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oGo 과제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한 정서 Go/NoGo과제에서 나타난 정신병질집단의 반응억제: 예비 연구 (An Event-Related Potential Investigation of Response Inhibition in Psychopathy using Emotional Go/NoGo Tasks : A Preliminary Study)

  • 김영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2
    • /
    • 2011
  •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자들이 정서인식에 따른 반응억제의 어려움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도소에 수용 중인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의 점수에 따라 6명의 정신병질 수형자집단과 4명의 정상 수형자집단을 선별하고, 얼굴자극을 이용한 시각 Go/NoGo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Go 자극에 버튼을 누르고 NoGo 자극에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지시를 받았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과제 1에서는 공포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과제 2에서는 슬픈 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이 중성표정의 Go P3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에 정상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과 중성표정 간의 P3 요인의 진폭이 유사하거나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보다 중성표정의 Go P3 진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P3 잠재기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슬픔 표정자극의 NoGo조건에서 중성표정자극의 Go조건보다 느린 P3 잠재기를 나타낸 반면, 정상 수형자집단은 NoGo조건에서 Go조건보다 빠른 P3 잠재기를 나타냈다. 정서인식검사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정상 수형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이 공포,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한 후에 반응을 억제하는데 인지적인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강박장애 환자의 반응억제 결함 (Impaired Response Inhibition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부영준;김세주;강지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37
    • /
    • 2015
  • Objective : Impaired response inhibition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ponse inhibition in patients with OCD, by using the Go/NoGo paradigm, and to better understand its associations with clinical symptoms. Methods : The participants included 63 OCD patients and 80 healthy volunteers matched in age and sex. response inhibition was evaluated using computerized Go/NoGo task, in which their commission error rates, omission error rates, and mean response times were measured.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s in the OCD patients was assessed using Montgomery-Asberg Depression Scale and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 Result : OC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impaired inhibition and higher omission errors rates despite their slower response time, compared to normal controls. Clinical symptoms were not correlated with commission errors and omission errors.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impairment in response inhibition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OCD as a trai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ficit of response inhibition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and maintaining clinical symptoms such as compelling need to repeat certain actions in patients with OCD.

약물 복용력이 없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아의 시각적 Go/NoGo 과제 수행결과 및 수행시의 사건관련전위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the Visual Go/NoGo Task in Drug-Naive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김건우;이중선;박수빈;홍진표;김성윤;유한익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0권2호
    • /
    • pp.61-67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ug-naive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during the Go/NoGo task. Methods: Twenty-three boys with ADHD and 18 age-matched normal boys were recruited at a child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in Seoul. All subjects were assessed by the Kiddie Schedules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Present and Lifetime version. The investigator also assessed all subjects using the ADHD Rating Scale-IV(ADHDRS).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recorded from 8 scalp electrodes during the visual Go/NoGo task. Results: Children with ADHD showed a larger mean of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during the Go/NoGo task than normal children. The temporal N200 and P300 amplitudes were larger in children with ADHD relative to controls. The parietal N200 and P300 latencies were more prolonged in children with ADHD compared to normal contro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tropic-naive children with ADHD may have more variable performance ability, more difficulty in discriminating visual stimuli, and slower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than their normal age-matched counterparts.

  • PDF

억제적 통제 및 행동 감시간의 관계: 사건관련전위 연구 (The Relationships between Inhibitory Control and Action Monitoring;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 강승석;박성근;하태현;노규식;김명선;권준수
    • 인지과학
    • /
    • 제14권4호
    • /
    • pp.1-7
    • /
    • 2003
  • 본 연구는 집행기능의 범주에 속하는 행동적 억제(behavioral inhibition) 기능과 행동 감시(action monitoring) 기능의 공통점을 사건관련전위 요소 및 그 뇌 신경원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들에게 Go/NoGo 과제를 수행시키면서 측정, 분석한 사건관련전위인 N200 및 P300 요소는 NoGo 조건의 경우 전두엽 쪽에서 더욱 큰 진폭을 보였다는 점에서 NoGo 조건에서 요구되는 행동적 억제기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전두엽 영역에서 오류반응 후에 관찰되는 부적 전위인 ERN 정반응 이후 관찰되는 CRN에 비해 보다 큰 진폭과 빠른 잠재기를 보였다는 점에서 행동감시의 신호가 오류반응에 대해 보다 크게 요구되는 것이라 추론할 수 있었다. 행동적 억제의 지표인 NoGo 조건에서의 N200과 P300 요소의 잠재기와 행동감시의 지표인 ERN 요소의 진폭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행동적 억제의 효율성이 높은 피험자일수록 행동감시의 정도 또한 크게 나타냄을 시사하는 결과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집행기능 지표들간의 관련성은 이들 사건관련전위 요소들의 신경원이 거의 유사한 위치인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에서 나타난 뇌 신경원 국소화법 결과를 통해서도 지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전대상피질의 집행적 통제기능이라는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 PDF

