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6초

Pur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Glycolipid Biosurfactants from Pseudomonas aeruginoas YPJ-80

  • Park, Oh-Jin;Lee, Young-Eun;Cho, Joong-Hoon;Shin, Hyun-Jae;Yoon, Byung-Dae;Yang, Ji-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61-66
    • /
    • 1998
  • Glycolipids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YPJ-80 were characterized by chromatographic and spectorscopic techniques as a mixture of two rhamnolipids. For recovery of glycolipids from the culture broth, various isolation methods including ultrafiltration, adsorption and solvent extraction were compared. Ultrafiltration show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glycolipids recovery. Further purification for spectroscopi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dsorptio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From the spectroscopic analysis, such as IR spectroscopy. FAB-MS, 1H-NMR and 13C-NMR and hydrolysis analysis, the glycolipids were identified as L-${\alpha}$-rhamnopyranosyl-${\beta}$-hydroxydecanoly-${\beta}$-hydroxydecanoate and 2-O-${\alpha}$-L-rhamnopyranosyl-${\alpha}$-L-rhamnopyranosyl-${\beta}$-hydroxydecanoyl-${\beta}$-hydroxydecanoate. Monorhamnolipid and dirhamnolipid lowere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to 28.1 mN/M and 29.3 mN/m, respectively.

  • PDF

각국 인삼의 지방질성분에 관한 연구 제1보, 유리 지방질중의 지방질 및 지방산 조성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Various Ginsengs 1.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ree Lipids)

  • 최강주;김만욱;김동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93-203
    • /
    • 1985
  •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ree lipids in Panax ginseng (Korea, Japan and China), Panax quinquefolium (America, Canada) and Panax notoginseng (China) were studied by means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gas-liquid chromatography. Free lipid contents were 1.13 to 1.24% in panax ginseng and 0.87 to 1.18% in Panax quinquefolium and 0.39% in panax notoginseng. Neutral lipid fractions were 81.2 to 84.4%, while glycolipid fractions 8.01% to 14.47% and phospholipid fractions 3.49 to 5.74% in free lipid cont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triglycerides, free sterols, diglyceride, free fatty acids and sterol esters in neutral lipid fractions, sterol glu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di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ucoside in glycolipid fractions and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e,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in phospholipid fractions. The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s and glyclipids were some different among various ginsengs, whereas phospholipids showed relatively similar compositions in the contents. Seventeen fatty acids were analyzed in the four free lipid fractions from the various ginsengs and the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s of some fatty acids were different among the various ginsengs, but the fatty acid patterns of these ginsengs were on the whole similar.

  • PDF

옥수수 배의 극성 지질의 추출을 위한 5종 용매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Five Solvents for the Extraction of Polar Lipid in Corn Embryo)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0-595
    • /
    • 1991
  • In order to investigate polar lipid ingredients and fat쇼 acid compositions in corn embryo, lipids were extracted with n-hexane (HX), pet. ether (PE), chloroform-methanol (2:1, v/v) (CM), dichoromethane-methanol (2:1, v/v DM) and hexane-diethyl ether (5:1, v/v HD). Of the glycolipid in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ormatogarphy (TLC), monoglycosyl diacyglycerol was most efficient with CM, HD, and monoglycosy sterol and monoglycosyl ceramide were similar to five solvents, but HX, PE and DM, HD were somewhat superior, respectively. Of the phospholipid, phosphatidyl inositol was most efficient with CM, DM, and phosphatidyl choline was similar to five solvents as well. Phosphatidyl serine was superior PE, HD, CM to HX,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was inferior CM to HX. The major fatty acid in the glycolipid was linoleic acid, and it was most efficient with CM the same as plamitic acid, but oleic acid was superior in using HX, PE.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phospholipid were palmitic, heptadecanoic aicds, and they were superior in using HX and PE, respectively. Also oleic acid was most efficient with HX and CM, but HD was somewhat inferior.

  • PDF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변화 II. 극성지질에 대한 연구 (Changes of Lipids in Flint Corn by a Growth Process II. A Study on the Polar Lipid)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73-478
    • /
    • 1991
  • After the glycolipid(GL) and phospolipid (PL) of flint corn during a growth process were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SACC), the GL and PL of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and quantitative by TLC scanner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polar lipid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Of the GL in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LC, monoglycosyl diacylglycerol (8.3~29.2%) was the major component, and monoglycosyl ceramide, monoglycosyl sterol were also found as minor components. Of the PL, phosphatidyl choline (27.2~29.5%) and phosphatidyl inositol (42.9~79.1%) were the major components,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cardiolipin were also persont in the PL.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GL were oleic(27.1~37.1%), linoleic (13.2~35.7%) and palmitic (22.5~25.6%) acids.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PL were palmitic (46.5~52.3%), heptadecanoic (23.0~25.1%) and oleic(7.2~14.6%) and GL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unsa-turated fatty acids, but PL presented that of the saturated fatty acids.

