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mic acid

검색결과 2,005건 처리시간 0.031초

연밥 조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crude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 김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3-5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능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을 증가시켰다.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은 대조군의 지질과산화의 증가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반비례 양상으로 지질과산화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밥의 조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능 물질이 존재 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융합 연구를 통한 노화 방지 관련 의약품 개발 등에 응용되어질 수 있다.

혐기 또는 저온처리에 따른 보리 유식물체내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산 함량의 변화 (Changes of Free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s in Barley Seedlings in Response to Anaerobic or Cold Treatment)

  • 윤성중;유남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9-144
    • /
    • 1996
  • 발아후 일주일간 생육한 보리 유식물체를 이용하여 혐기처리, 저온처리 및 기계적 상처에 대한 보리 식물체의 반응양상을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혐기적처리에 반응하여 함량의 변화가 뚜렸하게 나타나는 아미노산은 alanine, GABA, glutamic acid였다. Alanlne과 GABA함량은 10시간까지의 혐기처리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glutamic acid 함량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처에 의한 alanine, GABA, glutamic acid반응 양상은 혐기처리와 유사하였으나, 함량변화 정도는 혐기처리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저온처리에 의하여 지상부와 뿌리 중의 GABA 함량이 증가하였다. 혐기적 처리에 의하여 지상부의 유리당함량이 변화하였으며, glucose나 fructose보다는 sucrose의 함량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Peptide계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균주의 분리 및 생성 고분자의 특성 (Isolation of the Biodegradable Peptide Polymer-Producing Bacterial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lymer Produced by This Strain)

  • 이신영;강태수김갑수유주현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09-216
    • /
    • 1993
  • 미생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고점성의 생물고분자 생산균주를 분리하고, 이 분리균에 대한 분류학적 성질 및 생성 생물고분자의 이화학적 성상을 검토, 규명하였다. 분리균주는 Alcaligenes속의 한 균종으로 동정하였으며, 호알카리성 균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CPC(cetylpridinium chloride)침전 및 acetone처리하여 정제한 산성 고분자 물질은 carboxyl기를 갖고 자외 흡수가 강한 glutamic acid만을 구성성분으로 하였고, glutamic acid는 $\gamma$-peptide 결합의 $\gamma$-polyglutamic acid로 존재하였다. 중화당량은 약 350으로 $\gamma$-PGA 2.7잔가당 1개의 음이온이 존재하였으며, 분자량은 약 $6.5{\times}10^5$Daltons이었다.

  • PDF

특수가금(꿩, 청둥오리, 오골계)육의 영양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Special Poultry (Pheasant, Chungdung Wild Duck, and Ogol Fowl) Meatp)

  • 김기준;오홍록;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90-98
    • /
    • 1996
  • 특수 가금류인 꿩, 청둥오리 및 오골계고기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고기근육의 일반성분,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무기물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꿩고기는 수분 71.2-74.1%, 단백질 23.3-26.4%, 지방 1.0-2.4%, 회분 1.1-1.4%이었고, 청둥오리 고기는 수분 73.8-76.4%, 단백질 18.6-19.6%, 지방 2.7-6.8%, 회분 0.8-1.6%이었으며 오골계 고기는 수분 71.4-72.3%, 단백질 20.8-22.7%, 지방 1.9-6.3%, 회분 1.0-l.2%이었다. 2. 꿩 및 청둥오리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60-64%, 포화지방산 36-40% 이었고 oleic, palmitic, linoleic, stearic acid의 순이었으며, 오골계의 불포화지방산 72-76%, 포화지방산 24-28%이었다. 3. 꿩고기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의 순이었으며, 청둥오리는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의 순이었고 오골계는 ly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순이었다. 4. 꿩 및 청둥오리고기의 무기물함량은 칼슘, 인,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의 순이었고 오골계는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인, 칼슘의 순이었다.

  • PDF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제조와 안정성 측정 (Preparation and Stability Measurement of Liposome-amino Acid Conjugates)

  • 문제영;이기영;김진철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96-99
    • /
    • 2000
  • Octadetkanubc으로 수식된 아미노산을 DPPC 혹은 DSPC와 혼합하여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리포솜의 크기는 100nm이고 구형이었다. DPPC와 글루탐산을 혼합하여 제조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가 글루타민이나 아스파라긴을 사용했을 때보다 포도당과의 친화성이 컸다. 제조한 리포솜의 안정성 면에서도 DPPC와 glucamic acid으로 구성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안정성이 높았다. 결국 포도당 친화성과 안정성을 갖춘 리포솜은 DPPC 와 글루탐산의 비가 7 : 3 으로 제조된 리포솜이었다.

  • PDF

엽삭액젓 숙성중의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 of the Fermented Youbsak Sauce during Fermentation)

  • 안양준;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0
    • /
    • 1994
  •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왔던 엽삭액젓을 김치제조에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엽삭액젓의 주요 성분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일반성분중 조지방과 조단백질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장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분은 감소하고, 회분과 염도는 증가하였다. 2. pH는 발효 20일째 6.4를 나타낸 이후로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는 6.6으로 약간 증가하고, 발효 35일째에 6.5로 약간 감소한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pH를 보였다. 총 산도는 발효 20일째에 1,174.6 mg%를 보였고,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 674.2 mg%로 크게 감소 하였다가 발효 35일째에 922.7 mg%로 증가한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어류의 신선도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휘발성염기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에 63.7 mg%에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224.8 mg%까지 증가하였다. 4. 단백질의 분해산물로서의 아미노태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 352.5 mg%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851.7 mg% 까지 증가하였다. 5. 지질의 산가의 변화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7.2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 발효 70일째에 28.5를 나타내고 120일째에 38.6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6.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포화지방산이 42.3%, 단일불포화지방산이 30.9%, 고도불포화지방산이 17.2%에서 숙성이 장기화됨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여 숙성 1년째는 포화지방산은 46.2%, 단일불포화지방산은 28.3%, 고도불포화지방산은 14.7%를 나타내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21% 이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oleic acid, palmitoleic acid, myris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EPA) 순으로 이들이 엽삭액젓 지방산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7. 총 유리아미노산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158.2 mg%에서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2651.5 mg%까지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발효초기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의 양이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 arginine, alanine가 주된 아미노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H, 유기산(有機酸), 아스코르빈산(酸) 및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가 인삼갈변촉진(人蔘褐變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H, Organic acids, Ascorbic acid and Ultraviolet Irradiation on the Acceleration of Browning in Ginseng)

