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enoid bone defec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관절와에 작은 골결손을 가진 외상성 전방 불안정 견관절의 관절경적 봉합 치료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mall Glenoid Bone Defect)

  • 구본섭;정화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2호
    • /
    • pp.70-75
    • /
    • 2004
  •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who had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for the shoulder with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and glenoid bone defec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ean age was 24.6 years(range, 20 to 39) and mean follow-up was 23 months(range, 19 to 55). No glenoid bone defect was greater than 7mm in length and 20% of the glenoid. Th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tability,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Results: All patients obtained excellent-good results according to Rowe scoring system. Two patients(10.5%) had instability. The mean loss of external rotation was 15 degrees (range, 0 to 25). Functionally, 17 patients could participate in preinjured work or sports to the same level with or without mild discomfort. The remained 2 patients who had 25 degree loss of external rotation could not play sports. Conclusion: Though arthroscopic repair is a good treatment for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mall glenoid bone defect, it is possible to cause loss of external rotation

Iliac Bone Graft for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 Ko, Sang-Hun;Cho, Yun-Jae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4호
    • /
    • pp.190-193
    • /
    • 2014
  •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a debilitating condition that is relatively uncommon, but its diagnosis in young adults is increasing in frequency. Several predisposing factors for this condition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the presence of an abnormal joint surface orientation, an osteochondral fracture of the humeral head or glenoid cavity, and a postero-inferior capsuloligamentary deficit, but their relative importance remains poorly understood. Whilst, conservative treatment is effective in cases of hyperlaxity or in the absence of bone abnormality, failure of conservative treatment means that open or arthroscopic surgery is required. In general, soft-tissue reconstructions are carried out in cases of capsulolabral lesions in which bone anatomy is normal, whereas bone grafts have been required in cases where posterior bony Bankart lesions, glenoid defects, or posterior glenoid dysplasia are present. However, a consensus on the exact management of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yet to be reached, and published studies are few with weak evidence. In our study, we report the reconstruction of the glenoid using iliac bone graft in a patient suffering recurrent pos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evere glenoid bone defect.

Outcomes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anterior instability with greater than 20% glenoid bone defects: are Latarjet procedures absolutely indicated for these patients?

  • Kim, Sae Hoon;Jung, Whanik;Rhee, Sung-Min;Kim, Ji U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2호
    • /
    • pp.62-70
    • /
    • 2020
  •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high rates of recurrence of shoulde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greater than 20% after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failure rate of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instability in the presence of glenoid bone deficits >20%. Methods: Retro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case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nd glenoid bone defects of >20% that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with a minimum 2-year follow-up (30 cases). We included the following variables: age, bone defect size, instability severity index score (ISIS), on-/off-track assessment, incidence recurrent instability, and return to sports. Results: The mean glenoid bone defect size was 25.8%±4.2% (range, 20.4%-37.2%), and 18 cases (60%) had defects of >25%. Bony Bankart lesions were identified in 11 cases (36.7%). Eleven cases (36.7%) had ISIS scores >6 points and 21 cases (70%) had off-track lesions. No cases of recurrent instability were identified over a mean follow-up of 39.9 months (range, 24-86 months), but a sense of subluxation was reported by three patients. Return to sports at the preinjury level was possible in 24 cases (80%), and the average satisfaction rating was 92%. Conclusions: Arthroscopic soft tissue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for treating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mong patients with glenoid bone defects >20%, even enabling return to sport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determining the range of bone defect sizes that can be successfully managed by soft tissue repair.

관절와의 심한 골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장골 이식술을 이용한 관절와 재건술 - 2예 보고 - (Reconstruction of the Glenoid Using Iliac Bone Graft for Recurrent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evere Glenoid Bone Defect - A Report of Two Cases -)

  • 이성만;정원주;이현주;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17-122
    • /
    • 2010
  • 목적: 본 증례 보고는 간질 발작과 동반된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에 의한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자가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을 통한 관절와 재건술 및 안정화 술식을 시행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간질 발작과 동반된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을 가진 2예의 재발성 전방 탈구를 자가 삼면 피질 장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관절와 재건술 및 안정화 술식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결과: 수술 후 5개월째 단순방사선 촬영상 이식골의 유합 소견이 관찰되었고, 수술 전 소견과 비교해서 골관절염의 진행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7개월 추시 관찰 상 통증은 거의 없었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정상 운동 범위를 보였으며, 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탈구는 충분한 골 이식을 통해 전방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관절 면을 비교적 잘 일치시켜 정상 관절와의 오목함을 재건할 수 있고 관절염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관절 와 골 결손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증 - 3례 보고 - (Recurrent Traumatic Glenohumeral Instability Associated with Glenoid Bone Defect - 3 Case Report -)

