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amylase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Rhizopus oryzae로부터 정제한 두가지형의 Glucoamylase의 효소적(酵素的) 특성(特性)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Two Forms of the Purified Glucoamylase from Rhizopus oryzae)

  • 허원영;정만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2-397
    • /
    • 1984
  • Rhiz. oryzae가 생산(生産) 정제효소(精製酵素) glucoamylase I (G I) 과 glucoamylase II (G II) 의 gel filtration에 의(依)하여 추정(推定)된 분자량(分子量)은 120,000, 127,000이었다. glucoamylase I 과 II 의 등전점(等電点)은 각각(各各) pH 7.25. pH 7.75 이었고 반응(反應) 최적온도(最適溫度)는 다같이 $50^{\circ}C$, 안정온도범위(安定溫度範圍) 는 다같이 pH5.0부근(附近)이었으며 안정(安定)pH범위(範圍)는 각각(各各) $pH3.5{\sim}8.0$, $pH4.5{\sim}8.0$이었다. 가용성전분(可溶性澱粉)에 대(對)한 Michaelis 상수는 glucoamylase I 이 4.545mg/ml, glucoamylase II 가 5.560mg/ml이었다. glucoamylase I 은 $Hg^{++}$, $Pb^{++}$, p-CMB, IAA에 의하여, glucoamylase II는 $Hg^{++}$, $Mn^{++}$, p-CMB, IAA에 의하여 저해(沮害)되었다.

  • PDF

Glucoamylase 유전자 STA1이 포함된 재조합 Plasmid를 갖는 Saccharomyces diastaticus 의 Glucoamylase 생산성에 미치는 Plasmid 안정성의 영향 (Effect of Plasmid Stability on the Glucoamylase Productivity of Saccharomyces diastaticus Harboring Recombinant Plasmid Containing Glucoamylase Gene STA 1)

  • Ahn, Jong-Seog;Hwang, In-Kyu;Jeong, Min-Sun;Mheen, Tae-I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06-610
    • /
    • 1989
  • 전분질의 에탄을 직접발효에 유용한 Saccharomyces diastaticus의 glucoamylase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glucoamylase 유전자 STA1을 함유한 재조합 plasmid pYES 18을 갖는 S. diastaticus의 형질전환 균주에서 성장속도가 plasmid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plasmid 안정성에 따른 glucoamylase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최소 선택배지에서는 plasmid가 일정한 수준에서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나, 균체의 증식과 glucoamylase 생산성은 매우 미약하였다. Starch가 포함된 완전배지에서는 glucose를 첨가해 줌으로써 생육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었으며 생육속도의 촉진에 의해 plasmid 안정성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glucoamylase 생산성이 향상됨을 알았다.

  • PDF

Aspergillus nidulans내에서 Aspergillus awamori의 Glucoamylase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Gene in Asperillus nidulans)

  • 김석준;유준희;정구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6-140
    • /
    • 1993
  • A awamori 의 glucoamylase 유전자와 A. nidolans 의 trpC maker 유전자를 가진 A. nidulans 의 expression vector 를 만들었다. 이재조합 plasmid 를 트립토판 영양요구주의인 A. nidulans B17 에 형질전환시켰다. Southern blotting 으로 vector DNA 가 A. nidulans 의 chromosomal DNA 에 integration 된 것을 확인하였다. Northern blotting 의 결과, glucoamylase 유전자는 induction 조건에서 mRNA 를 합성하였다. glucoamylase 의 역가가 형질전환체에서 증가하였으며,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에서 glucoamylase 의 활성이 나타났다.

