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d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동물부작(韓國動物符作)과 식문화(食文化) - 고구려(高句麗) 고독(古讀)의 사신도(四神圖)를 중심(中心)으로 - (Animal Charm and Food-Culture of Korea - Focused on the Sa-Shin-do(pictures of Four gods)of the old tomb of Koguryo Dynasty -)

  • 김민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3
    • /
    • 1986
  • There is the picture of four gods(四神圖) painted on the wall of old tomb of Koguryo dynasty in $4{\sim}5$ century. Four gods in this picture were Symbolized by four animals, tortoise, tiger, ryong which is imaginative large Snake, and bong hwang which is also imaginative birds. Those animals wese believed at that time as protecting geities against all of the haman disaster and evils. The peoples of Kojosun dynasty carried those animal charms, and painted or graved on some where of living environment such as furniture, utensils, tools, wall, ceiling, etc. They ate those animals as food or medicine to treatment of all disieses and to get rid of evils and to gain well-being. A lot of examples in historical records were cited and interrelated to above super stitions.

  • PDF

상나라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본 삶의 세계 구축과 신, 인간, 동물의 관계 (The Construction of the Life World and the Relationship of Gods, Men, Animals seen through Hunting, Stock Raising, Sacrifice in Shang Dynasty)

  • 임현수
    • 종교문화비평
    • /
    • 제31호
    • /
    • pp.141-172
    • /
    • 2017
  • 이글은 상대 갑골문에 나타난 수렵, 목축, 제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글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물음을 축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상대 사회에서 수렵, 목축, 제사가 삶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담당한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도출할 수 있는 신, 인간, 동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두 가지 물음은 결국 상대구성원들이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가는 세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이해하였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던진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물음을 해명하기 위하여 기존 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마이클 퓨에트의 관점은 본고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그는 중국 고대사회에서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는 조화로웠으며 상호 조응하는관계였다는 기존의 입장을 비판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중국 고대사회는 신들의 세계가변덕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힘으로 가득하며 인간의 세계에 재앙을 끼칠 수 있는 위험을지닌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그는 제사와 점복이야말로 중국 고대사회에서 이러한 신들의 세계를 통제하기 위하여 동원되었던 장치라고 판단하였다. 본고는 그의 주장을 수렵과 목축에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거쳐서 본고가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는 두 가지 세계가 지닌 잠재적 위험성을 잠재우고자 진력하였다. 상대는 동물로 대표되는 자연의 세계와 신의 세계를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미지의 영역으로 파악하였다. 수렵, 목축, 제사는 삶에 무질서를 초래할지도 모르는 이 두 가지 힘의 영역을 통제하는 수단이었다. 둘째,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밝혀진 신, 인간, 동물의 관계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드러냈다. 수렵과 목축은 인간이 폭력을 사용함으로써 동물을 길들이는 중요 수단이었다. 동물은제사에서 폭력을 통해 살해되어 '희생'이 됨으로써 인간과 신의 메신저로서 새로운 위상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동물은 인간보다 열등하거나 우월한 성격을 모두 지닌 존재로서 신과 인간 사이에서 독특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건축의례를 통해 본 전통주거의 공간구조와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through the Building Rites)

  • 정영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7-75
    • /
    • 2001
  • There were the rites and customs in building of the traditional ho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eaning of the building rites, and to search the spa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traditional houses through the rites as establishing the true dwelling. The traditional houses show the oppositional structure of the sacred and profane through the rites and customs of the building as the communication with the gods and men. The traditional houses are the center of which the gods of four sides defined and have the cardinal points and vertical axis which has the mythical and symbolic meaning.

  • PDF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I) - 15신위와 양위상제를 중심으로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I) - Focusing on 15 Godship and Yang-wui Sangje (Sangje in two Godship) -)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3권
    • /
    • pp.241-292
    • /
    • 2014
  • This article as an attempt to analyze Jin-beop-joo(眞法呪, incantation of true law) and the view of Yang-wui Sangje(兩位上帝, Sangje in two Godship)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liminary work prior to the research on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The poi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Jin-beop-joo and 15 Godship(神位) based hereupon are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comprising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Since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except Daesoonjinrihoe does not use 15 Godship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Jeungsan, this fact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Daesoonjinrihoe. Second, 15 Godship is the important installation to assemble Sangje and the other gods in the same place. In Buddhism temples and China-Taoism temples, the gods each are placed in a separate palace. Whereas Sangje and the gods are concentrated in the same place, Yound-Dae(靈臺) which i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This fact shows Sangje takes the reins to the gods visually. 15 Godship facilitates that system. Third, the number 15 of 15 Godship symbolizes the natural laws of the cosmos. Thu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implies the law of universe emblematically. Forth, 15 Godship shows that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unctional gods ruling over nature like mountain, sea, season, the Great Dipper, and Taoistic or Buddhistic gods like Ok-hwang Sangje(玉皇上帝, The Great Jade Emperor), Seoga-Yeorae(釋迦如來, Tathāgata Buddha), Kwan-seong-Jegoon(關聖帝君, Holy god Guan Yu), along with various envoys and ancestral gods. Besid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15 Godship consists of the Eastern deities, it verifies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is built in the Eastern religions. Fifth, whereas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have a tendency of understanding Jeungsan as Ok-hwang Sangje, Daesoonjinrihoe worships Jeungsan as Gu-cheon Sangje(九天上帝), not as Ok-hwang Sangje. This accords with the following fact; Jeungsan is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Gu-cheon, whereas in Jinbeonju, which was handed down from Jeungsan, the highest ruling entitiy in Gu-cheon is expressed as a different being from Ok-hwang Sangje. Sixth, Daesoonjinrihoe understands Sangje as the form of two Godship, Yang-wui Sangje, which are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Judging from the form of salutation, the status of these two Sangjes are the same. Yet, the object of belief is Gu-cheon Sangje as the highest God, while Ok-hwang Sangje is stipulated as the one who has wielded a true law succeeding to the Gu-cheon Sangje's will. The religious term of Yang-wui Sangje don't imply meaning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are the same rank. Yang-wui Sangje is the term expresses Sangje in two Godship and involves the orthodox heritage of Daesoonjinrihoe.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 this article is written, while giving a thought to construct the religiography on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I hope this article accompanied with the previous one, can be contributed to the fertilization of the soil in the field of Daesoon religious studies.

