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Saponin aflatoxin produc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과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인삼 Saponin의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Aflatoxin Production and the Mutagenicity in Aspergillus parasiticus)

  • 백형석;구재관;전홍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3-147
    • /
    • 1988
  •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aflatoxin(AF)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and the mutagenicity of produced aflatoxin. The production of aflatoxin were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and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was 0.05%. The ratio of aflatoxin $B_{1}$ and aflatoxin $G_{1}$ were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For the nutagenicity test, Ames method were adopted. Mutagenicity of mycelial aflatoxin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on TA98, but not changed on TA100. Mutagenicity of excreted aflatoxin to broth was slightly increased by the saponin on TA98, but decreased on TA100.

  • PDF

Saponin이 Aspergillus parasiticus의 발육과 Aflatoxin생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rude Saponin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 박재림;임광식;이종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9-264
    • /
    • 1985
  • Aspergillus parasiticus의 발육과 afla toxin생산에 미치는 생약 extract의 효과에 따라 선정된 생약 금은화, 우방자 및 인삼의 조 saponm이 군체의 발육과 afla toxin생산능력에 미치는 효과을 측정하기 위하여 강화배지에 $30^{\circ}C$ 9 일간 배양하였다. 백삼 saponin 첨가배지 만이 균체발율이 대조군 보다 좋았다. 그러나 홍삼 saponin 0.36% 첨가배지에서의 균체발육은 대조군의 62.3%로 나타났으나, aflatoxin 생산능력은 aflatoxin B, 이 대조군의 38.7%. aflatoxin G1 이 22.9%로 좋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우방자 sapollln은 홍삼 saponin보다 억세효과가 못하지만 홍삼 saponin과 같이 균체의 발육과 aflatoxin 생산을 모두 억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xtract 에서 나타났던 금은화의 aflatoxin 생산 억제효과는 본 saponin 실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반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emi-Synthetic Media)

  • 전홍기;박건영;조영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8-294
    • /
    • 1986
  • 반합성 배지인 yeast extract sucrose (YES) 배지에서 인삼 saponm 및 그 관련 물질이 Aspergillus parasilicus의 AF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AF생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AF생성은 배양 9일째에 최고치을 나타내였으며 전 배양 기간을 통해 AF B1이 AFG1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배지내에 여러 농도의 인상 saponm을 첨가했을 때 모든 농도의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AF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aponin 0.05% 첨가시 균체량과 AF 생성량이 매우 감소하였고 saponin 5.0% 첨가시 균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F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배지내에 saponindiol 맺 triol을 놓도별로 첨가한 경우 diol 0.05, 1.0 및 triol 0.1, 0.5, 1.0 %첨가군에서 AF생성이 감소되었다. 배치내에 saponin fraction를 첨가한 경우 fraction 1, 2, 4. 5. 6은 AF 생성을 상당히 저해하였으나 fraction 3과 7은 AF 생성을 자극하였다 0.05%의 adenosine, guanosine, caffeine 및 xanthos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이 저해되었으나 0.05%의 adenosine 및 cv-tosine을 첨가한 갱우에는 AF생성을 증가시켰다. 5.0%의 sapon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은 전혀 일어 나지 않은 반면 total lipid의 합성과 균쳐1량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인삼Saponin의 Aspergili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s on Growth and Synthesis of Aflatoxin by Aspeygillus parusiticus R-716)

