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Seedling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8초

인삼 종묘삼 재배 시 파인버블을 적용하는 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on Applying a fine bubble to ginseng seedling cultivation)

  • 안철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91-196
    • /
    • 2017
  • 본 연구는 파인 버블수 처리시 인삼 종묘삼 생장에 미치는 영향 대해서 조사하는 융합연구로써 고년 근 인삼 재배 시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수와 파인버블수를 각각 처리한 종묘삼이 성장함에 따라 지상부와 지하부의 부위별 차이점이 나타났다. 지상부에서는 파인버블수를 처리한 종묘삼이 일반수를 처리한 종묘삼보다 잎의 성장이 약 10%증가 하였고 줄기는 약 6% 성장이 일어났다. 지하부에서는 뿌리길이는 약 5% 증가하고 주근 폭이 약 8% 증가되었고 뿌리 무게는 생중량이 약 9%, 건중량은 약 7%의 무게 증가가 일어났다. 이것은 뿌리전체만 성장한 것이 아니라 주근의 생성이 빨리 되면서 전체적으로 뿌리성장이 약 7%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묘삼의 생육증가가 파인버블수의 특이한 물질적 성질이 종묘삼의 성장에 자극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종묘삼을 이용한 초기 연구로써 향후 고년 근 인삼재배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후 2년 근 인삼재배에서 적용한 연구와 토양조건에 따른 용존 산소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적 재배조건을 찾아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수분생리 1. 자생지관찰.재배 경험.기상요인과 근 및 엽의 특성 (Water Physiology of Panax ginseng. 1. Habitat observation. cultural experience, weather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root and leaf)

  • 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97-221
    • /
    • 1980
  • Habitat observation, cultural experience of old and present plantation, weather factors in relation to crop stand and water physiology of root and leaf were reviewed. According to habitat observation ginseng plants love water but plate wit talus well grow at drained place with high moisture content in air and soil while ginseng plants were not found in dry or wet place. According to cultivation experience ginseng plants require abundant water in nursery and main field but most old planters believe that ginseng plaints are draught-loving thus require little water. The experience that rain especially in summer i.e unfavorable might be due to mechanical damage of leaves arid leaf disease infection, or severe leaf fall which is caused by high air temperature and coinsided with rain. According to crop stand observation in relation to weather factors abunsant water increased each root weight but decreased total yield indicating tile increase of missing root rate. Rain in summer was unfavorable too. Though rain in June was favorable for high yield general experience that cloudy day and rain were unfavorable might be due to low light intensity under shade. Present leading planters also do loot consider the importance of water in main field. Water content is higher in top than in root and highest in central portion of root and in stem of top. For seedling the heavier the weight of root is tile higher the water content while it reveries from two years old. Water potential of intact root appeared to be -2.89 bar suggesting high sensitivity to water environment. Under water stress water content severly decreased only in leaf. Water content of leaf appeared to be 78% for optimum, below 72% for functional damage and 68% for perm anent wilting. Transpiration or curs Principally through stomata in lower side of leaf thus contribution of upper side transpira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intensity. Transpiration is greater in the leaves grown under high light intensity. Thus water content is lower with high light inte nsity under field condition indicating that light is probable cause of water stress in field. Transpiration reached maximum at 10K1ut The decrease of transpiration at higher temperature seems to be due to the decrease of stomata aperture caused by water stress. Severe decrease of photosynthesis under water stress seems to be principally due to functional damage which is not caused by high temperature and Partly due to poor CO2 supply. Water potential of leaf appeared to be -16.8 bar suggesting weakness in draught tolerance. Ginseng leaves absorb water under high humidity. Water free space of leaf disc is %mailer than that of soybean leaf and water uptake appears to be more than two steps.

  • PDF

생물검정 및 토양환경요인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의 발병예측 모형의 적합성 검정 (Fitness Analysis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Root Rot Progress of Ginseng Based on Bioassay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 박규진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20-24
    • /
    • 2001
  • 생물검정에 의한 유묘 이병율의 직접 조사치, 또는 근면 및 토양요인에 의한 이병율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포장내에서의 년생별 지상부 결주율을 추정함으로써 토양에서의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시험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발병예측 모형의 용인별 결주율 추정치와 포장에서 결주율 조사치간의 적합성을 통계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유묘 이병율에 의한 결주율 추정치는 근권요인(토양 이화학성 및미생물상 밀도)에 의한 추정치에 비해 결주율 조사치에 대한 적합성이 더 높았다. 조사 포장수를 확대하여 유묘이병율에 의한 발병예측 모형식의 적합성을 재확인한 결과, 저년생 인삼의 결주율 추정치는 3년생 포장, 그리고 고년생 인삼의 결주율 추정치는 5년생 포장에서의 실제 결주율 조사치와 1%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일치하였다. 유묘 이병율에 의한 발병예측 모형식은 인삼 뿌리썩음병에 대한 토양 검정 차원에서 적용할 경우 재배예정지의 적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인삼 생육기간 중에 적용할 경우 고년생 포장에서의 병진전을 예측할 수 있어 조기수확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의 종자개갑시와 묘생육초기의 Ginsenosides 및 유리당의 변화 (Change of Ginsenosides and Free Sugars in Seeds During Stratification and Seedling During Early Growth Stage of Panax ginseng)

