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산업부산물 및 규산칼슘계 재료를 이용한 건재용 경량.고강도 복합체의 개발.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기 1)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t.Wt.& High Strength Composites Utilizing By-Products and Calcium Silicates for Construction Materials(1))

  • 박승범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41-152
    • /
    • 1994
  • 산업부산물의 플라이애쉬와 실리카흄 및 국내 부존자원이 풍부한 규사분말, 생석회 및 발포용 알루미늄 분말과 취성개선을 위한 보강용 섬유를 사용한 경량 고강도의 시멘트복합체의 개발을 위하여 오토클래브 양생에 의한 열수 알카리분위기에서의 섬유 자체의 열화현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배합요인별로 건재용 경량섬유보강 규산칼슘계 시멘트복합에를 제조하여 그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탄소섬유 및 내알카리성 유리섬유는 보강용 섬유로서 적합함이 확인되었으며, 경량 섬유보강 규산칼슘계 시멘트복합체의 압축, 인장, 휨강도는 플라이애쉬와 실리카흄 혼입율 및 섬유혼입율이 증가함을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섬유혼입율 증가에 따라 현저히 휨인성이 증가하였으며, 탄소섬유보강의 경유가 유리섬유보강의 경우에 비하여 압축, 인장, 휨강도 및 휨인성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a diode laser and traditional irrigants on the bond strength of self-adhesive cement

  • Tuncdemir, Ali Riza;Yildirim, Cihan;Ozcan, Erhan;Polat, Serda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4호
    • /
    • pp.457-46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a diode laser and traditional irrigants on the bond strength of self-adhesive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Fifty-five incisors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problems were used. All teeth were instrumented using a set of rotary root canal instruments. The post spaces were enlarged for a No.14 (diameter, 1.4 mm) Snowlight (Abrasive technology, OH, USA)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 post with matching drill.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experimental groups of 11 teeth each. The post spaces were treated with the followings: Group 1: 5 mL 0.9% physiological saline; Group 2: 5 mL 5.25% sodium hypochlorite; Group 3: 5 mL 17% 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 (EDTA), Group 4: 37% orthophosphoric acid and Group 5: Photodynamic diode laser irradiation for 1 minute after application of light-active dye solution. Snowlight posts were luted with self-adhesive resin cement. Each root was sectioned perpendicular to its long axis to create 1 mm thick specimens. The push-out bond strength test method was used to measure bond strength. One tooth from each group was process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RESULTS. Bond strength values were as follow: Group 1 = 4.15 MPa; Group 2 = 3.00 MPa; Group 3 = 4.45 MPa; Group 4 = 6.96 MPa; and Group 5 = 8.93 MPa. These values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 (P<.05).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values were obtained with the diode laser and orthophosphoric acid (P<.05). There were no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other groups (P> .05). CONCLUSION. Orthophosphoric acid and EDTA were more effective methods for removing the smear layer than the diode laser. However, the diode laser and orthophosphoric acid were more effective at the cement dentin interface than the EDTA, Therefore, modifying the smear layer may be more effective when a self-adhesive system is used.

다양한 접착 시스템 및 포스트의 표면 처리가 섬유 강화 포스트의 접착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post surface treatments on the push-out bond strengths of fiber-reinforced post)

  • 김민우;안진희;김이경;심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8-225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에 포스트의 표면 처리와 접착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비슷한 치근 길이를 가진 48개의 사람 상악 단근치를 사용하여 16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접착 시스템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no adhesive, Adper Single Bond 2, Clearfil SE Bond, Clearfil S3). 각 군은 포스트 표면 처리 방식에 따라 다시 4개의 군으로 세분하였다(no treatment, sandblast, silane, sandblast and silane). 포스트를(Parapost Fiber White) Rely X Unicem을 사용하여 접착하였다. 치아를 장축에 수직으로 1 mm 두께로 절단 하였다. Push-out test를 0.5 mm/분의 crosshead speed로 시행하였다. 2-way ANOVA, 1-way ANOVA 검정을 시행하였고 Tukey test를 통한 사후 검정을 시행하였다(${\alpha}=0.05$). 결과: Tukey test를 통한 사후 검정에서 접착 시스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Clearfil SE Bond가 가장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상아질에 Clearfil SE bond를 사용하고 포스트를 실란 처리시 가장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내었다.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한 NATM (철근)의 라이닝 결함 종류별 발생원인 및 분석 - Part I (Analysis and cause of defects in reinforced cement concrete lining on NATM tunnel based on the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 Part I)