  • 태석기;오종수;김진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76-79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외상성 불안정증에서 관절 낭-순 재건술은 재발성 불완정증 예방 및 기능 회복에 있어 매우 성공적인 술식이다. 대상 및 방법: 그러나 관절 와의 30 % 이상의 심한 골 결손이 존재 할 때 관절 낭-순 재건술 만으로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힘들다. 결과: 본 연구는 관절 와의 심한 골 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외상성 불안정성 견관절에서 관절외자가 장골 이식으로 보강한 관절 낭-순 재건술의 술기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개방적 수술 술기 (Open Techniques for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이봉근;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55-263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은 재탈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의미있는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불안정성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개방적 술식을 고찰하고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대해 연구하고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시술되고 있는 개방적 술식들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결과: 전방 관절낭 관절와 순을 복원한 후 재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에 방사선학적으로 골결손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관절와 결손을 복원하기 위해 오구돌기 이전술(Bristow 술식 또는 Latarjet 술식)이나 자가 장골 이식을 사용할 수 있고, 상완골 두의 후상방골 결손 (Hill-Sachs병변)에 대해서는 회전 절골술이나 동종골 이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골 결손에 대한 인공 관절 치환술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제한적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개방적 술식을 통해 골 결손을 복원해야 재탈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관절경술을 통한 골 병변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도 장기간의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 술기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고상훈;박기봉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102-108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동반되면 관절경 하 재건술에서 실패 요인이 될 수 있다. 외상성으로 발생하는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에서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해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골 결손이 동반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재건술의 수술 술기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최근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관절경적 수술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재발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전하방 관절와의 골 결손과 후외방 견관절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수술 방법에 대하여 논문 고찰과 저자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방 불안정성에서 발생하는 골 결손에는 관절와의 전하방 골 결손과 Hill-Sachs 병소가 있다. 이러한 골 결손은 현재까지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다. 결론: 의미 있는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을 가진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개방적 수술이라고 할 수 있으나, 관절경적인 접근법으로 개방적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주목되고 있다.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Latarjet 술식 (Latarjet Operation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 조승현;조남수;이진웅;최일헌;곽윤호;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89-198
    • /
    • 2009
  • 목적: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해 시행한 Latarjet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관절와의 현저한 골 결손을 동반한 재발성 전방 불안정증으로 Latarjet 술식을 시행 받은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5개월 (12~19개월), 평균 연령은 29.9세 (19~44세)였고, 남자가 13예였다. 우측이 8예, 좌측이 6예였으며, 우세수가 8예, 비우세수가 6예였다. 6예는 이전에 관절경적 뱅카르트 봉합술을 받은 후 재발하여 Latarjet 술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2예는 간질로 치료받는 환자였다. 결과: Rowe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1.8점에서 수술 후 평균 80.2점으로 향상되었고, 최우수 9예, 우수 4예, 양호 1예였다. Korean shoulder score for instability도 수술 전 평균 61.6점에서 수술 후 평균 82.1점으로 향상되었다. 능동적 전방 거상과 중립위 외회전 운동 범위는 수술후 건측과 비교하여 각각 8도와 16도 감소되었다. 전방 거상력과 중립위 외회전력은 수술 후 건측의 근력에 대해 각각 78.7%와 82.5%였다. 1예에서 간질 발작으로 재탈구가 발생하였고, 1예에서 일시적으로 한차례 아탈구가 있었다. 섬유성 골 유합이 2예, 전이된 오구 돌기의 흡수가 1예, 수술 중 나사에 의한 골 파괴가 1예, 수술 후 일시적 근피 신경 손상이 1예, 수술 후 견관절 강직이 1예 있었다. 결론: Latarjet 술식은 현저한 전방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수술 후 외회전 운동 범위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나 관절 호의 길이를 연장시켜 견관절의 기능과 안정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오구 돌기 전이와 관련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

관절 와 골 결손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증 - 3례 보고 - (Recurrent Traumatic Glenohumeral Instability associated with Glenoid Bone Defect)

  • 태석기;오종수;임무준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224-224
    • /
    • 2009
  • 견관절 전방 외상성 불안정증에서 관절 낭-순 재건술은 재발성 불완정증 예방 및 기능 회복에 있어 매우 성공적인 술식이다. 그러나 관절 와의 30 % 이상의 심한 골 결손이 존재 할 때 관절 낭-순 재건술 만으로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힘들다. 본 연구는 관절 와의 심한 골 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외상성 불안정성 견관절에서 관절외 자가 장골 이식으로 보강한 관절 낭-순 재건술의 술기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ng Scapular Notching after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Kim, Young-Kyu;Won, Jun-Sung;Park, Chang-Kyu;Kim, Jong-Ge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4호
    • /
    • pp.248-253
    • /
    • 2015
  • Background: Scapular notching can happen at diverse location depending on implant design or operative technique, therefore, it is easily misdiagnosed. Thus,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a method helpful to assess scapular notching. Methods: The subjects were 73 cases of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RSA) for cuff tear arthropathy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09 to April 2014 and followed-up for over a year. There was medialized RSA in 22 cases, bone increased offset RSA (BIO-RSA) in 36 cases, and metal increased offset RSA (metal-RSA) in 15 cases. Scapular notching was not determined by bone defect at the inferior of glenosphere as Sirveaux's classification, but scapular notching at the site where the rotational route of the polyethylene of humeral implant met the scapular neck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Results: By conventional method, scapular notching was observed in 10 cases (45.5%) in medialized RSA, 12 cases (33.3%) in BIO-RSA, and none in metal-RSA. By new method, it was observed in 9 cases (40.9%) in medialized RSA, 10 cases (27.8%) in BIO-RSA, and none of metal-RSA. The site of scapular notching was apart from glenoshpere in 18 cases, and at inferior of glenosphere in 1 case. Absorption of bone graft was observed in 4 (11.1%) out of 36 cases of BIO-RSA. Conclusions: It is hard to distinguish scapular notching from absorption of bone graft in BIO-RSA, and bone absorption at the lateral lower end of glenoid in medialized RSA. Thus, it is considered useful to assess scapular notching at the site where the rotational route of the polyethylene insert meets scapular n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