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Buffer Manag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SAN 환경의 대용량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위한 광역 버퍼 관리기의 설계 (Design of Global Buffer Manager in SAN-based Cluster File Systems)

  • 이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404-2410
    • /
    • 2011
  • 본 논문은 SAN 기반의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SANique^{TM}$의 설계 고려사항을 설명하고 특히 대규모의 호스트들이 연결된 상황에서 광역 버퍼 관리기의 데이터 공유 문제점을 기술하고 클러스터 환경에서 확장성과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광역 버퍼 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광역 버퍼 관리 기법은 $SANique^{TM}$ 시스템의 로크 관리기에서 관리되는 로크 정보를 활용하여 부가적인 통신 및 시간소요 없이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에 적용 가능한 광역버퍼 관리기법의 의사코드 및 데이터 공유 예제를 통하여 본 방법의 효율성을 보였다.

SAN 환경에서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을 위한 전역 버퍼 관리자 (A Global Buffer Manager for a Shared Disk File System in SAN Clusters)

  • 박선영;손덕주;신범주;김학영;김명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2호
    • /
    • pp.134-145
    • /
    • 2004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의 양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확장성 있는 저장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 연결형 자료 저장 시스템인 SAN(Storage Area Network)은 호스트와 디스크를 광채널 스위치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저장 공간과 서버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SAN 환경에서는 다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를 공유하므로 공유 데이타에 대한 일관성 유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 호스트가 수정한 데이타를 즉시 디스크에 반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느린 디스크 접근 시간(Disk Access Time)으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필요한 공유 데이타를 다른 호스트의 메모리를 통해서 직접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공유 데이타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역 버퍼 관리자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SANtopia 전역 버퍼 관리자는 SAN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서로의 버퍼 캐시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블록 데이타로의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 벤치마크를 통한 블록 단위 I/O의 성능 측정 결과, 전역 버퍼 관리자를 사용하는 것이 기존의 디스크 I/O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약 1.8-12.8배 정도 빠른 성능을 보였으며 파일 시스템 벤치마크를 통한 성능 측정 결과. 전역 버퍼 관리자를 사용한 SANtopia 파일 시스템은 사용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서 디렉터리 파일 시스템 콜의 경우 약 1.06배 정도 빠르고 일반 파일시스템 콜은 약 1.14배 정도 빠른 성능을 보였다.

클러스터 공유파일 시스템의 전역버퍼 관리기 설계 (Design of Global Buffer Managerin Cluster Shared File Syste)

  • 이규웅;차영환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01-108
    • /
    • 2004
  • 네트워크 시스템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제공을 위해 기존 컴퓨팅 중심으저장 방식이 아닌 데이터 중심의 새로운 저장 시스템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저장장치 전용 네트워크인 SAN(Storage Area Network)과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보급으로 인해 클러스터 공유 파일 시스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SAN 기반의 네트워크-부착형 저장 장치들을 군집화하여 파일 서버 없이 직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클러스터 공유 파일 시스템인 SANiqueTM의 설계방법 및 각 주요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기술한다. 특히 효율적인 데이터 접근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역 버퍼 관리기의 설계를 제안하며 그 프로토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SAN 환경에서의 공유파일 시스템을 위한 광역 버퍼관리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lobal Buffer Manager for SAN Shared File)

  • 이경록;김은경;정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79-81
    • /
    • 2002
  • 최근에는 ATM, Fast Switched LAN, Fiber Channel과 같은 고속의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분산 환경의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서 디스크를 접근하는 속도보다 원격지 클라이언트의 메모리를 접근하는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실제로 이와 같은 고속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각 서버와 저장 장치를 분리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 저장 시스템이 출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분산 네트워크 파일 저장 시스템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광역 버퍼관리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광역 버퍼 관리기는 크게 데이터 룩업과 버퍼리스트 관리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적절한 자죠 구조와 시스템 내에 있는 각 호스트간의 버퍼블록정보 유지를 위한 방안 및 기존 운영체제의 커널내 버퍼 관리기와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농지범용화 사업 대상지 선정 방안 개발 및 적용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Multipurpose Farmland Sites Using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Records and Spatial Data)

  • 나라;주동혁;김하영;유승환;곽영철;김정훈;이향미;조은정
    • 농촌계획
    • /
    • 제28권1호
    • /
    • pp.17-26
    • /
    • 2022
  •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able production base in advance for a change in the global grain market, and it is required to prepar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such as securing technical skills and cultivation technology. Therefore, Korea, which relies on imports of major grains other than rice, could be exposed to a food crisis at any time unless the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s is improved. In order to respond to this new food crisi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efficiently utilize rice fields to increase the domestic grain self-sufficiency rate. From this point of view, interest and demand for the generalization of farmland that can be used as paddy fields and returned to paddy fields are increasing,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being continuously performed. In order to select a multipurpose farmland project site, this study extracted farmland containing 10% or more purchased and stockpiled farmland through spatial analysis (buffer, dissolve, intersect, etc.), and finally presented areas subject to multipurpose farmland projects. The target site for the multipurpose farmland project was finally selected by integrating data onto a point-by-point basis so that the current status of farmland purchased and stockpiled, Farm Manager Registration Records, and the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data (drainage classes, surface soil texture, field-suitability classification, etc.) can be used in combination. There are 175 areas where the multipurpose farmland is possible. Incheon 2, Gyeongbuk 40, Gangwon 2, Chungbuk 7, Chungnam 48, Jeonbuk 34, Jeonnam 19, Gyeongbuk 15, Gyeongnam 8. Chungcheongnam-do has the most target site for the multipurpose farmland project, and Gangwon-do is the leas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new commercialization and business expansion by deriving business areas by identifying the scale of the farmland multipurpose farmland project using Farm Manger Registration Records and spati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