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2초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on Steroidogenesis and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 이효진;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53-362
    • /
    • 2009
  •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m\ell$ GnRH와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 여부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GnRH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100 ng/$m\ell$ GnRH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GnRH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GnRH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시 사용되고 있는 GnRH 작용제가 난소의 기능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다량으로 투여되는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난소에 대한 GnRH의 생리적 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새로운 과배란 유도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fferential Growth of the Reproductive Organs during the Peripubertal Period in Male Rats

  • Han, Seung Hee;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469-475
    • /
    • 2013
  • In mammals, puberty is a process of acquiring reproductive competence, triggering by activation of hypothalamic kisspeptin (KiSS)-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neuronal circuit. During peripubertal period, not only the external genitalia but th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have to be matured in response to the hormonal signals from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H-P-G) axi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maturation of male rat accessory sex organs during the peripubertal period using tissue weight measurement, histological analysis and RT-PCR assay. Male rats were sacrificed at 25, 30, 35, 40, 45, 50, and 70 postnatal days (PND). The rat accessory sex organs exhibited differential growth patterns compared to those of non-reproductive organs. The growth rate of the accessory sex organs were much higher than the those of non-reproductive organs. Also, the growth spurts occurred differentially even among the accessory sex organs; the order of prepubertal organ growth spurts is testis = epididymis > seminal vesicle = prostate. Histological study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sperms in seminiferous tubules and epididymal ducts at day 50, indicating the puberty onset. The number of duct and the volume of duct in epididymis and prostate were inversely correl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ur RT-PCR revealed that the levels of hypothalamic GnRH transcrip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on PND 40, suggesting the activation of hypothalamic GnRH pulse-generator before puberty onset. Studies on the peripubertal male accessory sex organs will provide useful references on the growth regulation mechanism which is differentially regulated during the period in androgen-sensitive organs. The detailed references will render easier development of endocrine disruption assay.

자궁내막증환자에 투여된 GnRH Analogues의 치료효과 및 부작용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GnRH Analogues in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 조수현;김선행;이여일;박기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179-185
    • /
    • 1997
  • $23{\sim}40$세 (평균 연령 31.6세)의 자궁내막증 환자35명 (1기 7명, 2기 7명, 3기 14명, 4기 7명)을 대상으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oserelin) 3.6 mg을 한달 간격으로 6개월 복부의 피하에 이식한 후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달 호르몬 검사와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투여 1개월 후 혈청 estradiol농도는 30 pg/mL이었고 이후 치료중 $10{\sim}20$ pg/mL를 유지하였으며 투여를 중간한 1개월 후 50 pg/mL로 증가하였다. 혈청 LH농도는 치료 중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투여를 중단한 후 증가하였다. FSH는 투여 1개월 후 감소하였으나 2개월후부터 계속 치료전과 같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혈청 CA-125치는 19명중 10명에서 치료전에 35 mIU/mL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치료 2개월 후부터 모두 정상으로 감소되었다. 월경곤란증은 치료 3개월째 완전히 소실되었고 성교통은 치료가 끝날 때까지 20%의 환자에서 지속되었다. 백혈구수, 혈색소, 전해질, 단백질, 빌리루빈 및 간효소는 치료 중 모두 정상이었다. 혈압과 체중도 치료전, 치료중에 변화가 없었다. 투여후 86%의 환자가 안면홍조를 63%에서 질건조증을 20%가 두통, 우울을 호소하였다. 이와 같은 부작용은 투여를 중단한 1개월 후 모두 소실되었으며 부작용 때문에 투여를 중단한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GnRH-a는 난소의 estradiol생산을 완벽하게 중단시키고 골반증상을 완하시켜 자궁 내막증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안면홍조와 같은 부작용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향후 호르몬 보충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사료된다.

  • PDF

중추성 성조숙증 및 조기 사춘기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작용제의 용량에 따른 사춘기 억제 효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puberty suppression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in precocious or early puberty girls)

