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health training program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Resident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is Predictive of Future Volunteerism in Practice

  • Tannan, Shruti Chudasama;Gampper, Thomas J.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159-163
    • /
    • 2015
  • Background Interest in global health and international mission trips among medical student and resident trainees is growing rapidly. How these electives and international mission experiences affect future practice is still being elucidated. No study has identified if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during residency is a predictor of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in practice after training completion. Methods All trainees of our plastic surgery residency program from 1990 to 2011,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optional annual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were surveyed to determine if the graduate had gone on a mission as a resident and as a plastic surgeon.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missions as residents and graduates who did not, from 1990 to 2011 and 1990 to 2007. Results Of Plastic Surgery graduates from 1990 to 2011 who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missions as residents, 60% participated in missions when in practice, versus 5.9% of graduates participating in missions in practice but not residency (P<0.0001). When excluding last 5 years, graduate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missions in practice after doing so as residents increases to 85.7%, versus 7.41% who participate in practice but not residency P<0.002. Conclusions Results reveal plastic surgeons wh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as residents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surgical missions in practice at higher rates than graduat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missions during residency. International missions have significant intrinsic value both to trainee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served, and this opportunity should be readily and easily accessible to all plastic surgery residents nationwide.

신문 빅데이터와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홈트레이닝 트렌드 분석 (Home training trend analysis using newspaper big data and keyword analysis)

  • 지동철;김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3-239
    • /
    • 2021
  • 최근 코로나19(COVID-19)라는 신종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은 외출을 자제하고 집안에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그로 인해 활동량이 급감하고 체중이 증가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홈트레이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홈트레이닝의 트렌드를 알아보기 위해 뉴스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BIG KINDS)에서 제공하는 뉴스를 활용하여 2019년 12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 가중도에 따른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고, 빅카인즈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홈트레이닝은 인공지능의 기술과 등장이 홈트레이닝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홈트레이닝은 이동통신사의 관련한 컨텐츠와 영상서비스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운동 종목으로는 필라테스의 선호도가 높고, 이와 관련된 운동용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표출원도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을 보완하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향후 시행될 여러 빅데이터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Academic Performance in ROTC

  • Jekal, Yoonsuk;Kang, Sang-Mi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8-57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군사관후보생(ROTC)의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학업성취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J 대학교에 재학중인 71명의 학군사관후보생을 선발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습관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체력수준은 건강관련 체력평가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능력은 해당 학군단 장의 승인을 받은 대학성적자료(GPA)를 참가자 동의하에 수집하여 각각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대학학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체력수준별 학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 참여습관과 학업성취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주요 과목과 총체력점수, 심폐체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체력 수준별로는 체력이 높은 그룹의 ROTC가 낮은 체력 그룹의 ROTC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능력을 보였다. 또한 낮은 체력수준의 ROTC 그룹은 높은 체력수준의 ROTC에 비해 학업성취능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수준이 높은 ROTC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자율적이지만 체계적인 체력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ROTC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미래 장교를 양성할 것을 제안한다.

해양자원을 활용한 심신치유기법이 여성 감정노동자들의 수면, 우울 및 기분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예비 연구 (Effects of a Mindfulness-Based Mind-Body Intervention Program using Marine Resources on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and Mood Symptoms in Korean Female Emotional Labor Workers : A Pilot Study)

  • 이상아;이성재;육영숙;허유정;이민구;조휘영;이재헌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58-67
    • /
    • 2018
  • 목 적 : 본 연구는 과도한 감정노동에 노출되어 있는 여성 감정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해양자원을 활용한 심신치유 기법이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예비 연구이다. 방 법 : 정상 참고치 이상의 감정노동에 노출되어 있는 신체건강한 여성 감정노동자 12명을 대상으로, 경남 고성 당항포 일대에서 해양자원을 이용한 심신치유 프로그램을 4박 5일간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한 뒤 사전, 사후, 추후의 평가를 바탕으로 수면, 기분, 인지기능 영역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프로그램에 참가한 뒤 피험자들의 수면의 질이 호전되고 수면 잠복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우울, 긴장, 분노, 피로 등 기분상태의 호전을 보였으며, 인지기능 또한 향상되었다. 수면의 질, 우울기분을 비롯한 상기 효과는 한 달 반 뒤 실시한 추후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PSQI t = 2.63, p = 0.02, HAM-D t = 5.92, p < 0.001). 결 론 : 해양자원을 활용한 심신치유 기법이 긴장을 이완하고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와 관련해 대조군을 포함한 추후연구 및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학령기 아동·청소년 대상 집단따돌림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School-bully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 황지혜;석윤희;박효경;이지연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2-27
    • /
    • 2020
  • Purpose: Bullying is a global problem, and various programs are under way to preven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chool bullying interventions for Korean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Online databases such as RISS, KISS, DBpia, NDSL and KMBASE were searched, identifying 32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9 to November 2018. Results: Thirty-two intervention studies were identified: 23 included school bullying prevention and 9 included school bullying treatment for victims or youth at high risk for bullying. The main purpose of preventive intervention was to decrease the bystander's attitude toward group bullying and treatment program was to improve the psychosocial adaptation of bullying victims. The school bullying interventions varied from group counseling, social skills training, art therapy, bibliotherapy using role-play, game & activities. Classroom environment variables and self-esteem, peer-related variable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and school bullying treatment programs,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is potential for enhancing the outcomes of the behavioral, inter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 Integrated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individuality, gender and physic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ll also be needed. However, a rigorous study design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일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A Study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for Developing Creativity Human Resources)

  • 최용금;오태진;이현;임근옥;홍지헌;정수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56-664
    • /
    • 2020
  •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분석하여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물리치료학과, 치위생학과, 제약공학과, 컴퓨터공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 하였으며 IBM SPSS/Win statistics 23.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인 졸업 고등학교 지역이 수도권인 경우와 학과만족도가 높은 경우 창의융합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또한, 비교과프로그램인 교내/외 경진대회, 글로벌 직무역량교육/해외연수 프로그램, 캡스톤디자인 및 팀 프로젝트 기반수업을 경험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이에 창의융합역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다양한 비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보인 다양한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확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