  • PDF

미강(米糠)의 지질성분(脂質成分) 및 저장(貯藏)중 지질특성(脂質特性)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Fractionation of Rice Bran Lipid and Storage Effects on Bran Lipid Composition)

  • 류정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8-284
    • /
    • 1980
  • 신품종 벼(밀양 23호)의 부산물인 미강의 각종 지질성분을 분획 정량하였고, 저장중(온도 $30^{\circ}C$, 상대습도 80%, 5주간) 이들 획분의 조성변화 및 지질특성 변화 양상을 살펴 보았다. 1. 신선미강의 총지질 중 중성지질은 89.9%, 당지질은 8.0%, 인지질은 2.1%였으며, 저장 후에도 그 조성은 신선미강과 비슷하였다. 2. 중성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트리-글리세리드(54.4%), 디-글리세리드(13.8%), 탄화수소 및 esterified sterol(13.5%)이 주성분이었고, 저장 후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증가현상이 뚜렷하였다. 그리고 당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acylsterolglycoside(43.1%) 및 steroglycoside(30.3%) 등이 가장 많았고, 저장 후에는 acylsterolglycoside의 증가 및 sterolglycoside의 감소 현상이 다소 나타났다. 한편 인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phosphatidyl choline(39.8%), phosphatidyl(19.8%) 등이 주성분이었고, 저장 후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3. 미강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올레산(44.3%), 리놀레산(32.5%) 및 팔미트산(18.4%) 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이들의 각 지방산 성분함량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저장에 의한 이들 각 획분에서의 지방산 조성변화는 경미하였다. 4. 미강저장 중 총지질의 산값은 계속 증가하였고, 요드값은 감소하였으며, 과산화물값 및 TBA값은 저장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다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밤의 저장중 지방질 조성의 변화 (Changes of Lipids in Chestnut during Storage)

  • 나영아;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7-445
    • /
    • 1997
  • 밤을 $20^{\circ}C$에서 9주동안, $1^{\circ}C$에서 15주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중 지방질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밤의 총지질중에는 중성지질이 43.4%, 당지질이 26.5%, 인지질이 30.1% 함유되었으며 밤의 저장 동안에 이들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중성지질의 구성지질성분으로는 triglyceride (TG), 1,2-diglyceride (1,2-DG), 1,3diglyceride (1,3-DG), sterolester (SE), sterol (S) 및 free fatty acid(FFA) 등 6종이었으며, 당지질의 구성지질성분으로는 digalactosyldiglyceride (DGDG), monogalactosyl diglyceride (MGDG), sterylglycoside (SG) 및 acylsterylglycoside (ASG) 등 4종이었고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질로는 phosphatidylcholine (PC),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inositol (PI) 등이었다. 저장중의 지질의 변화를 보면 중성지질의 함량은 저장 5주후에 감소되었고, 당지질은 7주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후 감소되었으며 인지질은 $20^{\circ}C$$1^{\circ}C$ 양온도구에서 저장기간동안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TG, SE, S, DGDG, MGDG의 함량은 $20^{\circ}C$$1^{\circ}C$ 양온도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되었다.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 그리고 TG, DG, ASG, PC 및 PE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20^{\circ}C$$1^{\circ}C$ 양온도에서 linole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에, oleic acid 는 감소하였다.

  • PDF

관능적 식미 특성이 다른 쌀 품종의 지질 조성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mposition of Rice Varieties with the Different Sensory Quality)

  • 김인호;박광희;신명곤;김현정;이상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7-734
    • /
    • 1996
  • 관능적으로 식미특성이 차이나는 쌀품종으로서 식미가 양호한 동진, 중간정도의 진미 및 양호하지 못한 탐진의 지질조성을 비교하였다. 총 지질 및 정제지질의 함량은 진미에서 1.7배~2.2배 높아 식미 차이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분획지질은 진미, 탐진과 비교하여 식미가 양호한 동진에서 중성지질은 9.2~13.5%, 인지질은 3.1~4.7% 높은 함량을, 당지질은 12.3~18.2%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조성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경우 식미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당지질의 경우는 식미가 양호할수록 monogalactosyl diglycerides, steryl glycosides는 각각 0.4~19.24%, 14.4~17.1% 높은 함량을,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lebrosides, digalactosyl diglycerides의 경우는 각각 15.3~28.1%, 1.2~5.7%, 2.8~3.8%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도 중성지질 및 인지질에서 식미의 차이에 따른 명확한 경향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당지질은 식미가 양호할 수록 palmitic acid의 함량은 0.4~22.6% 높고 linoleic acid 의 함량은 5.0~l2.0% 낮았다.

  • PDF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갯장어의 일반성분과 지방산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and Fatty Acids of Sharp Toothed Eel(Muraenesox cinereus))

  • 안창범;신태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241
    • /
    • 2002
  • 전남 여수지역의 특산품이라 할 수 있는 갯장어의 연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일정 시기별로 채취한 갯장어의 일반성분 및 근육지질의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3.85∼12.59 g/100 g의 범위로 11월에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5월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지방함량이 많은 시기에 적게 나타나 역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총지질 및 중성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C16:0, C23:0, Cl6:1, Cl8:1, C20:5 및 C22:6이었으나 중성지질은 총지질에 비해 C22:6의 구성비율이 특히 낮았다.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도 총지질이나 중성지질과 유사하였으나 Cl8:3n-6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고, 폴리엔산의 총함량(73.93∼66.23%)은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가장 높았다. 당지질의 경우는 C20:1 및 Cl4:1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매우 높았으나 EPA와 DHA의 함량은 낮았다. 총지질,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의 연평균 n-3/n-6 비는 각각 10.82, 12.27, 6.63 및 6.50이었다. 총지질과 중성지질의 지방산의 연중변화는 뚜렷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인지질의 경우는 조지방 함량이 많은 9월과 11월에 폴리엔산의 함량이, 당지질에 있어서는 9, 11 및 1월에 모 노엔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