  • 심계식;배종우;양유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34-639
    • /
    • 2008
  • 목 적 : 중추성 성조숙증 또는 조기 사춘기 소아에서 사춘기 진행의 억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GnRH agonist의 적절한 용량에 대하여 논란이 많다. 따라서 치료의 표준화가 힘들고 치료에 대한 반응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중추성 성조숙증 또는 조기 사춘기 여아에서 GnRH agonist의 용량에 따른 사춘기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적당한 용량을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조기 사춘기 혹은 성조숙증으로 진단받고 GnRH agonist를 투여하기로 한 여아 22명을 임의로 3군으로 나눠서 1군은 leuprolide acetate $70{\mu}g/kg$, 2군은 $90{\mu}g/kg$, 3군은 $110{\mu}g/kg$을 투여하였다. 치료 전, 치료 후 6개월에 채혈하여 황체화 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을 검사하였고, 신장, 체중, 골 연령, 성성숙도의 변화를 평가하여 modified puberty suppression score를 구하여 억제된 경우는 2점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역연령과 골연령의 평균은 Kruskal-Wallis test로 차이의 유무를 검정하였고, 억제가 된 경우와 되지 않은 경우의 수를 비교하여 two-by-K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군, 2군, 3군의 치료 전 역연령은 각각 $8.7{\pm}0.9$, $8.8{\pm}1.0$, $8.7{\pm}0.8$세, 골 연령은 $11{\pm}0.8$, $11{\pm}0.9$, $11{\pm}0.8$세, 신장표준편차점수는 $1.1{\pm}0.9$, $1.1{\pm}0.9$, $1.2{\pm}0.9$, 예측 성인키의 신장표준편차점수는 $-1.4{\pm}0.8$, $-1.4{\pm}1.1$, $-1.4{\pm}0.6$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1군, 2군, 3군의 치료 전 혈중 황체화 호르몬은 각각 $3.0{\pm}2.9$, $3.0{\pm}2.3$, $3.0{\pm}3.4IU/L$, 에스트라디올은 각각 $1.5{\pm}1.0$, $1.4{\pm}0.9$, $1.6{\pm}1.0ng/dL$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난포자극호르몬은 각각 $4.1{\pm}2.6$, $6.3{\pm}0.3$, $3.1{\pm}2.5IU/L$, 프로게스테론은 $33.9{\pm}17.1$, $30.6{\pm}14.7$, $35.8{\pm}14.8mg/dL$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1군, 2군, 3군 각각의 6개월 치료 후 신장표준편차점수의 변화는 $0.3{\pm}0.4$, $0.2{\pm}0.3$, $0.1{\pm}0.1$로서 1군과 2군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3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1군, 2군, 3군의 치료 후 각각의 황체화 호르몬은 $0.5{\pm}0.3$, $0.4{\pm}0.3$, $0.3{\pm}0.3IU/L$, 난포자극호르몬은 $2.4{\pm}1.8$, $1.9{\pm}1.6$, $1.3{\pm}0.9IU/L$, 에스트라디올은 $0.9{\pm}0.8$, $0.9{\pm}0.8$, $0.9{\pm}0.9ng/dL$, 프로게스테론은 $19.5{\pm}8.7$, $18.0{\pm}7.7$, $16.9{\pm}7.2ng/dL$ 로서 치료 전과 비교하여 세 군에서 모두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난포자극호르몬과 프로게스테론은 다른 군에 비하여 3군에서 더욱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5). 사춘기 억제가 된 경우는 1군 7명중 4명, 2군 7명중 5명, 3군 8명중 8명이었고, 억제가 안 된 경우는 1군과 2군에서 각각 2명씩으로 3군에서 의미 있게 억제되는 경우가 많았다(P<0.05). 3군의 2명에서 치료 초기 주사 부위의 경미한 동통 외에 특이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 조기 사춘기 여아에서 사춘기의 진행을 막기 위해서는 성선 자극 호르몬이 보다 억제 될 수 있도록 고용량의 GnRH agonist의 투여가 필요하며, 적절한 용량에 대한 보다 많은 수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시 GnRH Agonist(Lupron)와 성선자극호르몬 복합 투여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The Efficacy of a Combination Administration of GnRH Agonist(Lupron) and Gonadotropins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in IVF Program)

  • 문신용;이진용;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29-44
    • /
    • 1990
  • In 105 patients with the past history of poor response to the previous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due to poor follicular growth or premature LH surge, the effectiveness of pituitary suppression wit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GnRH agonist) in IVF/GIFT program was evaluated in 112 cycles of COH using a combination regimen of Leuprolide acetate (Lupron TAP Pharmaceuticals, USA) and FSH/hMG or pure FSH from May to December, 1989 at SNUH. Starting on day 21 of the menstrual cycle(MCD #21, Day 1), Lupron (1.0mg/day, subcutaneous) was administered once a day till next MCD #3(suppression phase). After the confirmation of pituitary suppression, ovarian follicular growth was stimulated with FSH/hMG or pure FSH from MCD #3(Day + 1), and Lupron was continued with hMG or FSH until hCG administration (D 0) (stimulation phase). After suppression phase, serum E2 level decreased from 183.7${\pm}$95.1(Day 1) to 17.4${\pm}$12.3pg/ml (Day +1), and serum progesterone level from 19.17${\pm}$8.67 to 0.12${\pm}$0.05ng/ml. But there was no decresas in serum LH and FSH levels; LH from 12.74${\pm}$6.21 to 15.49${\pm}$4.93mIU/ml,FSH from 7.60${\pm}$3.84 to 8.58${\pm}$3.15 rnlU/ml. There was no occurrence of premature LH surge during COH. Eleven cycles(9.8%) were cancelled due to poor follicular growth during stimulation phase, and 3 cycles (3.0%) failed in the transvaginal oocytes fretrieval. Serum E2 level was 1366.8${\pm}$642.4 on D 0 and 1492.3${\pm}$906.9pg/ml on D+1. 7.00${\pm}$3.32 follicles(FD${\geq}$12mm) were observed on D 0, and 6.11${\pm}$4.15 oocytes were retrieved, with the oocyte retrieval rate per follicle of 95.0%. 3.59${\pm}$2.57 oocytes were fertilized and cleaved with the oocyte cleavage rate of 55.7%. In 83 IVF patients, 4.08${\pm}$2.39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16 pregnancies were obtained with the pregnancy rate per ET 2.39 mebryos were transferred, and 16 pregnancies were obtained with the pregnancy rate per ET of 19.3%. In 6 GIFT patients, 7.83${\pm}$3.31 oocytes were retrieved and transferred with maximum number of 6, but no pregnancy was obtained. When compared with the previous 108 cycles of COH using FSH/hMG or pure FSH regimen, the cancellation rate during CO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ll the parameters of the outcome of COH including the pregnancy rate were increased. These data suggest that GnRH agonist therapy for pituitary suppression is an effective adjunct to the current gonadotropin regimens for COH in IVF/GIFT and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ocytes retrieval and pregnancy, especially in the previous poor responders.

