
    • /
    • 2011
  • Recently graphene has emerged as a fascinating 2D system in condensed-matter physics as well as a new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The unusual electronic band structure of graphene allows it to exhibit a strong ambipolar electric field effect with high mobility. These properties lead to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in high-performanc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TCFs). Compared to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which have a typical sheet resistance of ${\sim}60{\Omega}$/sq and ~85 %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ange (400?900 nm), the CVD-grown graphene electrodes have a higher/flatter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to IR region and are more robust under bending. Nevertheless, the lowest sheet resistance of the currently available CVD graphene electrodes is higher than that of ITO. Here, we report an ingenious strategy, irradiation of MeV electron beam (e-beam) at room temperature under ambient condition, for obtaining size-homogeneous gold nanoparticle decorated on graphene. The nano-particlization promoted by MeV e-beam irradiation was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lemental mapping,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se results clearly revealed that gold nanoparticle with 10 ~ 15 nm in mean size were decorat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aphene after 1.5 MeV-e-beam irradiation. A chemical transformation and charge transfer for the metal gold nanoparticle were systematically explor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Raman spectroscopy. This approach advances the numerous applications of graphene films as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 PDF

자기조립 풀러렌$[C_{70}]$-금 나노입자 필름 제조와 초음파적, 화학적 안정성 (Ultrasonic, Chemical Stability and Preparation of Self-Assembled Fullerene$[C_{70}]$-Gold Nanoparticle Films)

  • 고원배;손영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4호
    • /
    • pp.272-276
    • /
    • 2005
  • 3-aminopropyltrimethoxysilane을 처리한 반응성 있는 유리표면 위에 'dirt-ball' 방법을 사용하여 $C_{70}$-금 나노입자 다중성막 필름을 자기조립하였다. 표면처리한 유리막을 $C_{70}$${\omega}$-아미노기를 가진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용액속에 담그었다. 유기반응(아민화 반응)은 여러층으로 쌓인 다중성막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을 용이하게 자기조립 할 수 있었다.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의 화학적 안정성은 산성용액에 필름을 담근후 흡수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나노입자 필름의 초음파적 안정성은 초음파 조건에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을 노출하여 초음파를 조사 시킨후 고체 표면 위에 부분적인 탈착도의 변화와 작은 정도의 응집성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 금 나노입자 (Functional Gold Nanoparticles)

  • 이준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39-749
    • /
    • 2009
  • Ever since gold was found, this element has fascinated human beings. It is stable in air, and is illuminating for several thousands years without changing its colors. Nanoparticles are the basic nanommaterials, and, particularly gold nanoparticles show unique properties which are not shown in bulk states. Scientists are trying to apply these new properties to catalysts, bioscience, optics, etc. Judging from the current research activities, one can envisage that gold nanoparticles can play a major role in opening a new era in diagnoses and treatment of diseases like cancers. However to apply the nanoparticles one must modify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s in order to give the materials certain functionalities. It certainly is worth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challenges in the area of functional gold nanoparticles.

화학적환원에 의한 DNA-mediated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NA-mediated Gold Nanoparticles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 손준연;손정선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515-519
    • /
    • 2015
  • DNA템플릿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합성을 위하여 먼저 DNA와 Gold(III) chloride ($HAuCl_4{\cdot}3H_2O$)의 복합체를 합성하고 UV-Vis spectroscopy 등으로 확인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에 의해 그들의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합성된 복합체에 hydrazine ($N_2H_4$)과 sodium borohydride ($NaBH_4$)와 같은 환원제를 도입하여 화학적 환원을 유도함으로써 DNA 매트릭스에서의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환원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금 나노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환원제로 hydrazine ($N_2H_4$)을 사용한 경우 DNA-Au(III) complex의 환원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합성된 DNA-mediated gold nanoparticle에 대하여 SEM, particle size analyzer (PS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를 이용하여 특성조사를 하였다. 수 nm의 작은 입자들이 응집되면서 대략 55~80 nm의 크기를 갖는 금 나노입자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였고 이들은 DNA 매트릭스에서 확인되었다.

Investigation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as Acid-base pH Indicators and Their Transition pH Ranges

  • Jung, Byoung Gue;Jo, Jihee;Yu, Jin Won;Lim, Jong Ku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2호
    • /
    • pp.3595-3600
    • /
    • 2014
  • Monitoring of pH, especially under highly alkaline conditions, is necessary in various processes in the industrial, biotechnological,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fields. However, few pH indicators that can function at highly alkaline levels are available, and most of which are organic-based pH indicators. Several years ago, it was reported that gold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trisodium citrate dihydrate were rapidly aggregated at pH values higher than ~12.7. A shift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for such aggregated gold nanoparticles can be applied to pH indicators, allowing for the substitution of traditional organic-based pH indicator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pH indicators is the transition pH range. Herein,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are prepared using different reducing agents, and their transition pH range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nanoparticles prepared in this study exhibit similar transition pH ranges spanning 11.9-13.0, regardless of the nanoparticle material, reducing agents, and concentration.

금 나노입자를 활용한 두부 모의피폭체에서의 선량증가 효과 평가 (Evaluation of Dose Enhancement by Gold Nanoparticles using Mathematical Head Phantom)

  • 황철환;박은태;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77-483
    • /
    • 2016
  • 두부 모의피폭체를 활용하여 MV X, ${\gamma}$선에서의 선량증가 효과와 금 나노입자의 크기, 물질의 농도에 대한 의존성을 평가하였다. MCNPX code를 이용하여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입사 에너지는 4, 6, 10, 15 MV X선, Co60 ${\gamma}$선을 사용하였다. 두부 모의피폭체 내에 종양을 묘사하고 내부에 25, 75, 125 nm 직경의 금 나노입자를 삽입하였다. 나노입자의 농도는 5, 15, 25 mg/g을 적용하였으며, 선량 증가 물질이 없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선량증가비를 산출하였다. 입사 에너지가 낮을수록, 선량증가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선량증가비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의 크기는 입사 에너지가 낮고,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의존성을 보였다.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증가 효과를 나타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몬테칼로 기법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에서의 2차 전자 발생 평가 (A Monte Carlo Study of Secondary Electron Production from Gold Nanoparticle in Kilovoltage and Megavoltage X-rays)

  • 황철환;강세식;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3-159
    • /
    • 2016
  • 방사선과 상호작용으로 단일 금 나노입자로부터 나타나는 2차 전자의 발생과 입자 크기, 입사 에너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CNPX MC code를 이용하여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X선 에너지는 50, 100, 150 kV와 6, 15 MV를 사용하였다. 물 팬텀 내부에 30, 50, 70, 90, 110 nm 직경의 단일 금 나노입자를 위치시켜 10 nm 간격으로 계수 체적을 지정하였다. 금 나노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의 차이는 입자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나타내었으며, X선의 에너지가 낮을수록, 금 입자의 직경이 클수록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에너지가 낮을수록 나노입자의 크기와 전자 발생 간 선형식에서 높은 기울기 값을 나타내었으며, MV X선에 비해 kV X선에서 현저히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다양한 선량 증가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