  • 추진호;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29
    • /
    • 2019
  • NATM (무근)터널의 라이닝 균열을 분석한 논문과 연계하여 NATM (철근)터널의 결함을 정밀안전진단 사례를 정리하여 결함별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NATM (철근)터널에서 콘크리트라이닝은 그 역할에 따라 철근과 같은 보강재를 사용하게 된다. 지반이 불량하거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라이닝 두께의 증가는 굴착단면의 증가와 라이닝 타설 물량의 증가를 유발하나, 철근보강 단면을 설계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을 함께 도모하게 된다. 시설물안전법에 의한 국내 1종 터널 시설물 중에서 NATM으로 시공된 구간에 철근보강을 실시한 라이닝의 결함 특성을 정리하여 형태별 발생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철근, 복철근과 무근라이닝에 발생되는 균열을 비교하여 철근으로 인한 균열제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철근노출 사례와 함께 기술하였고 터널에서 고려될 수 있는 라이닝 두께 부족의 원인으로 정밀시공 미흡, 박락, 공용중 라이닝 화재에 의한 폭열, 지진, 용탈의 사례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정밀안전진단(터널) 세부지침의 보완 및 개정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Fracture resistance of upper central incisors restored with different posts and cores

  • Rezaei Dastjerdi, Maryam;Amirian Chaijan, Kamran;Tavanafar, Saeid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229-235
    • /
    • 2015
  • Objective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fracture resistance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restored with different posts and cores.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upper central inciso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cast post and core (group 1), fiber-reinforced composite (FRC) post and composite core (group 2), composite post and core (group 3), and controls (group 4).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mensions at 7 and 14 mm from the apex were compared to ensure standardization among the groups. Twelve teeth were prepared for crown restoration (group 4). Teeth in other groups were endodontically treated, decoronated at 14 mm from the apex, and prepared for posts and cores. Resin-based materials were used for cementation in groups 1 and 2. In group 3, composite was used directly to fill the post space and for core build-up. All samples were restored by standard metal crowns using glass ionomer cement, mounted at $135^{\circ}$ vertical angle,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aging, and then fract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racture resistance of the groups was as follows: Control (group 4) > cast post and core (group 1) > fiber post and composite core (group 2) > composite post and core (group 3). All samples in groups 2 and 3 fractured in restorable patterns, whereas most (58%) in group 1 were non-restorable.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RC posts showed acceptable fracture resistance with favorable fracture patterns for reconstruction of upper central incisors.

미성숙 치아 모델에서 포스트의 종류와 크기가 치아의 파절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POST TYPES AND SIZES ON FRACTURE RESISTANCE IN THE IMMATURE TOOTH MODEL)

  • 김종현;박성호;박정원;정일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4호
    • /
    • pp.257-2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성숙 우치를 가타퍼챠 및 다양한 포스트와 코아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복한 후 술식에 따른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우치의 백악상아경계 상방 8 mm, 하방 12 mm 지점을 절단하여 제작한 미성숙 우치 모델에서 가타퍼챠와 이원중합형 복합레진 LuxaCore로 코어 수복을 시행하거나, 각각 D.T. LIGHT-POST, ParaPost XT 및 다양한 크기의 EverStick Post와 LuxaCore로 수복하였다. 이후 시편을 72시간 동안 증류수에 저장한 후 6,000회의 thermocycling을 진행하였다. 실험적으로 치주인대의 물성을 재현하고, Instron에 시편을 45도로 위치시켜 압축부하를 가해 파절 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부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스트를 이용하여 수복하였을 때 파절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포스트의 종류 및 적합도는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부분의 시편에서 수복 가능한 파절이 나타났으며, 실험군에 따른 파절 부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성숙 치아의 상기 치근 강화 술식은 치아의 파절 강도를 증가시키고, 포스트의 종류 및 적합도는 파절 저항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RP선박의 재처리시스템과 활용성 연구 (New Practical and Eco-friendly Recycling method of FRP Boats)

