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lycyrrhiza glabra L. extract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Anticancer Activity of Glycyrrhiza cultivar Extracts in Breast Cancer Cells

  • Kang, Myunghoon;Kim, Minhee;Kim, Wonna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9-89
    • /
    • 2019
  • Several studies report the anticancer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G. glabra),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and their compounds. However, the anticancer effect of Glycyrrhiza cultivar roots are limi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cancer effect of Glycyrrhiza cultivar (Wongam and Shinwongam) extracts with G. glabra and G. uralensis extracts in breast cancer cell lines. Freeze dried Glycyrrhiza root extracts were dissolved in cell culture media at 2 mg/mL and filtered by $0.2{\mu}m$ filter. Glycyrrhiza root extracts were serially diluted at the concentrations of $10{\mu}g/mL$, $100{\mu}g/mL$, $200{\mu}g/mL$, $400{\mu}g/mL$, $800{\mu}g/mL$, $1000{\mu}g/mL$ and $2000{\mu}g/mL$. MCF-7 and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lycyrrhiza root extracts and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T assay. In MCF-7 cells, G. glabr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Wongam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hinwongam at $1000{\mu}g/mL$ (G. glabra 101.2% and Shinwongam 82.68%) and $2000{\mu}g/mL$ (G. glabra 83.07% and Shinwongam 54.05%). G. uralen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Wongam at $2000{\mu}g/mL$ (G. uralensis 66.48% and Wongam 95.02%)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hinwongam. In MDA-MB-231 cells, G. glabr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oth Wongam and Shinwongam. G. uralen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Wongam at $2000{\mu}g/mL$ (G. uralensis 72.59% and Wongam 93.47%)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hinwongam.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G, glabra and G. uralensis compared with Wongam, and Shinwongam at low concentrations ($10{\mu}g/mL{\sim}800{\mu}g/mL$) display similar cytotoxic potency.

  • PDF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 한샛별;구현아;김수지;김혜진;권순식;김해수;전소하;황준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mu}g/mL$), 아글리콘 분획(3.26 ${\mu}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mu}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 ${\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mu}g/mL$)의 경우 한국 감초(${\tau}_{50}$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tau}_{50}$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1O_2$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 억제 (Browning inhibition of fresh-cut lotus roots by blanching in Glycyrrhiza glabra L. an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s)

  • 김한빛;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2014
  •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하여 색도, 경도, DPPH radical 소거능,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갈변의 지표인 색도 $50^{\circ}C$ 값의 결과, 감초 또는 황기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감초 추출물 처리구의 활성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pH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가 가장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의 함량은 증가하고 대조구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감초와 황기 열수 추출물의 블랜칭 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열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피 및 감초를 첨가한 초콜릿의 생리활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ocolate with Cinnamomi ramulus and Glycyrrhiza glabra L.)

  • 유경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71-67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were added to chocolate at a weight percentage of 0, 3 and 6%. Color values(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ade with varying various medicinal plants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measured.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d p<0.01) were shown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colate aroma and bitterness properties.

방기 및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이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Sinomenium acutum(Thunb.) Rehd. et Wils and Glycyrrhiza glabra L. var. Glandulifera Regel et Zucc on Listeria monocytogenes)

  • 신동화;한지숙;김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27-632
    • /
    • 1994
  • Disk method에 의한 예비 실험 결과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19112, 19113, 19114 및 15313에 대하여 성장억제 효과가 있었던 방기 및 감초의 75% ethanol 추출물을 농도별로 tryptic soy broth에 첨가하고 각 균주를 증식, 그 저해 정도를 비교하였다. 방기는 실험대상 균주 중 L. monocytogenes ATCC 19111 및 19114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고 첨가 농도에 따라 그 증식 저해 정도는 비례하였다. 감초 추출물은 실험 대상 5균주 모두에 강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대부분 100ppm 첨가에서도 $12{\sim}48$시간 동안 완전히 증식을 억제 하였으며 500ppm 첨가 수준에서는 모든 균에 대하여 완전 증식 억제 현상을 보여 우수한 증식 억제제로 확인되었다. 특히 L. monocytogenes ATCC 19113의 경우 100ppm 첨가에서도 48시간 까지 완전 성장 억제가 가능하였다.

