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 O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오픈액세스 확산을 위한 APC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C Subsidy Policies to Encourage OA Publishing)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9-270
    • /
    • 2014
  • 전체 학술지 논문 가운데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20%-30%에 이르고 있고, 최근에는 출판 즉시 오픈액세스가 가능한 골드 OA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골드 OA를 출판하기 위한 선결 조건인 '논문 처리 수수료(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 지원에 관한 것으로 연구후원기관과 저자의 재직대학에서 어떠한 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수년 동안 연구후원기관의 APC 부담에 관한 타당성 검토와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왔고, 현재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단계이다.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서는 주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OA 펀드를 조성하여 APC를 지원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연구후원기관과 대학에서 논문의 그린 OA를 추진할 뿐, APC를 지원하여 골드 OA를 출판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주제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국내 연구자도 적지 않아 이들의 논문이 골드 OA로 출판된다면 국제적인 파급력은 크게 증진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연구후원기관과 대학도 골드 OA에 관심을 갖고 OA 전문 학술지와 하이브리드 학술지에서 요구하는 APC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기본 틀을 세우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pen Access (OA) 논문의 비중과 방식, 피인용 유도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Proportion, Method and Citation-inducing Effect of Open Access (OA) Articles)

  • 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3-94
    • /
    • 2023
  • 본 연구는 Web of Science (WoS) 논문을 기반으로 주요 5개국의 Open Access (OA) 논문 비중과 방식을 분석하고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 검증을 통해 OA의 피인용 유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OA 비중은 영국이 62.7%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이 38.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셀프 아카이빙과 Gold Hybrid가 OA의 주요 실천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난 영미와 달리, 중국과 한국의 OA 논문은 Gold 저널 출판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우수 논문의 OA 출판 및 유통이 활성화된 영국, 미국, 일본의 경우 OA 비중이 높을수록 피인용량을 유도하는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B=-0.00003, p<0.01)과 중국(B=-0.00001, p<0.01)에서는 역의 방향성이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대부분의 학문분야에서 OA가 피인용을 유도하였으나 공학 분야(B=-0.00002, p<0.01)에서는 역의 방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mpact of Open Access Models on Citation Metrics

  • Razumova, Irina K.;Kuznetsov, Alexander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2호
    • /
    • pp.23-31
    • /
    • 2019
  • We report results of selection-bias-free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open access (OA) models on citation metrics. We studied reference groups of Gold and Green OA articles and the group of non-OA (Paywall) articles with the new functionality of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database, the InCites platform of Clarivate Analytics, and the Dimensions database of Digital Science. For each reference group we obtained the values of the percent of cited articles and citation impact and their dependence on the depth of the citation period. Different research fields were analyzed in two schemas of the InCites platform. We report the higher values and growth rates of the citation metrics: citation impact and %Cited, in the OA reference groups over the Paywall group. The Green OA articles demonstrate the highest values of citation metrics among all the OA models. Dependence of the value of citation impact on citation period follows linear law with R2 values close to 0.9-1.0. The overall annual growth rates of citation impact of the Green OA, Gold OA, and the Paywall articles, k equal, respectively, 3.6, 2.4, and 1.4 in Dimensions and 4.6, 3.6, and 2.3 in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We suppose that earlier results reported for the articles in pure OA journals vs. articles in Paywall journals were affected by the high citation impact of the Green and Hybrid OA articles that could not be elucidated in the Paywall journals at that time.