  • 이광승;장진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20
    • /
    • 1986
  • 인삼 saponin의 첨가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공시균의 PH, 균체량의 변화, chloroform 추출액의 색상, 포자형성능, 그리고 saponin의 첨가량에 따른 aflatoxin의 생성 및 억제효과등을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공시균의 배지인 sucrose low salt의 PH변화는 crude saponin(CS)의 경우 PH3인 0.5%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aflatoxin 생성량을 보였으며, PH 2.2인 protopanaxatriol(PPT) 0.05%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생성량을 보였다. 2. 인삼 saponin첨가량에 따른 균체량의 변화는 PPT 0.01%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119%까지 증가하였으나 다른 saponin의 첨가농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고 CS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5.8%의 감소율을 보였다. 3. aflatoxin의 chloroforn 추출시 생성된 색상은 밝은 황색일수록 aflatoxin의 생성량이 많았다. 4. 포자형성은 각 인삼 saponin 농도가 0.02%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0.05%첨가구부터 형성이 줄어들어 0.5% 첨가구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5. aflatoxin총생성량은 PPD와 PPT 0.005%~0.02% 첨가구에서는 105%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를 보였으며, CS의 0.5% 첨가구에서는 91.7%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고 B1, B2, G1 및 G2에 대햐여는 9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PS에 대하여는 0.5% 첨가구에서 B1에 55.9%의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에 B2는 8.1%의 낮은 억제효과밖에 없었고, PPT 0.005% 및 0.5% 첨가구는 오히려 B2가 증가하였다. PPD에 대하여는 0.005%~0.02% 첨가구에서는 G1의 경우 오히려 증가하였다.

  • PDF

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ynthetic Medium)

  • 전홍기;조영배;박건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2-356
    • /
    • 1986
  • 합성배치인 Glucose-Salts 배지에서 인삼 saponin과 그 관련 물질이 A~$\psi$ergillusρ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 는 영힘뼈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증식은 배양 5 일째 이후가 최대였고 Aflatoxin 생성은 배영 9 일째가 최대였다. 인상 saponin O. 05% 첨가시 율처l 증식과 Aflatoxin 생성이 대조군보다 상당량 감소되었고, 5.0% 첨가시 균체 증식은 대 조눈보다 증가하였으나 Aflatoxin 생성은 매우 감소되었다. S Saponin diol 및 triol의 농도별 첨가시 diol 0.01, 1. 0%와 triol O. 5, 1. 0%가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였다. S Saponin fraction 첨 가시 fraction 1이 Aflatoxin 생성 저해에 가장 효과적 이 었고 fraction 2, 4, 6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핵산 관련 물질 첨 가시 Adenine, denosine, Guanosine, Caffeine, Cytosine 및 Xanthosine 첨 가꾼 오우 대조군에 비 해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었으며, affeine의 경우 균체내에서만 Aflatoxin을 검출할 수 있었다. Saponin 5. 0% 챙까시 Aflatoxin 생성이 매우 저해된 반면 total lipid의 %뇨은 대조군의 10애, 균체 증식은 약 2 배 이상 증가되였다.

  • PDF

홍삼(紅蔘) 사포닌이 Aspergillus flavus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生産)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Growth of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 박효진;박재림;송동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9-156
    • /
    • 1985
  • A. flavus NRRL 3357의 발육(發育)과 발암물질(發癌物質)인 aflatoxin 생산(生産)에 최적 조건(條件)을 부여하여 홍삼(紅蔘) 사포닌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배양한 균체(菌體)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을 조사하였다. Aflatoxin 정량은 HPLC를 이용하였고 균체발육(菌體發育)은 건조균체(乾燥菌體) 측정법(測定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균체발육(菌體發育)은 대조군(對照群)과 큰 차이가 없었고 배양 4일째에 최대 발육을 나타내었다.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은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aflatoxin $B_1$$G_1$이 각각 대조군(對照群)의 31.6%, 2.12%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균체발육(菌體發育) 및 독소생산(毒素生産)에 의한 배지(培地)의 변화(變化)는 거의 대등한 차이를 보이나 대조군(對照.群)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전기영동(電氣泳動)은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였으며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 발육(發育)한 균체(菌體)단백질 패턴의 intensity는 대조군(對照群)보다 낮게 나타났다. A. flavus 균체(菌體)단백질은 비교적 낮은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들의 생성이 많았다. 따라서 홍삼(紅蔘) saponin은 invitro 실험(實驗)에서 aflatoxin $B_1$$G_1$의 생성(生成)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