  • PDF

Preliminary clinical outcome of novel strategy for the maximization of cumulative pregnancy rates per retrieval in normal responders

  • Joo, Jong-Kil;Choi, Jong-Ryeol;Son, Jung-Bin;Ko, Gyoung-Rae;Lee, Kyu-Sup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9권1호
    • /
    • pp.33-39
    • /
    • 2012
  • Objective: We devised a novel strategy, a GnRH antagonist protocol with a GnRH agonist trigger followed by frozen-thawed blastocyst transfers with long zona dissection (LZ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is new strategy according to age. Methods: Ninety women aged less than 35 (group A) and 32 women aged 35 to 39 (group B) underwent the GnRH antagonist protocol with a GnRH agonist trigger in order to obtain many oocytes and prevent early-onset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All oocytes were cultured to the blastocyst stage and all blastocysts grade 3BB or better were cryopreserved. Embryo transfers were only performed in freeze-thaw cycles to prevent late-onset OHSS and to overcome embryo-endometrium dyssynchrony. LZD was performed just after thawing to improve hatching and implantation rates. Results: The average numbers of retrieved oocytes and blastocysts grade 3BB or better were $12.8{\pm}5.5$ and $4.4{\pm}2.6$ in group A and $10.9{\pm}7.4$ and $2.5{\pm}2.2$ in group B, respectively, and OHSS did not occur in any of the women. Implantation rates were 46.7% in group A and 39.3% in group B. Cumulative clinical pregnancy rates per retrieval were 77.8% in group A and 62.5% in group B. Cumulative ongoing pregnancy rates per retrieval were 71.1% in group A and 53.1% in group B. Conclusion: GnRH antagonist protocol with GnRH agonist trigger followed by frozen-thawed blastocyst transfers with LZD can generate many blastocysts without OHSS and maximize cumulative pregnancy rates per retrieval. This strategy is more effective in young women aged less than 35 than in women aged 35 to 39.

Factors influencing serum progesterone level on triggering day in stimulated in vitro fertilization cycles

  • Park, Ju Hee;Jee, Byung Chul;Kim, Seok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2권2호
    • /
    • pp.67-71
    • /
    • 2015
  • Objective: Elevated serum progesterone (P) levels on triggering day have been known to affect the pregnancy rat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serum P levels on triggering day in stimulated IVF cycles. Methods: Three hundred and thirty consecutive fresh IVF cyc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cycles were first attempts and were performed in a single infertility center. The indications for IVF were male factor infertility (n=114), ovulatory infertility (n=84), endometriosis (n=61), tubal infertility (n=59), unexplained infertility (n=41), and uterine factor infertility (n=39). A luteal long protocol of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n=184) or a GnRH antagonist protocol (n=146) was used for pituitary suppression. Ovarian sensitivity was defined as the serum estradiol level on triggering day per 500 IU of administered gonadotropins (OS[a]) or the retrieved oocyte number per 500 IU of administered gonadotropins (OS[b]). Results: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rum P level on triggering day was associated with the serum estradiol level on triggering day (r=0.379, p<0.001), the number of follicles ${\geq}14mm$ (r=0.247, p<0.001),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r=0.384, p<0.001), and ovarian sensitivity (OS[a]: r=0.245, p<0.001; OS[b]: r=0.170, p=0.002). The woman's age, body mass index, antral follicle count, and basal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estradiol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serum P level on triggering day. The serum P level on triggering day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depending on the type or cause of infertility, pituitary suppression protocol, or the type of gonadotropins used. Conclusion: The serum P level on triggering day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sponse to ovarian stimulation.

