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4초

Expression of Functional Pentameric Heat-Labile Enterotoxin B Subunit of Escherichia coli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Lim, Jung-Gu;Kim, Jung-Ae;Chung, Hea-Jong;Kim, Tae-Geum;Kim, Jung-Mi;Lee, Kyung-Ryul;Park, Seung-Moon;Yang, Moon-Sik;Kim, Dae-Hy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5호
    • /
    • pp.502-510
    • /
    • 2009
  • Although the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 B subunit (LTB) has already been expressed in several different systems, including prokaryotic and eukaryotic organisms, studies regarding the synthesis of LTB into oligomeric structures of pentameric size in the budd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have been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used a functional signal peptide of the amylase 1A protein from rice to direct the yeast-expressed LTB towards the endoplasmci reticulum to oligomerize with the expected pentameric size. The expression and assembly of the recombinant LTB were confirmed in both the cell-free extract and culture media of the recombinant strain using a Western blot analysis. The binding of the LTB pentamers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 membrane glycolipid receptors was further verified using a GM1-ganglioside enzyme-linked inmmunosorbent assay (GM1-ELISA). On the basis of the GM1-ELISA results, pentameric LTB proteins comprised approximately 0.5-2.0% of the total soluble proteins, and the maximum quantity of secreted LTB was estimated to be 3 mg/l after a 3-day cultivation period. Consequently, the synthesis of LTB monomers and their assembly into biologically active aligomers in a recombinant S. cerevisiae strain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a GRAS microorganism-based adjuva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arriers against mucosal disease.

개불 건조중의 지방질성분의 변화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Gae-bul, Urechis unicinctus, During Hot-air Drying)

  • 오광수;정영훈;이태헌;안창범;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3-157
    • /
    • 1986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성분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개불 건조 중 지방질성분의 변화를 밝힐 목적으로 생개불과 건조개불의 지방질을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 지방질획분의 지방질 조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생개불과 건조개불의 지방질함량은 각각 1.3%. 5.3%였으며,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함량은 생개불의 경우 각각 35.1%, 18.0%, 46.9%였고, 건조개불은 51.8%, 20.5%, 27.7%로 인지방질의 약 40%가 감소했으며 중성지방질과 당지방질은 다소 증가하였다. 생개불의 중성지방질에는 트리글리세리드 39.8%, 유리스테롤 39.6%, 유리지방산 12.2%로 주성분이었고, 그외에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 스테롤에스테르 및 탄화수소가 소량 확인되었다. 건조 중 변화는 트리글리세리드와 유리스테롤이 다소 감소한 반면 유리지방산과 디글리세리드가 증가하였다. 생개불의 인지방질의 경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34.8%, 포스파티딜콜린이 45.6%로 주성분이었고 그외에 포스파티딜세린과 미동정물질이 검출되었다. 건조 중 변화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및 포스파티딜콜린이 다소 감소하였다. 생개불과 건조개불의 주요지방산은 대체적으로 16 : 0, 16 : 1, 18: 1, 18 : 3, 20 : 5이었고, 건조에 의해서 20 : 5를 주체로하는 폴리엔산이 감소한반면, 포화산의 조성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20 : 5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제5보) -쏘가리, 꺽지, 누치 및 메기의 근육지질 조성의 비교-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Part 5) -Comparison of flesh Lipid Composition of Some Fresh Water Fishes Mandarin Fish Korean Perch Cornet Fist and Cat Fish-)

  • 하봉석;강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1-300
    • /
    • 1990
  • The lipid compositions including fatty acid sterol lipid class and the lipid component of the total lipid extracted from the flesh of some fresh water fishes I. e. mandarin cornet cat fish and Korean perch were compared. The levels of total lipid of flesh tissues from the fresh water fishes were high(7.4%) in cat fish but low(1.4-2.2%)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On the contrary the content of unsaponifiable matters found in total lipid was low(2.6%) in cat fish but high(6.0%-6.5%)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Total lipids were mainly composed of triglyceride(74.6-86.5%) as major component in each sample and the other lipid components of total lipid e. g. polar lipid free fatty acids and free sterol were the minor components, Th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 of each sample were{{{{ {C }_{16 { }:_{ }0 } }}}}(19.6-29.2%) {{{{ {C }_{16 { }:_{ }1 } }}}}(17.3-30.7%) and {{{{ {C }_{18 { }:_{ }1 } }}}}(16.8-29.2%)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 {C }_{14 { }:_{ }0 } }}}} and {{{{ {C }_{18 { }:_{ }2 } }}}} Particularly the contents of polyenoic acids in total lipid of cat fis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fish samples. The level of cholesterol in total lipid was low (8.3mg/g) in cat fish but were high(36.9-59.9mg/g)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The contents of fractionated neutral lipid(NL)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ar lipid(PL) in each sample. Particularly phospholipid content in PL was low(6.0%) in cat fish but were high(23.1-36.3%) in mandarin fish Korean perch and cornet fish. Neutral lipids were mainly consisted of triglyceride(84.5-93.4%) as amjor component in each sample and the other lipid components of neutral lipid e, g, free fatty acids and free wterol were exhibited as a minor components, The fatty acid compositon of neutral lipids was very resembled to total lipids. The phospholipid in mandarin cornet and cat-fish were mainly composed of phosphatidyl serine(23.1-49.8%) and phosphatidyl choline(20.8-45.3%) The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phosphatidyl serine were observed in mandarine cornet and cat-fist than in Korean perch, But phosphatidyl ethanolamine(42.3%) and phosphatidyl choline (49.9%) were the main phospholipid in Korean perch. The extraordinary high content of phos-phatidyl ethanolamine compared to other fishes was characteristics in phospholipid composition of Korean perch. The major fatty acids in phospholipid of each sample were {{{{ {C }_{16 { }:_{ }0 } }}}} (38.3-46.5%) {{{{ {C}_{18 { }:_{ }0 } }}}}(14.2-21.7) and C16:1(11.6-13.8%)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C18:2, C18:0 and C17:0 The major fatty acids in glycolipid of each sample were C16:0(28.8-40.1%) C18:1(5.4-29.9%) C18:0(5.1-28.9%) and C16:1(8.2-20.1%) and additio-nally it chiefly consisted of C14:0 and C20:1.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앵두(Prunus Tomentosa Thunberg)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 (Lipid Composition and Protein Pattern of Prunus Tomentosa Thunberg Seed)