  • PDF

Rhizopus oryzae로 부터 정제(精製)한 두가지형의 Glucoamylase의 각종기질(各種基質)의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of Various Substrates by Two Forms of the Purified Glucoamylase from Rhizopus oryzae)

  • 허원영;정만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8-402
    • /
    • 1984
  • Rhizopus oryzae 가 생산(生産)하는 glucoamylase 의 각종기질(各種基質)에 대(對)한 분해반응(分解反應)을 검토(檢討)하였다. Glucoamylase I 과 II 는 amylose, amylopectin, glycogen, 가용성 전분, pullulan, maltose, maltotriose, maltotetriose, maltopentaose, maltohexaose, maltoheptaose, maltooctaose를 가수분해(加水分解)하였으나, ${\alpha}-cyclodextrin$, ${\beta}-cyclodextrin$, sucrose, raffinose, 젖당은 가수분해(加水分解)하지 못하였다. $37^{\circ}C$, 32시간(時間)의 반응(反應)에서 glucoamylase I 은 amylopectin, 가용성 전분, amylose를 거의 100% 분해하였고 glycogen 만을 88%정도 분해 하였으나, glucoamylase II 는 공시기질(供試基質) 4 종(種)을 거의 100% 분해하였다. Glucoamylase I 과 II 의 반응생성물질(反應生成物質)은 glucose 만이었고 ${\alpha}-glucosyltransferase$ activity는 없었다. Glucoamylase I 과 II 는 생찹쌀 전분을 가장 잘 분해(分解)시키나 생감자 전분, 생미숙 바나나 전분, 생칡 전분, 생참마 전분, raw high amylose corn starch의 분해능(分解能)은 glucoamyase I 에 비(比)하여 생전분(生澱粉)의 분해력(分解力)이 강(强)하였다.

  • PDF

재조합 플라스미드 포함 효모와 염색체 삽입 효모에서의 외래 Glucoamylase의 분비 특성 (Secretion Characteristics of Foreign Glucoamylase from Recombinant Plasmid-Harboring and Chromosome-Integrated Saccharomyces cerevisiaes)

  • 차형준;조광명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532-540
    • /
    • 1994
  • 재조합 플라스미드 함유 효모 h$\alpha$1Y2SUCSTA 의 glucoamylase의 분비효율은 배양 4연째에 약 74%이였으며 염색체 삽입 재조합효모 h$\alpha$1Y2S­U UCSTA-I의 경우에는 4일째에 약 65%로 나타났다. 높은 분비효율을 나타낸 것은 glucoamy­I lase의 발현수준이 숙주세포 분비기관의 능력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두 재조합 균주에셔 모두 대부분의 세포내 glucoamylase는 c cytoplasm에 존재하고 약간의 부분만이 (10% 이내) 전 배양기간을 통하여 peri plasm에 존재하였다. 재조합 효모로부터 분비되는 glucoamy­1 lase의 특 생 을 Western blot 분 석 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배양액으로 분비된 glucoamylase는 매우 h heterogeneous하였고 그 분자량은 약 200에서 3 300 kilodalton이였다. 분비된 glucoamylase의 당 잔기량은 약 80% 이상이였고 세포내 glucoamy­l lase의 endoplasmic reticulum 형태는 약 55 에서 65kilodalton 사이의 여러 가지의 밴드로 나타났 다.

  • PDF

Polyethylene Glycol이 재조합 효모 배양에 의한 Glucoamyl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ethylene Glycol on Glucoamylase Production in Recombinant Yeast Culture)

  • 차형준;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11-316
    • /
    • 1996
  • Polyethylene glycolCPEG)의 재조합 효모 배양 에서의 세포성장과 glucoamylase 생산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EG 첨가에 의하여 세포성 장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재조합 glucoamylase의 생산은 증가되었다. 최척의 PEG 분자량은 6000이었으며 최척의 농도는 1g/L이었다. 이러한 최척의 값을 이용하여 PEG 첨가배지에서 첨가하지 않은 배지보다 약 23%의 세포외 glucoamylase 활성의 증가를 보였다.

