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yrrhiza inflata Bata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감초추출물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효과 (Effects of Glycyrrhiza inflata Batal Extracts on Adipocyte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 서초롱;변종선;안재진;이재환;홍정우;장상호;박계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15-1021
    • /
    • 2013
  •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는 한약재의 조화를 돕고 해독, 항염증, 항궤양 등의 약리작용으로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는 약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서 감초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감초에탄올추출물(GBE)을 이용하여 세포분화 촉진여부를 조사하였다. GBE의 세포독성여부를 통해 안전하다고 확인된 $1{\sim}30{\mu}g/mL$의 농도 내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고 지방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지방전구세포 3T3-L1의 Oil Red O 염색을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핵심전사조절인자인 $PPAR{\gamma}$와 그의 표지유전자 aP2, AdipoQ, $C/EBP{\alpha}$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와 일관된 결과로서 조골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조골전구세포 MC3T3-E1의 ALP 염색을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표지유전자인 ALP, RUNX2, osterix, collagen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GBE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 분화효과를 매개하는 감초의 구성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GA(glycyrrhizic acid)와 LA(licochalcone A)의 분화촉진 여부를 확인한 결과, GA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LA가 GBE의 세포분화효과를 매개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와 그에 수반되는 골질환과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 소재로서 GBE와 그의 생리활성을 매개할 수 있는 LA의 가능성을 보았으며 GBE에서 분리되는 다양한 화합물의 동정 및 생리활성 효과, LA와의 상승효과 등의 추후 연구가 기대된다.

국내 감초 신품종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Glycyrrhiza New Domestic Variety on the Acute Pancreatitis)

  • 김동구;민경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2-289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감초 신품종인 G. korshinskyi Grig.가 cerulein으로 유도한 생쥐의 급성 췌장염시 증가하는 염증성 세포의 유입과 혈청 소화효소(Amylase, Lipase) 수치를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급성 췌장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급성 췌장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의약품 소재로써 국내 감초 신품종의 가능성을 제기한다는 데 의의가 있지만, 치료 효과로써의 효능 및 억제 기전에 대한 보완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의이인탕 구성약물의 비만관련 연구 분석 (Analysis of the Obesity-Related Research for Each Constituent Herb of Euiiin-tang)

  • 송윤경;차윤엽;고성규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2-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d of exploratory research potential as anti-obesity agents of Euiiin-tang. Four Korean databases and 2 Korean Journals (Riss4U, KISS, OASIS, DBPIA, and Journal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f Obesity Research) were searched using search word 'individual herbs' and 'obesity', 'weight loss', 'fat', 'hypertension', 'hyperlipidemia', 'diabetes'.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were analyzed, review research, studies of pharmacopunctures and studies of mixed herbal medicine were excluded. We collected 23 studies. Seven studies of Coicis Semen, 10 stdies of Ephedra Herba, 2 study of Angelica gigas Nakai, 3 studies Atractylodis Rhizoma Alba, 1 studies of Glycyrrhiza inflata Batal. Most studies were experiment researches which were composed of in vivo or in vitro, and clinical trial was 5 studies of Ephedra Herba. Main constituent herb, Coicis Semen, Ephedra Herba were thought to represent an anti-obesity effect. Through the result, we can assume to be likely effect of Euiiin-tang as obesity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