  • 윤형식;박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8-252
    • /
    • 1985
  • 비이용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앵두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질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40.38% 및 26.59%였다 앵두씨의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이 95.4%인 반면에 복합지방질은 4.51%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방질의 성분으로는 트리-글리세리드가 89.86%로서 대부분이었고. 스테롤 4.14%. 모노-글리세리드 2.98%, 스테롤 에스테르 1.77%. 유리지방산 1.07% 및 디 -글리세리드 0.18% 였다. 지방산 조성은 총 지방질, 중성지방절 및 트리 글리세리드에서 올레산(65.06$\sim$66.05%)와 리놀레산(26.56$\sim$28.40%)이 주된 구성 지방산이었고, 당지방질파 인지방질의 경우에는 올FP산(40.55$\sim$51.46%)의 함량이 다른 획분의 함량에 비해 적은 반면, 팔미트산(17.64$\sim$21.43%)과 스테아르산(4.14$\sim$8.07%) 의 함량이 높았으며, 소량의 라오르산도 함유되어 있었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추출율은 약 60%였으며, 분획된 주단백질의 수득율은 약 46.5% 였고 전기영동 결과 7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 PDF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청둥오리알 -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s in poultry eggs -cage system, open barn system's hen egg,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 홍이진;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45-651
    • /
    • 1999
  •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둥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 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 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 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갈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갈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수산부산물의 검색 (Screening of by-products derived from marine food processing for extraction of DHA-contained lipid)

  • 김정균;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15-219
    • /
    • 1997
  • 수산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붕장어, 칼치의 내장 및 두부, 꽁치,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의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산부산물의 건물당 지질함량은 $40.5{\sim}48.0%$이었고,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이 $92.1{\sim}99.0%$로 추출 소채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50.0{\sim}6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유리지방산이 $7.8{\sim}20.3%$, 스테롤류가 $3.5{\sim}13.9%$, 탄화수소가 $4.2{\sim}10.2%$ 및 디글리세리드가 $3.5{\sim}9.3%$를 차지하였으며, 모노글리세리드는 2% 내외 이었다. 수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각각 41.0% 및 38.2%로 어류 부산물유의 $27.7{\sim}33.3%$에 비하여 높았다. DHA조성비는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2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포클랜드산 오징어 내장유(16.3%), 갈치 부산물유(13.9%), 붕장어 부산물유(11.7%) 및 꽁치 부산물유(10.7%) 등의 순이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지질 추출 소재인 부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6:0,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다.

  • PDF

밀가루 및 건면의 지방질 조성과 측정 방법에 따른 조지방 함량 차이 (Lipid Composition and Differences in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according to Determination Methods)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1-385
    • /
    • 2010
  • 밀가루 및 5종의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Soxhlet법을 비롯한 5종의 측정 방법과 3종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가루에서는 0.09~1.37%, 건면에서는 0.07~1.36%의 조지방이 정량되었다. 이와 같이 밀가루와 건면에서 그 측정 방법에 따라 조지방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방질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5종의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양성분표를 살펴 본바, 조지방 함량은 0~1.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밀가루와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의 종류 및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에는 1.02%의 유리 지방질과 0.21%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건면에는 0.95~1.01%의 유리 지방질과 0.21~0.25%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58.5%, 33.6% 및 8.6%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49.2~58.2%, 33.3~41.6% 및 8.5~9.3% 범위였다. 또한,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결합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16.7%, 33.5% 및 49.5%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13.2~15.3%, 35.6~45.7% 및 41.6~49.4%로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각 지방질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질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밀가루 및 건면에서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가수분해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한국산 마지질의 분획 정량과 지방산조성 (Quantitative Fractionation of Total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Yam Tubers.)

  • 김용선;김상순;김철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52-657
    • /
    • 1995
  • 한국산 마(긴마, 단마)에서 총지질을 추출하고 이의 각종 구성 지질을 SCC(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획 정량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해 분별한 후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을 G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마의 건조물 중 총지질의 함량을 보면, 긴마, 단마는 각각 1.70%, 1.31%이었고 정제 총지질은 각각 1.35%, 0.99%였다. 또한 정제 총지질을 SCC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 정량한 결과, 긴마는 각각 43.33%, 39.60%, 17.07%, 단마는 각각 43.94%, 34.74%, 21.32%로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다. 마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은 triglyceride와 sterol ester이며 당지질의 구성성분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 trigalactosyl dialyceride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다. 총 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을 보면, 마는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또한, 총지질 중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방간 조성의 pattern과 거의 같았으며, 다만 당지질 경우 linolenic acid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보다는 구성성분으로 다소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