과배란유도 여성에서 우성난포의 성장속도 (Growth Rate of Dominant Follicles Dur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 황은주;구승엽;김용진;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53-259
    • /
    • 2010
  • 목 적: 과배란유도 환자에서의 우성난포의 성장속도와 임상인자들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 313주기를 대상으로 혈중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고 과배란유도 주기 중 난포 직경의 변화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우성난포의 성장 속도를 계산하고, 임상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작용제와 길항제 주기 사이에 우성난포의 성장속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우성난포의 성장속도와 환자의 연령, 체질량 지수, 생리 시작 3일의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luteinizing hormone, 에스트라디올, 획득 난자의 수, 수정률 등의 임상지표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우성난포의 성장속도는 난소 반응을 포함한 임상지표와 연관성이 없는 독립적인 변수임을 시사한다.

성조숙증 혹은 조기 사춘기가 있는 여아에서 단기간의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사용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nRH analogue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precocious or early pubertal girls)

  • 임정숙;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70-1376
    • /
    • 2009
  • 목 적: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로 성조숙증을 치료하는 동안에 성선자극호르몬이 억제되고 성선 스테로이드가 감소되면 사춘기 발달동안의 골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 성조숙증 혹은 조기 성성숙이 있는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혹은 성장호르몬과 같이 사용하여 치료하는 경우에 단기간 동안의 골밀도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성장클리닉을 방문한 여아들 중 특발성 성조숙증 혹은 조기 성성숙을 보이며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증가되어 있는 여아 40명(역연령 $9.0{\pm}1.5$세, 골연령 $11.6{\pm}1.3$년)을 대상으로, 26명은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으로 치료하였고(Group I), 14명은 성장호르몬과 병합요법(Group II)으로 치료하였다. 치료 전후에 골연령과 골밀도를 구하고, 역연령과 골연령에 대한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환아에서 치료 전후에 역연령으로 비교한 골밀도는 정상범위에 있었으나, 골연령으로 비교해 보면 정상범위에 비하여 감소되어 있었다(P<0.05). 치료기간 동안의 골밀도의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기준으로는 변화가 없었으나, 골연령 기준으로는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치료 전후에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치료군의 골밀도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혹은 골연령 기준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성장호르몬 병합 치료군의 골밀도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기준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골연령 기준으로는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결 론: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하는 동안 역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골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저하는 관찰되어, 투약 중단 후 성선 기능이 회복되면 골밀도의 정상화의 가능성에 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겠다. 한편으로는 성장호르몬을 같이 치료한 경우에는 치료 경과 중 골밀도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볼 수 있어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체외수정 시술시 과배란 유도에서 Luteal Phase Support에 Human Chorionic Gonadotropin과 Progesterone의 효용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linical Effectivenes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and Progesterone on Luteal Support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an far IVF)

  • 나오순;이상훈;배도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33-240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ndocrine milieu, and pregnancy rates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program employing combined wit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and pergonal(LH 75lU+FSH 75lU) when eithe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or progesterone were used for luteal phase support. A total number of 40 IVF-ET treatment cycles were prospectively studied. Ovarian hyperstimulation method was modified ultrashort protocol using GnRH-a. All patients started Decapeptyl at menstrual cycle day # 2, and HMG was started at # 3 days. When leading follicle was ${\geqq}$18mm or at least two follicles were ${\geqq}$14mm in diameter, HCG 10000lU intramuscularly was injected. After 36 hours HCG administration, oocytes were retrieved as usual guided by transvaginal ultrasound. Embryo were transfered 36-48 hours later. The patient's cycle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HCG(20cycles) or Progesterone (20cycles) for luteal support. The progesterone group received 25mg 1M starting from the day of ET. The HCG group received 1500IU 1M. on days 0, +2, +5 after ET. Estadiol($E_2$) and Progesterone($P_4$) were measured on the day of oocyte aspiration, ET day, and every 6 days thereafter. Results were follows as; 1. Estradiol, progesterone and LH levels on the day of HCG trigger, retrieved oocytes and number of transfered embry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2. On the day of aspiration and embryo transfered day, $E_2$, $P_4$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3. $E_2$, $P_4$ level on 6 days after E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But, $P_4/E_2$ ratio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4. $E_2$, $P_4$ level 12 days after ET were decreased abruptly in both groups and higher hormonal level appeared in HCG group(P<0.01). 5. The total pregnancy rate in the HCG group was 40% (8/20) and in the progesterone group 15%(3/20). 6. Comparing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cases progesterone group was not different the hormonal status. In HCG group, pregnant cases appeared in higher $P_4$, $P_4/E_2$ ratio than nonpregnanct cases(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