한국 영화 속의 동양 미학적 의미 연구 - <신과 함께-죄와 벌>을 중심으로 - (A meaning Study of the Oriental Aesthetics of South Korean Films - Taking Along with the Gods : The Two Worlds as an Example -)

  • 석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7-94
    • /
    • 2019
  • 한국 영화는 섬세한 서사, 함축적인 감정 표현, 아름다운 장면으로 동양 미학 독특적인 묘미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영화 서사학 이론을 활용하여 한국 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에서 나타난 동양 미학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영화는 가족애를 주제로 한 판타지 영화이다. 아시아에서 많이 알리는 불교의 인과응보와 환생륜회를 영화의 틀로 하며 가족애를 영화의 핵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놀라운 시각 효과로 지옥의 세계를 그려졌는데 스릴러의 메인라인에서 가족애를 표현했다.

대화신도가사의 내용과 의의 (The Context and Significance of Songs of the Dao of Great Gods)

  • 김탁
    • 대순사상논총
    • /
    • 제43집
    • /
    • pp.139-177
    • /
    • 2022
  • 윤진(尹珍)이 1948년에 세운 대화신도(大化神道)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는 오열균이 편찬한 『목운대경(木運大經)』(1976)이다. 『목운대경』에는 「운회동방가(運回東方歌)」, 「궁을가(弓乙歌)」, 「도덕사(道德詞)」, 「팔괘구궁변역가(八卦九宮變易歌)」, 「낙당가(樂堂歌)」 등 5편의 가사가 실려 있다. 대화신도가사는 삼풍가(三豊歌), 양백세계(兩白世界), 궁을가(弓乙歌), 궁궁을을(弓弓乙乙), 양궁(兩弓), 을을(乙乙), 궁을선인(弓乙仙人), 삼인일석(三人一夕), 이재전전(利在田田), 궁을지리(弓乙之理), 냉금부금(冷金浮金), 석정곤(石井昆), 양백(兩白), 삼풍(三豊), 소두무족(小頭無足) 등 그 정확한 의미가 여전히 신비의 영역에 있는 한국 전래의 비결신앙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많이 보인다. 또 대화신도가사는 동방의 목운(木運)이 다시 돌아왔음을 노래한 가사이며, 하도(河圖)에 근거하여 3, 8 목(木)의 운수를 강조한 가사이다. 대화신도에는 도교적 영향이 많이 확인되고, 산신(山神) 기도에 주력했던 민간신앙적인 요소도 자주 보인다. 그리고 유교의 영향도 일부 확인된다. 대화신도가사는 창시자 목운 자신이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을 계승한 인물로 자처하며, 봄으로 상징되고 표현되는 후천(後天)이라는 이상사회가 대화신도에 의해 전개될 것을 노래하고 있다. 대화신도가사는 이미 기독교가 한국 사회에 적극적으로 수용되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어서 예수에 대한 언급이 종교를 서술하는 대목에서 빠지지 않고 확인된다. 대화신도가사는 낙당세계(樂堂世界)라는 독창적인 용어로 동방의 목운(木運)이 돌아옴으로써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새 세상이 이루어지리라고 읊었다. 봄을 상징하는 목운을 강조하고, 수운(水雲)의 뒤를 이어 수생목(水生木)이라는 동양의 역학(易學) 원리에 따라 대화신도가 출현하였다고 주장하였다.

