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dosimete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Mixed Low Energy Characteristics of Radio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 Tamiya, Tadashi;Tabushi, Katsuyoshi;Koyama, Shuji;Tsuzaka, Masatoshi;Narita, Norihiko;Ogata, Yoshimune;Obata, Yasunori;Uruga, Tomoya;Tanida, Hajime;Ban, Shuichi;Namito, Yoshihito;Ikegami, Toru;Sakaguchi, Hiroharu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1999년도 Japanese Journal of Medical Physics
    • /
    • pp.323-326
    • /
    • 1999
  • PDF

Linearity of Radio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Based on Monochromatic X-ray

  • Shimozato, Tomohiro;Tabushi, Katsuyoshi;Tamiya, Tadashi;Koyama, Shuji;Narita, Norihiko;Yoshioka, Setsu;Tsuzaka, Masatoshi;Obata, Yasunori;Uruga, Tomoya;Tanida, Hajime;Ban, Shuichi;Namito, Yoshihito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1999년도 Japanese Journal of Medical Physics
    • /
    • pp.327-329
    • /
    • 1999
  • PDF

자체제작 Pb 밴딩을 이용한 피폭선량 감소 (Exposure dose Reduction using Pb Banding of own manufacturing)

  • 김창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269-273
    • /
    • 2013
  • 치과 진료시 파노라마 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특히 방사선에 민감한 수정체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Pb밴딩의 크기에 따라 수정체 피폭선량을 측정한 결과 Pb밴딩의 크기에 따라서 수정체의 피폭선량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b밴딩의 크기가 $3{\times}20{\times}0.2cm$에서는 정상치보다 피폭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times}20{\times}0.2cm$ 이상의 크기에서는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획득되어진 영상 $7{\times}20{\times}0.2cm$ 크기에서 진단에 부적합한 영상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므로 피폭선량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파노라마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Pb밴딩 $5{\times}20{\times}0.2cm$이상 $6{\times}20{\times}0.2cm$이하 크기를 사용하여 검사에 활용하면 피폭선량이 감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형광유리 선량계와 광자극 발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OSLD and PLD Used in Nuclear Medicine)

  • 박정규;손상준;박명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1호
    • /
    • pp.47-5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18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OSLD) and photoluminescent glass dosimeter(PLD) to measure the 3-month exposure dose and the cumulative dose in the active working area of the nuclear medicine worker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umulative dose for three months in the worker and work area was measured as 1.97 mSv and 2.02 mSv in the PLD. The mean surface dose and the mean depth dose of the OSLD were measured to be 2.04 mSv.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urface dose measured by the PLD and the OSLD was 0.66mSv and the total mean surface dose was 0.07mSv.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depth dose and the total depth dose was 0.1mSv and 0.02mSv,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dose value of the OSL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L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difference of 0.01mSv was observed between the PLD and the OSLD of the worker. For the dose measurement of the two dosimetry syste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LD and the OSLD in the surface dose of 0.239 (p>0.05). Also, the significance of PLD and OSLD in the deep dose was 0.109,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복부 MDCT 검사시 피폭선량 및 화질평가 (The evaluation of the radiation dose and the image quality during MDCT using Glass Rod Detector)

  • 김창규;박병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9-254
    • /
    • 2012
  • 인체조직등가 팬텀과 유리선량계를 활용하여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용 128채널 MDCT과 4채널 MDCT의 복부 촬영시 피폭선량과 획득영상의 화질을 평가하였다. 복부 CT 검사 시 흡수선량은 4-MDCT에서 $35.8{\pm}0.46mGy$, 128-MDCT에서 $19.03{\pm}0.25mGy$로 나타나 진단에 의미있는 영상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방사선량은 128-MDCT가 적게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MDCT를 이용한 복부 검사에서 획득한 영상을 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4-MDCT 경우가 3.52점의 결과를 보였으며, 128-MDCT경우 4.01점의 결과를 나타내어 128-MDCT의 영상의 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128-MDCT는 방사선피폭량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영상의 질을 얻을 수 있어 향후 많은 이용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감마나이프의 출력인자 결정 (Determination of Output Factors for the Gamma Knife using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라정은;서원섭;신동오;김희선;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13-1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리선량계가 방사선 치료장비의 선량계로서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감마나이프의 출력인자 및 X축 측방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출력인자는 가장 큰 콜리메이터인 18mm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14, 8 그리고 4mm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 각각 $0.980{\pm}0.013,\;0.949{\pm}0.013$ 그리고 $0.872{\pm}0.012$로 나타났다. 이는 제작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준데이터와 모든 콜리메이터에서 1.0% 이내에서 잘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유리선량계로 측정한 4mm 콜리메이터의 x축 측방선량분포의 반치폭은 5.9mm였다.

  • PDF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방사선 조사면 크기 결정을 통한 유용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Vertical Multileaf Collimator for Determination of Irradiation Size)