동작관찰훈련프로그램이 편마비환자의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Program on Gait and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 김해리;우성희;이효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4-597
    • /
    • 2017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동작관찰 훈련이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만성 뇌졸중 편마비 환자 4명중 동작관찰훈련을 시행한 실험군 2명 일반과제지향훈련을 시행한 대조군 2명에게 총 4주간 하루 30분씩 훈련하였다. 훈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전 보행은 10m검사를 시행하였고 균형은 버그균형척도로 검사하고 훈련 후 다시 재측정하였다. 이에 동작 관찰 훈련군이 일반과제지향훈련군에 비해 보행과 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동작관찰훈련이 만성뇌졸중 편마비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 PDF

의미적 표상 및 매개체와 무관한 단순 행동의 주의력 증진 효과 (Action effect: An attentional boost of action regardless of medium and semantics)

  • 김도균;지은희;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34권3호
    • /
    • pp.153-180
    • /
    • 2023
  • 행동 효과(action effect)란, 특정 자극에 대한 단순한 행동이 이후의 시각 탐색 과제에서 해당 자극의 인지적 처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는 행동을 지시하는 단어의 의미적 표상과 실제로 수행하는 행동의 종류가 행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실험 1은 선행 연구의 실험 패러다임을 반복 검증하였다. 참가자는 화면을 통해 제시되는 "출발" 또는 "정지"의 행동 지시어를 보고 뒤이어 나타나는 원형 자극에 대하여 키보드를 이용해 응답하거나(출발 조건) 응답하지 않았다(정지 조건). 다음으로, 참가자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선분을 찾아 기울어진 방향을 보고하는 시각 탐색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때 표적 자극은 이전에 제시되었던 원형 자극 위에 나타나거나(타당 조건) 다른 자극 위에 나타날 수 있었다(비타당 조건). 시각 탐색 과제의 반응 속도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와 동일한 행동 효과(행동 조건과 타당도 조건의 상호작용)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반응 도구 및 물리적 행동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에도 행동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참가자는 제시되는 행동 지시어에 대하여 키보드를 이용해 응답하였으나, 시각 탐색 과제에서는 조이스틱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반응을 보고하였다. 그 결과, 타당도에 따른 주효과 및 행동 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의 의미적 표상이 행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3에서는 두 행동 조건 모두 반응을 하지 않게 하였고, 실험 4에서는 두 행동조건 모두 각기 다른 키를 사용하여 반응하게 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 타당도에 따른 주효과만 유의미했으며 행동 효과는 관측되지 않았다. 실험 3과 실험 4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 유형과 타당도 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행동 지시어의 의미적 표상만으로는 행동 효과를 야기할 수 없으며, 이중과제 패러다임에서 물리적 반응의 도구 및 종류와 상관없이 행동 효과가 관찰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인지적 통제 과정에 미치는 노화의 비대칭적 영향: ERP 연구 (Asymmetric effect of aging on cognitive control processes: An ERP study)