  • 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1-186
    • /
    • 2007
  • FRP선박의 친환경적 recycle에 있어서 현재 가장 선호되는 방법은 기계적 방법에 의한 파쇄와 분쇄를 거친 후 화학적 처리 또는 추가 첨가제 등을 활용하여 재활용 또는 재사용하는 방법이다. 재활용 방법 중에서는 콘크리트 제품의 잔골재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된 재활용 방법이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FRP선박의 재활용(재자원화)을 위하여 실용성과 안정성을 지니는 많은 기계적 처리 및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여왔다. 특히 국제적으로 파쇄된 FRP재료를 폴리머시멘트에 활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기계적 처리 방법의 환경적 문제(2차오염)와 폴리머시멘트의 활용도의 한계가 FRP재활용 사업의 확대를 어렵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RP선박을 친환경적으로 일괄처리 할 수 있는 재처리시스템과 그 결과물을 재활용한 콘크리트제품의 실용화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 PDF

실리카의 입자 크기와 Aging 시간이 지오폴리머 섬유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ilica Particle Size and Aging Time on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Geopolymer-Fiber Composites)

  • 이윤주;장석훈;오민경;신동근;최두현;이지은;오창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5-183
    • /
    • 2024
  • Geopolymer, also known as alkali aluminum silicate, is used as a substitute for Portland cement, and it is also used as a binder because of its good adhesive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Since Davidovits developed Geopolymer matrix composites (GMCs) based on the binder properties of geopolymer, they have been utilized as flame exhaust ducts and aircraft fire protection materials. Geopolymer structures are formed through hydrolysis and dehydration reaction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can be influenced by reaction conditions such as concentration,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lica size and aging tim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Commercial water glass and kaolin were used to synthesize geopolymers, and two types of silica powder were added to increase the silicon content. Using carbon fiber mats,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using the hand lay-up method. Spectroscopy was used to confirm polymerization, aging effects, and heat treatment, and composite materials were used to measure flexural strength.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er time aging and use of nano-sized silica particles were helpful in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eopolymer matrix composite.

GFRP로 보강된 순환골재콘크리트 블록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lock Reinforced with GFRP)

  • 김용재;이현기;박철우;심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65-6574
    • /
    • 2013
  • 세굴방지, 하천사면보호, 하상구조물보호 등을 위해 국내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항상 물 또는 습윤한 환경에 접하게 되므로 내부보강재로 사용된 철근에 부식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이로 인해 블록의 성능과 내구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보강재를 GFRP 보강근으로 대체하여 철근부식에 따른 성능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콘크리트 블록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에는 순환골재와 조강시멘트를 적용하여 현장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조강시멘트를 사용한 순환골재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에 비해 작업성과 탈형강도는 유사하였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약 18% 증가되었다. 하중저항성능을 측정한 결과, GFRP 보강근이 적용된 순환골재콘크리트 블록은 기존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약 10~30%의 하중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순환골재와 GFRP 보강근을 적용한 호안블럭의 하중저항특성에 관한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Load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Revetment Concrete Block with Recycled Concrete Aggregate and GFRP Rebar)

  • 김용재;김종호;문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5호
    • /
    • pp.42-51
    • /
    • 2022
  •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유한 골재자원은 개발수요증가 및 건설투자확대 등으로 고갈이 예상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향후 골재자원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순환골재는 폐콘크리트에서 추출한 골재로 일반골재에 비해 품질이 낮으나, 전처리, 혼화재 적용 등을 통해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한 품질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환골재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은 보도블럭, 호안블럭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적용하는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골재콘크리트 호안블럭과 유사한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순환골재콘크리트 호안블럭의 생산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순환골재 및 준조강시멘트의 적용량과 증기양생이력을 콘크리트 시험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호안블럭 시험에서는 최적의 순환골재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 적용에 따른 하중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준조강시멘트와 순환골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양생온도 및 지속시간의 변화에도 탈형강도를 만족하였다. 재령 28일 강도에서는 증기양생이력에 따라 압축강도의 증감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시멘트량을 감소시킨 변수도 증기양생이력의 조절을 통해 일반콘크리트와 동등한 성능이 발현되었다. 순환골재콘크리트 호안블럭의 재하시험결과, 보강비에 따라 다르나 일반 호안블럭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낮은 품질특성은 배합 및 양생방법의 조절과 적정 보강재 적용을 통해 보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