巫俗服飾의 象徵的 意味에 관한 硏究(II) -在日 韓國人의 宗敎生活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haman`s Costume(II)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이자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68-81
    • /
    • 1999
  • This paper makes a report of Shaman\`s ritual performed among Korean resiednts in Japan as socio-historical facts, and this also examines the symbolic meanings of Shamans\` costu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t the ritual of Jungsip-Wang Maji, Shamans wear Gwandae, Kunbok, Jangsam, Durumaki, and Chima-jugori. These costumes show that their wearers are priests and gods at the same time. 2) The reason why Simbang performs the ritual in different costumes at different Jaechas is that each object-god needs different costumes to represent its different character. 3) Shamans\` instruments consist of musical instruments and other instruments. Among the musical instruments are such percussions as Buk, Jing, Janggo and Sulsae. Among other insttruments are Sindo, Sanban and Yoryung. 4)Shamans think that the musical instruments have magic powers to drive out minor demons and invite gods. Sindo, Sanban and Yoryung are thought to be the symbolic instruments representing god\`s will.

  • PDF

십이지신 캐릭터 소재 문화상품디자인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Guideline for the Cultural Goods Design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 Twelve Horary Signs of Gods)

  • 문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601-610
    • /
    • 2016
  •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 문화상품은 한 민족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어 세계화속에서 그 민족의 전통과 문화 및 기술의 척도가 되고 있다. 십이지신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오늘날까지 이어온 우리 민족의 고유한 신앙과 사상의 산물이다. 따라서 문화상품의 범주에는 많은 것들이 속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십이지신 캐릭터에 한정해 문화상품으로서 디자인을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십이지신 캐릭터 문화상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문화상품의 개념 및 분류, 한국 전통의 조형적 특성, 캐릭터의 개념 및 구성요소, 십이지신의 상징적 의미 및 특성, 십이지신 캐릭터의 의인화, 십이지신 캐릭터의 유형별 이미지들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문화상품화 대상의 기준, 문화상품의 이미지, 십이지신 캐릭터의 적용대상 분류, 적용할 한국 전통의 조형적 특성, 캐릭터의 선호도, 십이지신 캐릭터의 의인화 및 십이지신 캐릭터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타난 고대 장신구 연구 (An Inquiry into the Ancient Jewelry of Ancient Egypt Myth)

  • 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71-183
    • /
    • 2009
  • 고대의 정신세계는 인류의 사상의 근원이 되는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의 발달로 점차 소멸되어가는 인류의 근원적 정신세계를 고대 신화적 요소에서의 상징적 표현으로 나타나는 고대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로부터 연구하여, 신들의 장신구를 통해 반영되어진 고대인들의 정신세계의 독특한 인간관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집트에서 장신구는 장식적 역할도 분명하지만, 그 근본적인 목적은 부적 즉, 신체의 취약한 부분에 지님으로써 신비적이고 적대적 힘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면에서 시사하는 것처럼 인류는 인간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초월적인 문제를 초자연의 힘을 빌려 해결하려 하였고,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해가기를 추구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인류의 문명을 대표하고 있는 이집트 장신구의 형성 과정을 이집트 문화적 배경과 신화를 통해, 신들의 장신구에 내포되어 있는 정신적 의미와, 신들의 장신구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집트인들이 신들의 장선 구를 통해 무엇을 염원하였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들은 첫째로 자연을 묘사하고 있었고 둘째는 선분의 상정, 성별의 구분과 종교의식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셋째로는 사후세계를 믿었음을 보여주었고 마지막으로 부활을 상징하고 있었다.

모리스 꾸랑의 『한국 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A Study on Taoism Scripture includ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50호
    • /
    • pp.269-303
    • /
    • 2016
  • 본 연구는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 '도교' 관련 해제들에 대한 고찰이다. 모리스꾸랑은 전임공사인 쁠랑시의 조언과, 한학에 능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3000종이 넘는 도서들을 수집하여 "한국 서지"(1896)를 집필하였다. 모리스꾸랑은 도교관련 경전들을 분류하면서 '경서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에 대한 숭배의식', '기타'의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에 담긴 도교 부분은 다음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19세기 말 관제신앙의 유행과 삼성신앙의 확대이다. 그의 도교서지는 대부분 19세기 말 조직화 되었고, 삼성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무상단'에서 출판한 책들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둘째 모리스꾸랑이 자생적인 도교경전을 찾으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는 한글본 "도덕경"을 찾으려 노력했고, 한국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조선난서'인 "문창제군몽수비장경(文昌帝君夢授秘藏經)" 등을 다루었다. 셋째 그의 연구를 통해 당대의 도교의 지형도를 살필 수 있다는 점이다. 그가 살던 시기, 관묘를 중심으로 하는 도교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고, 최초의 도교교단이었던 '무상단'이 조직적으로 활동했으며, "번석자문(飜惜字文)"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적 사회실천 모임이 있었다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1890년대 조선은 열강사이에서 나라의 주권을 잃어가고 있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 왜 대량의 민간도교경전이 간행되고, 사회의 지도층까지도 삼성신앙을 가졌던 것인가? 이러한 지도층의 태도를 선교사들은 '무당들과 주술사들이 이 나라를 그리고 지배자들까지를 지배하고 있으며, 고종이 역술가에게 포위된 채 생활하였다'라고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민간도교에 기반 한 '대종교'는 항일운동의 구심점이 되기도 하였다. 아직까지도 조선후기 난서의 유행과 삼성신앙에 기반 한 민간도교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1890년대 초 조선을 다녀가 "한국서지"를 남긴 모리스꾸랑을 연구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