  • 박귀희;이미경;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6-292
    • /
    • 1986
  • Saponin생합성의 개체발생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삼종자의 개갑과정과 묘삼생육초기에 saponin및 유리당의 변화를 HPLC로 조사하있다. 개갑처리 40일 후에 약 80%의 saponin이 없어졌으며 Rc, Rb$_2$, Rb$_1$이 없어지고 PD가 더 많이 없어졌다. 70일 후에는 40일 후보다 증가하였으며 Rg$_2$와 Rg$_3$(추정), 20-gluco Rf(추정)의 증가는 분해용탈 외에 생합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아니하였다. F$_3$(추정)는 과육에 없고 미숙배유와 배에 있고 개갑과정에서 적어졌다. Rg$_3$는 과육에 없고 배유와 배에 흔적으로 있으나 개갑에서 증가되었다. 20-gluco Rf는 개갑 중 배유와 배에서만 나타났다. 4월 20일의 묘삼근에서 saponin은 없었으나 줄기에서는 개갑시 보다 많았다. 근의 saponin 생성은 5월 29일에 나타났으나 6월 30일에야 Rc, Rb$_2$, Rb$_1$이 처음 생기며 본 궤도에 이르는 것 같다. 6월 중 단위 생중당 saponin 생합성 속도는 뿌리보다 잎에서 배가 높았다. 잎사포닌 F$_3$와 F$_{6}$가 뿌리에서 발견되고, 근 saponin Rg$_3$와 20-gluco-Rf가 엽에서 나타났으나 점점 감소하였다. Saponin함량의 변화에는 PD가 주역이여서 PT/PD는 saponin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다. 재갑처리 70일에도 sucrose의 함량이 높았으나 glucose는 흔적, fructose는 없었다. 묘삼의 잎은 sucrose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

  • PDF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 곽이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43-56
    • /
    • 2019
  •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봄파종을 위한 인삼 종자 저장 적정 온도 연구 (Optimum Storage Temperature for Spring Sowing of Panax ginseng Seeds)

  • 서수정;장인배;장인복;문지원;유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90-396
    • /
    • 2019
  • Background: Usually ginseng seeds are sown during autumn and spring. Sowing in spring often results in poorer seedling establishment than in autumn. One of the reasons for poor germination could be cold-treatment condition for breakage of physiological dormancy during winter. Here we tested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used during cold treatment on germination. Methods and Results: Germination properties were observed after dehiscent seeds were stored as wet and dry at 2℃, -2℃, -3.5℃ and alternating temperature (AT). Seed dryness and storage temperature affected germination properties (p < 0.01). Wet and AT condition germinated highest, and wet and -3.5℃ condition germinated lowest, which was 91.2% and 1.4% respectively. Mean germination time (MGT) of the wet and AT condition was faster than other treatments at 2.4 days, and the dry and -2℃ condition was the longest. Germination performance index (GPI) was highest for wet and AT condition (37.7%) and the lowest for wet and -3.5℃ condition (0.5%). The growth of above-ground and below-ground were the best for wet and 2℃ condition, and wet seeds showed better growth than dry seeds (p < 0.01). Conclusions: For cold treatment, ginseng seeds may not be stored below -2℃ for successful germination during spring sowing.

Effects of Temperature Regimes for Storage of Ginseng Seeds during Cold-stratification for Spring Sowing

  • Suh, Su Jeoung;Jang, In Bae;Yu, Jin;Moon, Ji Won;Jang, In Bo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19
  • Spring sowing of ginseng seeds often results in failure of seedling establishment. Storage condition during winter, sowing time, and seed treatment might effect on germination. Here we tested effects of temperature regimes of seed storage on spring sowing. Dehisced wet or dry ginseng seeds were stored at $2^{\circ}C$, $-2^{\circ}C$, $-3.5^{\circ}C$, or alternating temperature: at $2^{\circ}C$ until December, $-3.5^{\circ}C$ in January, and $2^{\circ}C$ in February, and sowed in March. In overall, emergence rate was dependent on storage temperature, and $-3.5^{\circ}C$ resulted poorest emergence than other conditions. Storage of wet seeds in alternating temperature resulted highest emergence rate. Seed dry also affected on emergence rate, while it was dependent on the storage temperature. In terms of growth, storage at $2^{\circ}C$ as wet seed resulted highest growth, and dried seeds resulted poorer growth than wet seeds. As a modification of alternating temperature, seeds were stored at $2^{\circ}C$ at first, then transferred to $-3.5^{\circ}C$ at Nov 30, Dec 20, and Jan 10, each. When transfer date was delayed, emergence rate was increased. We suggest that seed storage temperature for ginseng should not be decreased below $-2^{\circ}C$, and alternative temperature regime for successful spring sowing could be useful.