해외 학술지 논문의 OA 접근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에 인용된 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Open Access to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based on Articles cit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김규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7-223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가 인용한 해외 학술지 논문의 OA 접근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관리학회지에 인용된 해외 학술지 논문 1,543편을 수집하였고 해외 학술지의 OA 정책과 OA 정책상 OA로 공개가 가능한 논문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OA finder(Google Scholar, Unpaywall, OA Button)들을 활용하여 실제로 온라인에서 어느 정도까지 접근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해외 학술지들은 대부분 그린 OA 정책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해외 학술지 논문의 95.4%에 해당하는 1,476편의 논문이 정책상 OA로 공개가 가능하였다. 이에 OA로 공개가 가능한 논문들에 대해 OA finder들을 활용하여 접근가능여부를 파악한 결과, Google Scholar가 68%로 가장 높은 OA 접근성을 보였고 Unpaywall과 OA Button은 각각 39%와 36%의 비슷한 OA 접근성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 OA finder들을 조합할 경우 최대 72%까지 OA 접근성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OI(Practical Openness Index)를 활용한 문헌정보학 연구자 국제학술논문의 개방성 연구 (Study on the Openness of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by Researche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POI (Practical Openness Index))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5-44
    • /
    • 2021
  • OA 논문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개별 연구자의 연구 성과 유통이 얼마나 개방적인지를 지수화하는 POI(Practical Openness Index)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이 국제학술지에 출판한 논문을 대상으로 OA 여부와 방식을 조사하고 연구자 단위의 POI를 도출해 지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자의 세부 연구 분야나 국제협력 활동이 개방성에 관련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Unpaywall을 통해 정상적으로 OA 여부와 방식이 식별된 논문은 82명 연구자의 492건으로 나타났으며, 20.7%의 논문만이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골드 OA 방식의 공개 논문은 의학 분야 저널에 수록된 텍스트마이닝 분야 논문이 많았으며, 그린 OA방식으로 공개된 논문은 외국인 공동저자 소속 기관의 리포지터리나 PMC와 같은 초국가적 주제 리포지터리에서 공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POI 지수는 절반 가량의 연구자가 0으로 나타났으나, 계량정보학, 기계학습 및 지식처리 영역의 연구자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의 해외공동연구 활동이 논문 공개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mparison of Surgical Infection and Readmission Rates after Laparoscopy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 Jo, Hey Sung;Boo, Yoon Jung;Lee, Eun Hee;Lee, Ji Sung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28-32
    • /
    • 2014
  • Purpose: Laparoscopic appendectomy (LA) has become a gold standard for children even in complicated appendic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surgical site infection rates between laparoscopic and open appendectomy (OA) group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Methods: A total of 1,158 pediatric patients (age ${\leq}$ 15 years) underwent operation for appendicitis over a period of 8 years. Among these patients, 274 patients (23.7%) were diagnosed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by radiologic, operative and pathologic findings, and their clinical outcom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Of the 274 patients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108 patients underwent LA and 166 patients underwent OA. Patients in the LA group returned to oral intake earlier (1.9 days vs. 2.7 days; p<0.01) and had a shorter hospital stay (5.0 days vs. 6.3 days; p<0.01). However, rate of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infection (organ/space surgical site infection) was higher in the LA group (LA 15/108 [13.9%] vs. OA 12/166 [7.2%]; p<0.01). Readmission rate was also higher in the LA group (LA 9/108 [8.3%] vs. OA 3/166 [1.8%]; p<0.01). Conclusion: The minimally invasive laparoscopic technique has more advantages compared to the open procedure in terms of hospital stay and early recovery. However, intra-abdominal infection and readmission rates were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high rate of organ/space surgical infection rate of laparoscopic procedure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1-124
    • /
    • 2020
  •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Outbreak and Spread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in Korea

  • Kim, Gyoung Hee;Kim, Kwang-Hyung;Son, Kyeong In;Choi, Eu Ddeum;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45-551
    • /
    • 2016
  • A bacterial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 is a causal agent of kiwifruit bacterial canker worldwide. Psa biovar 3 (Psa3) was first detected in 2011 at an orchard in Dodeok-myeon, Goheung-gun, Jeonnam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f an epidemiological study regarding Psa3 occurrence on kiwifruit orchards in Korea for the period of 2013 to 2015.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Psa3 in 2011, there was no further case reported by 2013. However, Psa3 was rapidly spreading to 33 orchards in 2014; except for three orchards in Sacheon-si, Gyeongnam Province, most cases were reported in Jeju Island. Entering 2015, bacterial canker by Psa3 became a pandemic in Korea, spreading to 72 orchards in Jeju Island, Jeonnam, and Gyeongnam Provinces. Our epidemiological study indicated that the first Psa3 incidence in 2011 might result from an introduction of Psa3 through imported seedlings from China in 2006. Apart from this, it was estimated that most Psa3 outbreaks from 2014 to 2015 were caused by pollens imported from New Zealand and China for artificial pollination. Most kiwifruit cultivars growing in Korea were infected with Psa3; yellow-fleshed cultivars (Yellow-king, Hort16A, Enza-gold, Zecy-gold, and Haegeum), red-fleshed cultivars (Hongyang and Enza-Red), green-fleshed cultivars (Hayward and Daeheung), and even a kiwiberry (Skinny-green). However, susceptibility to canker differed among cultivars; yellow- and red-fleshed cultivars showed much more severe symptoms compared to the green-fleshed cultivars of kiwifruit and a kiwiberry.

PLoS ONE 학술지 게재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 논문의 계량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n PLoS ONE Articles Published by Authors Affiliated with Korean Institutions)

  • 심원식;안병군;박성은;김현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7-69
    • /
    • 2020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에서 범학문적인 성격을 가진 PLoS ONE에 게재된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들의 출판 활동에 대한 계량적인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메가학술지인 PLoS ONE에 국내 연구자들은 2006년부터 2019년의 기간 동안 약 6,500여 개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였고 이는 국가 기준으로는 전세계 11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국내 기관 소속 저자들의 PLoS ONE 논문은 대부분 의생명 공학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PLoS ONE에 대한 논문 게재가 감소하고 Scientific Reports, BMJ Open 등과 같은 경쟁 메가학술지로의 이동이 감지된다. 이러한 변화는 논문심사 기간의 지연, 영향력 지수 감소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PLoS ONE에 10건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국내 교신저자의 전반적인 연구 업적을 보면 오픈액세스 출판 비중이 약 30% 수준으로 나타나 오픈액세스에 대한 수용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연구자별로 최대 50% 이상의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PLoS ONE에서 제공하는 이용지표 중에서 저장수는 열람수, 인용수와의 상관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오는 반면 공유수는 열람수, 인용수 그리고 저장수와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 출판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형식의 후속연구를 통해 오픈액세스 출판 배경, 심사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