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nseng cultivation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7초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Korean Ginseng Leaves

  • Eo, Ju-Kyeong;Choi, Min-Seok;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47-151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the foliar endophytes of Korean ginseng.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healthy leaves of mountain-cultivated ginseng (MCG) and field-cultivated ginseng (FCG) at 4 sites in Chungbuk Province. A total of 24 species of fungal endophytes were identified using molecular approaches. Additionally, the diversity of these endophytic fungi was compared between MCG and FCG. The major isolated endophytes were Edenia gomezpompae and Gibberella moniliformis in the MCG and FCG sample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endophytes have different community structures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this understanding may prove useful in ginseng cultivation.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 곽이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43-56
    • /
    • 2019
  •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GAP (우수농산물인증) 관련요소 분석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in Panax ginseng C.A. Mayer)

  • 유용만;오세찬;성봉재;김현호;윤영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6
    • /
    • 2007
  • 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times}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화학성 및 인삼뿌리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Rot Disease in Continuous Cropping Field of Ginseng)

  • 이성우;박경훈;이승호;장인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7
  • Background: Some plants have harmful effects on fungi and bacteria as well as other plants. Incorporating such plant into soil as green manure is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 densities of soil pathogens. Methods and Results: Twenty-three species of green manure crops were cultivated after the harvest of 6-year-old ginseng and th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at the flowering stage. The following year, the root rot ratio of 2-year-old ginseng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the $NO_3$ content,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K content decreased by 95%, 79% and 65%,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P_2O_5$ and $NO_3$ contents reduced by 41% and 25%, respectively. The "survived root ratio" of 2-year-ol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56.2%, 47.5%, and 47.3%, in the Sorghum sudanense, Ricinus communis and Helianthus tuberosus trea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rvived root ratio" in the Secale cereale, Chrysanthemum morifolium, Atractylodes macrocephala, and Smallanthus sonchifolius treatments. The "survived root ratio" of ginse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il pH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O_3$ contents, and EC. Conclusions: Cultivation of plant form the Chrysanthemum family as green manure, using mainly the rhizomes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root rot disease of ginseng.

조선후기 고려홍삼 무역량의 변동과 의미 (The changes and meanings in the volume of Korea red ginseng trade in late chosun dynasty)

  • 이철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67-77
    • /
    • 2019
  • 이 논문은 1797년 고려홍삼 무역이 포삼제(包蔘制)라는 공식적인 제도로 시행된 이후 그 수출량과 홍삼세의 규모를 살핌으로써 고려홍삼 무역의 변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고려 홍삼무역은 조선 정부가 받아들이는 세금만으로도 공무역의 비용을 능가하였다. 조선은 인삼을 재배하는 농업기술과 저장 기간을 늘리는 홍삼 증포 기술을 바탕으로, 은화의 유출을 막고 중국의 완제품 및 원료를 들여와 국내 상업계와 수공업 및 광업부문을 자극했다. 더우기 조선정부는 고려 홍삼수출로 19세기 후반 매해 20만 냥에 달하는 재정 수입을 올릴 수 있었고, 한때는 중국에서 말굽 모양의 은을 사와서 호조에 비축하기도 했다. 세도정권하에서도 상업계가 전반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개성상인 의주상인 서울상인의 활동이 두드러진 것은 이러한 사정에 따른 것이다.

Diversity of Yeasts Associated with Panax ginseng

  • Hong, Soon-Gyu;Lee, Kang-Hyun;Kwak, Jang-Yul;Bae, Kyung-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6호
    • /
    • pp.674-679
    • /
    • 2006
  • Biodiversity of yeasts was investigated in the ginseng cultivation field. Among 34 isolates tested in this study, 26 isolates belonged to the hymenomycetous yeast group. These 26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12 species including four new-species candidates that did not have clear affiliation to any established species. Seven isolates among the remaining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scomycetous yeast species, and one isolate was identified as a urediniomycetous yeast species.

Endophytic Trichoderma citrinoviride isolated from mountain-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has great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ginseng pathogens

  • Park, Young-Hwan;Mishra, Ratnesh Chandra;Yoon, Sunkyung;Kim, Hoki;Park, Changho;Seo, Sang-Tae;Bae, Hanh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08-420
    • /
    • 2019
  • Backgroun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n invaluable medicinal plant containing various bioactive metabolites (e.g., ginsenosides). Owing to its long cultivation period, ginseng is vulnerable to various biotic constraints. Biological control using endophytes is an important alternative to chemical control. Methods: In this study, endophytic Trichoderma citrinoviride PG87, isolated from mountain-cultivated ginseng, was evaluated for biocontrol activity against six major ginseng pathogens. T. citrinoviride exhibited antagonistic activity with mycoparasitism against all ginseng pathogens, with high endo-1,4-${\beta}$-D-glucanase activity. Results: T. citrinoviride inocul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disease symptoms caused by Botrytis cinerea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induced ginsenoside biosynthesis in ginseng plants. T. citrinoviride was formulated as dustable powder and granules. The formulated agents also exhibited significant biocontrol activity and induced ginsenosides production in the controlled environment and mountain area.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T. citrinoviride has great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nd elicitor of ginsenoside production.

A Study of Ginseng Culture within 'Joseonwangjosilok' through Textual Frequency Analysis

  • Mi-Hye Kim
    • 셀메드
    • /
    • 제14권2호
    • /
    • pp.2.1-2.10
    • /
    • 2024
  •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the 'Joseonwangjosilok',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ginseng among the ruling class and its utilization during the Joseon era. It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inseng into a high-value cultural commodity. The focus of this research, the Joseonwangjosilok, comprises 1,968 volumes in 948 books, spanning a record of 518 yea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of significant words. To assess the interest in ginseng across the reigns of 27 kings during the Joseon era, ginseng frequency records were adjusted based on years in power and the number of articles, creating an interest index for comparative rankings across reigns. Analysis revealed higher interest in ginseng during the reigns of King Jeongjo and King Yeongjo in the 18th century, King Sunjo in the 19th century, King Sejong in the 15th century, King Sukjong in the 17th century, and King Gojong in the 19th century. Examining the temporal emergence and changes in ginseng during the Joseon era, general ginseng types like insam and sansam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15th century. It appears that Korea adeptly utilized ceremonial goods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meeting the demand for ginseng from their royal and aristocratic societies. Processed ginseng varieties such as hongsam and posam, along with traded and taxed ginseng, showed peak frequency in the 18th century. This coincided with increased cultivation, allowing a higher supply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ginseng processing technologies like hong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