  • 이창열;손기홍;신상훈;박승우;이동한;정해조;최문식;오원용;김금배;양광모;지영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1호
    • /
    • pp.3-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작한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Co-60 감마선 및 6 MV 엑스선의 조사면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고 동일한 모양 및 크기의 조사면을 납차폐체로 결정하여 방사선 조사면 내 선량분포 특성을 상호 분석하여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방사선 조사면 크기 결정에 관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이온전리함, 유리선량계, 방사선크로믹 필름을 사용하여 선량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Co-60 감마선과 6 MV 엑스선에 대하여 기준조사면의 이온전리함 측정결과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빔 중심축 선량값이 납차폐체의 선량값보다 각각 5.1%, 4.2%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Co-60 감마선에 대한 4개 조사면(기준 조사면, 원형, 삼각형, 십자형)의 유리선량계 측정 결과는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선량값이 납차폐체의 선량값보다 각각 2.2%, 7.8%, 7.2%, 4.0% 높게 측정되었고, 6 MV 엑스선에 대하여는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선량값이 납차폐체의 선량값보다 각각 6.7%, 6.2%, 3.8%, 6.2% 높게 측정되었다. 방사선크로믹 필름에서 차폐체의 선량분포곡선 중 최대선량의 80%에서 2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반음영 크기는 모든 조사면에서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반음영 크기가 납차폐체보다 Co-60의 경우 2.0~3.5 mm, 6 MV 엑스선의 경우 0.5~1.0 mm 작게 나타났으며 이는 제작한 수직형 다엽 콜리메이터가 임상에 사용되었을 때 반음영의 크기를 납차폐체보다 줄일 수 있음으로써 치료 조사면적 결정시 차폐물의 반음영으로 생기는 방사선치료체적(Treatment Volume, TV)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아울러 2차원 및 3차원 방사선치료 시 본 다엽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사선치료 조사면을 간편하게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한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의 개발 (Development of a Thermoplastic Oral Compensator for Improving Dose Uniformity in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최준용;원영진;박지연;김종원;문봉기;윤형근;문수호;전종병;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4호
    • /
    • pp.269-278
    • /
    • 2012
  •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공동 경계면 및 주변 치료 부위의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조직 등가의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를 개발하였다. Thermoplastic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해 오던 치과용 인상재료인 paraffin, alginate, 그리고 putty로 제작한 각 구강 보상체의 물성 및 선량 분포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물성 평가에는 강도 평가(압축 실험, 낙하 실험)와 자연변형도(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개발한 선량 검증용 팬톰에 삽입한 유리선량계와 Gafchromic EBT2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선량, 공동 경계면 선량 및 빔 측면도를 측정하여 전달 선량을 평가하였다. 두 달간 각 구강 보상체의 자연변형도 평가하였을 때, alginate는 수분증발로 최대 80% 체적 변화를 보였으나, thermoplastic을 포함한 나머지 조직 등가 물질은 체적 변화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강도 평가 중 5회 반복한 1.5 m 높이의 자유 낙하실험에서 paraffin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되었으나, thermoplastic은 낙하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압축 강도 실험에서도 paraffin에 비하여 8배 이상의 높은 힘에서도 파손되지 않았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 검증 결과, 1문 조사 시 조직등가[약 80 HU (Hounsfield Unit)]의 thermoplastic은 동일한 처방 선량 전달 시 약 1,000 HU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putty에 비해 4% 낮은 출력계수(monitor unit) 전달로 약 4.9%의 낮은 표면 선량을 전달하였다. 또한 빔 입사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구강 통과 후 경계면의 빔 측면도에서 선량 균일도 평가를 위해 측정한 조사영역 편평도는 air, thermoplastic, putty에서 각각 11.41, 3.98, 4.30으로 나타났다.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는 조직 등가 물질로 기존에 사용해오던 구강 보상체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물질 변형 확률이 적으며, 구강을 포함을 경계면 및 주변 부위에 균일한 선량 분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처방 선량 전달 및 피부 선량 감소가 가능하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요추검사의 장기선량 및 영상의 평가 (Evaluation on Organ Dose and Image Quality of Lumbar Spine Radiography Using Glass Dosimeter)

  • 김재겸;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촬영 시스템에서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에 따른 주변 장기선량과 요추 영상의 화질 변화를 정량화하여 의료피폭 저감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는 $8^{\prime\prime}{\times}17^{\prime\prime}$에서 $14^{\prime\prime}{\times}17^{\prime\prime}$ 크기까지 변화하였으며, RANDO 팬텀을 대상으로 요추 전-후방향, 측방향 검사를 실행하였다. 장기선량은 간, 위, 췌장, 신장, 생식선을 선택하여 유리선량계로 측정하였으며, Image J로 영상 분해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후방향 촬영에서 요추의 주변 장기선량은 조사야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3.83%로 감소율의 변화가 없었다. 측방향 촬영에서 간, 신장과 같이 표면과 가까운 장기에서 장기선량은 높은 선량이 나타났으나,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5%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24.34%로 나타났다. 조사야 내, 외부에 대한 선량 차이는 간에서 $549.8{\mu}Gy$, 위에서 $264.6{\mu}Gy$로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평균 $1,135.1{\mu}Gy$로 큰 변화가 없었다. 조사야 크기에 따른 영상은 전-후방향 촬영에서 $9^{\prime\prime}{\times}17^{\prime\prime}$, 측방향 촬영에서 $10^{\prime\prime}{\times}17^{\prime\prime}$ 이하의 크기에서 30 dB 이상으로 영상의 질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요추검사는 다른 검사 부위보다 주변장기들이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양질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조사야 크기 설정에 관한 권고기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자세의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및 영상평가 (Radiation Dose and Image Evaluation for Position Change in Low Extremity Teleography)

  • 김영천;송종남;최남길;정연;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09-415
    • /
    • 2014
  • 하지전신계측검사(low extremity teleography)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요장기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하지전신계측검사를 시행한 성인남자 10명을 대상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73 kVp, 관전류량 32 mAs, SID 180 c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란도 팬텀을 이용하여 수정체, 갑상선, 생식선 부위에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부착한 후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각각 5번씩 시행하여 부위별로 방사선량을 측정한 후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영상평가는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시행한 영상을 blind test를 실시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후방향자세검사에 비해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수정체 약 6%, 갑상선 약 6%, 생식선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약 27%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전후방향자세검사보다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