  • 김상달;도재호;오훈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06-210
    • /
    • 1982
  • pH, 유기산(有機酸), ascorbic acid 및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가 홍삼갈색화반응촉진(紅蔘褐色化反應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홍삼(紅蔘)의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은 약(弱) alkali성(性) 범위(範圍)에서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citr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등(等)의 유기산(有機酸) 첨가(添加)도 홍삼(紅蔘)의 갈변반응(褐變反應)을 촉진(促進)하였다. Fumalic acid의 단독첨가(單獨添加)는 홍삼(紅蔘)의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을 촉진(促進)하였으나 glucose, glutamic acid , $glucose{\times}glutamic$ acid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갈변(褐變)을 저하(低下)시켰다. 0.1M 이상(以上)의 ascorbic acid 처리(處理)는 홍삼갈색화반응(紅蔘褐色化反應)에 아주 큰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있었으며 동시(同時)에 양질홍삼(良質紅蔘)의 특유(特有)한 색상(色相)인 홍색도(紅色度)도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는 홍삼건조(紅蔘乾燥) 초기(初期)에는 갈변(褐變)을 상당히 촉진(促進)하였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갈색도(褐色度)가 감소(減少)되었다.

  • PDF

굴젓의 정미성분(呈味成分) ( I ) -굴젓숙성중(熟成中)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변화(變化)- (The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Oyster, Crassostrea gigas ( I ) -Changes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Oyster-)

  • 정승용;이종미;이종호;성낙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97-103
    • /
    • 1977
  • Changes of free amino acids as taste 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oyster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utoanalyzer. In fresh oyster, taurine, glutamic acid and alanine were abundant amino acids and the amounts of taurine (731mg%, on moisture and salt free base), glutamic acid (365mg%) and alanine (345.4mg% ) were 63.8%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Cystine, isoleucine, phenylalanine, leucine and histidine were detected as less abundant free amino acids and the amount of those amino. acids ranged from 5. 5mg% (cystine) to 32.9mg% (histidine). The free amino acids analyzed in this experiment were not changed in composition hut changed in amounts during 124 days of fermentation. Aspartic acid and leucine were continually increased during 124 days of fermentation. Lysine, histidine,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tyrosine and phenyalanine were increased unlit 68 days of fermentation and than decreased gradually. The increase of arginine, glycine, valine and isoleucine were fluctuated. Taurine were dramatically decreased during the 124 days of fermentation. It is believed that glutamic acid, alanine, lecuine, serine, Iysine and threonine play an important role as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oyster because those amino acids were most abundant in fermented oyster.

  • PDF

고수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vor constituents of the Coriander(Coriandrum sativum L))

  • 김경자;최옥자;김용두;강성구;황금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90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 proximate compositions, free sugar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volatiles from the fresh leaf, root and seed of coriand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Moisture was 79.93% in the leaf, 81.89% in the root.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were the highest in the seed. Ascorbic acid was 65.4mg% in the leaf and 37.83mg% in the root.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Glucose was 7.92mg% and fructose 7.51mg% in the leaf. Sucrose was 17.34mg% in the root, highest level. Among organic acids, malic acid was 354.55mg% in the leaf, the highest level. The content rate of organic acids was high in the order of leaf, seed and root. The content rate of total amino acid was high in the order of seed, root and lea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high in the leaf and root.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high in the seed. The content rate of free amino acid is the same as that of total amino acid. Glutamic acid and serine were high in the leaf and seed. Glutamic acid and treonine were high in the root.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each parts of the coriander was higher than that of free amino acid,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the total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was different. The volatile constituents were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and analyzed by GC-Mass.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was 45.31mg% in the leaf, (E)-2-decenal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canal, 2-dodecenal, (E)-2-decen-1-ol in order, aldehyde and alcohol was major constituents.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was 36.01mg% in the root and 54.37mg% in the seed. linalool was the highest in the root and seed. it was 22.27 %, 53.67% in root and seed.

  • PDF

민들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 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95-499
    • /
    • 1999
  • 민들레 잎과 뿌리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3종이 분리되었으며, 총 유리당의 함량은 잎에 비해 뿌리에서 높았다. 잎의 유기산 함량은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이 각각 45.4, 3.6, 2.7mg/100g-f.w.이었고, 뿌리의 경우에는 각각 34.6, 2.1, 1.6mg/100g-f.w.이었다. 총 유기산의 함량은 잎과 뿌리에서 각각 51.7, 38.3mg/100g-f.w.이었는데 뿌리에 비해 잎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유리아미노산 중에 aspartic acid, serine, asparagine, glutamic acid, glycine, valine, isoleucine의 함량이 높았고, 특히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민들레의 비타민 A 함량은 잎과 뿌리에서 각각 135.4, 34.1$\mu\textrm{g}$/100g-f.w.이었고, 비타민 C의 함량은 각각 67.4, 4.6mg/100g-f.w.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