  • PDF

고려인삼의 주아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 of Main Bud in 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임흥빈;이이;정열영;전병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89-193
    • /
    • 2009
  • 본 시험은 인삼의 채종종자의 조직을 관찰하여 잠아의 실체를 조사하였고 묘삼의 잠아특성을 산지별로 조사하여 다경이 되는 잠아의 발달경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묘삼을 본포에 이식하여 3 년생을 채굴하여 4 년생이 될 주아의 생성경로를 조사하였다. 묘삼의 주아는 발아종자의 경근천이부에서 피층조직이 융기하여 돔 (dome)형태의 원잠아 또는 측잠아가 형성된 후 이들 조직이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그리고 묘삼의 단뇌는 90%가 원잠아에서 유래하였으며 쌍뇌는 원잠아와 2 개의 측잠아 중 1 개가 발달되어 형성되었으며 3 뇌는 원잠아와 측잠아 2 개가 발달하여 형성되었다. 본포에서 2 년생과 3 년생은 주아가 단뇌로 형성되어 있어 2 경 개체가 발생하지 않으나 4 년생은 3 년생에서 발달한 쌍뇌 이상의 주아가 있어 2 경 개체이상이 관찰되는 최초의 연생이었다. 4년생의 주아는 종자에서 형성된 원잠아, 측잠아와 2-3년생에서 뇌두부위에서 형성된 피층잠아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고년생으로 갈수록 쌍뇌 또는 3뇌는 원잠아에 비해 피층잠아 유래의 주아가 많았다.

CO2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인삼의 생육 및 생리.생태학적 반응 연구 (Effect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이경미;김해란;임훈;유영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06-112
    • /
    • 2012
  • 본 연구는 $CO_2$농도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인삼의 생육반응 및 광합성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유리 온실 안에 대조구(대기중 $CO_2$ 농도)와 $CO_2$ + 온도상승구(750-800 ppm, $2^{\circ}C$ 상승)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1. 인삼의 개엽율은 1년생 인삼을 이식한 후 1주일 이후인 4월 6일에 $CO_2$ + 온도상승구의 개엽율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최종 개엽율은 $CO_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2. 꽃이 나오는 시기는 대조구보다 $CO_2$ + 온도상승구가 3일 빨랐고, 열매관찰시기와 열매 성숙시기는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3. 인삼의 줄기길이는 대조구보다 $CO_2$ + 온도상승구에서 길었고, 잎수는 대조구보다 $CO_2$ + 온도상승구에서 많았다. 4. 지하부 생량무게는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5. 광합성은 모두 대조구보다 $CO_2$ + 온도상승구가 높았다. 대조구 내에서는 년도별 광합성이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CO_2$ + 온도상승구에는 1년생과 2년생 간 차이가 없었다. 6. 증산률은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에서 모두 년생간 차이가 있었다. 1년생은 대조구보다 $CO_2$ + 온도상승구가 높았고, 2년생은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7.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에서 모두 1년생과 2년생간 차이가 있었다. 1년생은 대조구와 $CO_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고, 2년생은 대조구 보다 $CO_2$ + 온도상승구가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지구온난화는 인삼의 생육과 생리 생태학적 반응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Study on the grading standard of Panax notoginseng seedlings

  • Chen, Lijuan;Yang, Ye;Ge, Jin;Cui, Xiuming;Xiong, Y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208-217
    • /
    • 2018
  • Background: The quality differences in seedlings of medicinal herbs often affect the quality of medicinal parts.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ing standard of Panax notoginseng seedlings is significant for the stable quality of medicinal parts of P. notoginseng. Methods: To establish the grading standard of P. notoginseng seedlings, a total of 36,000 P. notoginseng seedlings were collected from 30 producing areas, of which the fresh weight, root length, root diameter, bud length, bud diameter, and rootlet number were measured.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applied to grade seedlings and establish the grading standard. Results: The fresh weight and rootlet number of P. notoginseng seedlings were determined as the final indices of grading. P. notoginseng seedlings from different regions of Yunnan could be preliminarily classified into four grades: the special grade, the premium grade, the standard grade, and culled seedlings. Conclusion: The grading standard was proven to be reasonable according to the agronomic characters, emergence rate,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seedlings after transplantation, and the yields and contents of active constituents of the medicinal parts from different grades of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