  • 진영선;김현옥
    • 인지과학
    • /
    • 제28권4호
    • /
    • pp.245-265
    • /
    • 2017
  • 최근 인지적 통제에 대한 연구들은 최적의 통제 수준이 보상과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보상이 가지는 가치는 주관적이며 이에 따라 최적의 신호 강도도 달라진다. 우리는 인지적 통제에 대한 노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비일관적인 이유가 노인이 탄력적으로 통제 신호를 조절한 결과일 수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노인은 최적의 통제 수준을 결정하는 능력을 잘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전대상회의 역할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인지적 통제에서 노화에 따른 기능의 감퇴는 주로 규칙 표상의 유지와 억제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외측전전두피질이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과 노인에게 보상의 유형을 조절한 Go-Nogo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각 보상 조건에서 행동결과와 ERN(Error-Related Negativity) 크기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모두는 각 연령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에서 가장 뛰어난 행동 수행과 가장 큰 ERN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노인은 d'과 정확률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었으나 ERN의 크기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지적 통제의 각 과정에 대한 노화의 영향이 상이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억제능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INHIBITION, PLANNING,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김귀애;김상엽;홍창희;이명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82-90
    • /
    • 2004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주요 3가지 실행기능 영역인 억제능력, 작업기억, 그리고 계획능력 면에서 정상아동과의 수행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행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나이와 지능을 통제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억제통제능력을 인지억제와 행동억제로 구분하여 수행을 비교연구 하였다. 방 법:대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아동 25명으로 연령범위는 7세에서 12세였고, 비교집단은 동일연령의 정상 아동 25명이였다. 모든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지능검사와 실행기능 검사(고노고, 스트룹 간섭과제, 하노이탑, 숫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나이와 지능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 과:지능에서 ADHD아동과 정상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이는 각 실행기능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ADHD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서 억제능력과 작업기억에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하지만, 지능과 나이를 통제했을 경우, 작업기억과 계획능력에서는 수행차이가 없었다. 논 의:ADHD아동은 전반적인 실행기능에서 손상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억제능력(인지억제와 행동억제)에 어려움이 있으며, 억제능력이 ADHD의 주요결함임을 시사해준다. 이와 같은 결론은 치료적 개입시 인지억제 및 행동억제에 중점을 둔 치료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PDF

뇌졸중 환자에서 이중 과제로서의 산술 과제 난이도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ithmetic Task Difficulty level as a Dual Task on the Gait in Post-stroke Patient)

  • 김민숙;구봉오
    • PNF and Movement
    • /
    • 제7권4호
    • /
    • pp.31-36
    • /
    • 2009
  • Many daily activities require people to complete a motor task while walking. Substantial gait decrements during simultaneous attention to a variety of cognitive tasks have been shown by a group of severely injured neurological patients of mixed etiology. A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attentional load of a walking-associated task increased with its level of difficu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jects' gait changes are affected by the effects of arithmetic task difficulty and performance level. Participants performed a walking task alone, three different Arithmetic tasks while seated, and among them, two kinds of the simillar Arithmetic tasks in combination with walking. Reaction time and accuracy were recorded for two of the Arithmetic tasks. The mean values of the gait were measured using a Timed Up and Go test among 11 with post-stroke patients while walking with and without forward counting (WFC) and backward counting(WBC).There was significant Arithmetic Task Difficulty level between the 10-forward counting task condition(FC) and the 10-backward counting task condition(BC)(p=0.008). The mean values of T.U.G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under backward counting dual-task condition than during a simple walking task(p=0.009) and WFC(p=0.009). The change in T.U.G time during WFC was higher when compared with the change during a simple walk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246). This study suggesting that a high interference could be linked with a high level of difficulty, whereas adaptive task enabled participants to perfectly share their attention between two concurrent tasks. Future research should determine whether dual task training can reduce gait decrements in dual task situations in people after stroke. And the dual-task-based exercise program is feasible and beneficial for improving walking ability in subjects with stroke.

  • PDF

FES와 과제지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복부근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sk Oriented Exercise and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using FES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 홍종윤;이효정
    •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7-12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ask-oriented exercise and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s: Ten stroke patien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ssigned randomly into two groups of five. One group received FES therapy before task-oriented training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group received a FES placebo before task-oriented training (control group).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an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ate changes of each item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rectus abdominalis and external oblique muscle thickness tests that used ultrasou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5). In the Balance test that used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5). Conclusions: FES therapy before task-oriented training increases the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s and improves balance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