  • PDF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 김수정;신재윤;박윤문;정구민;이종화;권대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1-2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물질을 얻기 위해 추출 조건을 최적화한 후 최적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를 선정한 후 용매의 농도,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등을 결정하였다. 감초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한 후 항균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에탄올을 최적 추출 용매로 선정할 수 있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비용을 고려하여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14종의 Gram(+) 세균, Gram(-)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미생물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Gram(-) 세균은 $250{\mu}g/mL$, Gram(+) 세균은 $25{\mu}g/mL$ 이였고 효모는 $50-500{\mu}g/mL$으로 조사 되어, Gram(+) 세균에 대한 탁월한 항균활성을 가졌다. 추출물을 열과 pH 처리한 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고 잘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의 추출물은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여러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 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감초로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 효과 검증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Mycelia Extracts of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Glycyrrhiza radix)

  • 배만종;이성태;예은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ycelia of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Glycyrrihiza radix(LMG) on cancer cell lines and sarcoma 180(S-180), as well as on human mast cells. In an anti-cancer tests using Hep3B(hepatic cancer cell), MCF-7(breast cancer), and HeLa(uterine cancer) cells, LMG extract exhibited greater anti-proliferation effects than Glycyrrihiza glabra(GG) extract. LMG extract multiplication restraining effects were 60% that of ethanol at 3 mg/mL extract also displayed tumor suppressive effects in mice injected with S-180 cells. The growth-inhibition rates against tumor cells were 56% for LMG and 37% for GG. When LMG was added to human mast cells, the Intensity of RT-PCR products using primers($FC{\varepsilon}RI\;c-ki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Glycyrrhiza glabra has an anti-proliferation effects against cancer cell lines(Hep3B, MCF-7 and HeLa) and S-180 tumors and will be also beneficial in treating allergic reactions.

  • PDF

생약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항산화 및 신경세포보호 효과 in vitro 탐색 (In vitro screening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엄민영;하태열;성기승;김용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40-84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종 생약 열수추출물의 AChE 활성,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능 및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를 비교하였다. AChE의 억제활성은 산수유, 감초, 당귀 열수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그 중 산수유가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H_2O_2/FeSO_4$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생약 열수추출물의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소엽, 하수오, 계피 및 감초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L-Glutamate에 의해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는 감초, 계피, 길경, 박하 열수추출물의 $100{\mu}g/mL$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감초 열수추출물이 치매 예방 및 개선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치매예방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alpha}$ ]-Amylase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y of Some Vietnamese Medicinal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 Hung, Tran Manh;Manh, Hoang Duc;Minh, Pham Thi Hong;Youn, Ui-Joung;Na, Min-Kyun;Oh, Won-Keun;Min, Byung-Sun;Bae, Ki-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11-316
    • /
    • 2007
  • In this study, the twenty-four ethyl acetate extracts of twenty-two medicinal plants, traditionally used in Vietnam as anti-diabetes agents, were investigated for ${\alpha}$-amylase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 enzymes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welve materials (50.0%) showed moderate to strong inhibitory activity in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2.5 to $48.8{\mu}g/mL$; meanwhile, ten extracts (41.6%) could demonstrate PTP1B activity with $IC_{50}$ values less than $30.5{\mu}g/mL$. Some plants presented interesting activities against both of ${\alpha}$-amylase and PTP1B enzymes such as Catharanthus roseus, Carthamus tinctorius, Momordica charantia, Gynostemma pentaphyllum, Glycyrrhiza glabra, Smilax glabra, Psidium guajava (leave), and Rehmannia glutinosa. The study may provide a proof, at least in a part, for the ethno-medical use in diabetes disease of these plants.

항산화성(抗酸化性) 생약(生藥)의 선발(選拔)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Drugs)

  • 김성열;김진환;김승겸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03-114
    • /
    • 1992
  • 항산화성 생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180종의 생약을 10배량의 methanol 로 추출한 액 $50{\mu}l$와 0.1M-linoleic acid ethanol 용액 $100{\mu}l$를 넣은 시험관을 $50^{\circ}C$에서 20시간 두었다가 POV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을 때 45%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그 중 44종 의 생약추출물의 항산화성은 비교적 강력하였다. 단기 항산화시험에 의해서 항산화성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난 44종의 생약을 10배량의 methanol로 추출한액 3ml, 0.1M-methyl linoleate ethanol 용액 10ml 및 0.1M-sodium phosphate buffer(pH 7.0) 37ml를 혼합하여 $40^{\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던 바 삼백초, 세신, 진범, 음양곽, 백굴체, 소회향, 고삼, 정향, 황금, 감초 및 파고지 동 11종의 생약추출물의 항산화성이 특히 강하였다. Methan이 추출액의 항산화성이 특히 강하였던 11종의 생약을 ethyl acetate 및 petroleum ether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비교하였을 때 음양곽, 소회향, 정향 및 파고지는 추출용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으나 황금 및 감초 등은 methanol 추출액에서만 강한 항산화능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