  • PDF

Schwanniomyces castellii 전분 유전자의 Cloning과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Schwanniomyces castellii Starch Gene)

  • 박종천;배석;전순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53-659
    • /
    • 1990
  • Schwanniomyces castelli CBS 2863의 glucoamylase 유전자를 Saccharomyuces cerevisiae에 cloning하고 발현시켰다. Southern blot 분석결과, 형질전환체의 glucoamylase 유전자는 Sch. castellii genomic DNA로부터 나온 것임을 확인하였고 5.1 혹은 1.3kb의 Sch.castellii 유전자에 해당되는 DNA 절편이 S.cerevisiae 에서 관찰되지는 않았다. S.cerevisiae의 형질전환체의 glucoamylase 활성은 Sch. castellii의 그것에 비해 2,000배 정도 낮았고 E.coli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Sch.castellii의 glucoamylase와 동일한 특성과 분자량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lucoamylase 유전자 STA의 염색체내 삽입에 의한 Saccharomyces diastaticus의 glucoamylase 생성능 향상 (Improvement of Glucoamylase Productivity of Saccharomyces diastaticus by Intergration of Glucoamylase Gene, STA, into Chromosomal DHA)

  • 안종석;맹준호;강대욱;황인규;민태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8-53
    • /
    • 1993
  • Saccharomyces distaticus 의 glucoamylase 생성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STA1 유전자를 YIp vector 를 이용하여 염색체에 도입해 주고자 하였다. STA1 유전자 5.8-Kb 를 YIp vector 에 재조합하여 YIp-STA 를 재작하고, S. diastaticus GMT-11 (a, ura 3, STA1) 을 숙주균주로 하여 염색체의 STA1 유전자 부위에 homologous recombination 되어 삽입하도록 형질전환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glucoamylase 생성능이 모균주에 비해 최대 6배까지 증대된 다양한 형질전환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glycoamylase 생성능이 증대된 형질전환체들의 염색체 DNA 를 분리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을 실시한 결과 YIp-STA 가 multi-copy integra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도입해 준 YIp-STA 는 세포분열인 30세대기간 동안 계속되었어도 안정하게 유지되었음을 알았다.

  • PDF

A Study on the Active site of Glucoamylase from Aspergillus shirousamii

  • ;양철학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0권1호
    • /
    • pp.107-111
    • /
    • 1989
  • Glucoamylase was inactivated with 1-ethyl-2-(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 at pH 5.0. Time course of inactivation of glucoamylase was at least biphasic. From the results of the titration of SH groups with Ellman's reagent and hydroxylamine treatment at pH 7.0, it was concluded that the crucial sites of modification were carboxyl groups of glucoamylase. The CD spectrum of EDC-modified glucoamylase suggested that the gross conformation of the native enzyme was retained. The inactivation of glucoamylase was reduced remarkably in the presence of maltose. The logarithm of the half-life of the inactivation of glucoamylase by EDC was a linear function of log[EDC] in each stage indicating that one carboxyl group among the modified ones was crucial for inactivation of glucoamylase. The change in the binding affinity due to modification was determined by using an affinity column. It indicates that the carboxyl group of glucoamylase seems to play a role in both, the catalysis and substrate binding in the first stage, but in the second stage the binding affinity is recovered almost up to that of native enzyme.

진균류(眞菌類)의 Glucoamylase 활성(活性)의 검색법(檢索法)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Glucose Oxidase for the Rapid Screening of Glucoamylase-producing Fungus)

  • 문인경;이형환;김종협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4
  • Aspergillus awamori를 전분이 함유된 Czapek-Dox배지에서 한천평판배지, 액체배지 방법으로 배양하고, glucoamylase의 생성을 glucose oxidase로서 추구하였다. 전분을 함유한 Czapek-Dox 한천배지상의 포도당의 존재와 그 함량은 glucose oxidase을 사용하여 정성, 정량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glucoamylase 생성균주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색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정치배양은 포도당량은 많았으나, 진탕배양은 반대로 포도당 양은 적었다. 그러나 진탕배양에서 포도당이 성장과 대사에 조속히 활용 되는것 같았다. Cellulose acetate판을 이용한 전기영동법과 2% 전분용액을 사용하여 glucoamylase를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때 glucose oxidase를 사용함으로서 확인이 쉽게 되었다. 전분 당화균의 강력 균주의 검색선발에 있어서 위의 결과를 활용할 것을 제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