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Leaf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3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thogenesis-Related Protein 5 (PgPR5) Gene from Panax ginseng

  • Kim, Yu-Jin;Lee, Jung-Hye;Jung, Dae-Young;Sathiyaraj, Gayathri;Shim, Ju-Sun;In, Jun-Gyo;Yang, Deok-C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400-407
    • /
    • 2009
  • A pathogenesis-related protein (PgPR5) gene that isolated from the leaf of Panax ginseng was characterized. The ORF is 756 bp with a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251 residues. The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the matured protein is approximately 27.5 kDa with a predicated isoelectric point of 7.80. A GenBank BlastX search revealed that the deduced amino acid of PgPR5 shares highest sequence similarity to PR5 of Actinidia deliciosa (80% identity, 87% similarity). PgPR5 has a C-terminal and N-terminal signal peptide, suggesting that it is a vacuolar secreted protein. The expression of PgPR5 under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was analyzed at different time points using real-time PCR. Our results reveal that PgPR5 is induced by salt stress, chilling stress, heavy metal, UV, and pathogen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gPR5 could play a role in the molecular defence response of ginseng to abiotic and pathogen attack.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PR5 gene from the P. ginseng.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short-chain alcohol dehydrogenase gene from Panax ginseng

  • Kim, Yu-Jin;Shim, Ju-Sun;Lee, Jung-Hye;Jung, Dae-Young;Sun, Hwa;In, Jun-Gyo;Yang, Deok-Chun
    • BMB Reports
    • /
    • 제42권10호
    • /
    • pp.673-678
    • /
    • 2009
  • The cDNA of alcohol dehydrogenase (PgADH)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leaf of Panax ginseng. The cDNA had an open reading frame of 801 bp and a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266 residues. The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the mature protein is approximately 29 kDa with a predicated isoelectric point of 6.84. Homology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duced amino acid of PgADH shares a high degree of homology with the short-chain ADH proteins of other plants. Genomic DNA hybridiz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gADH represents a multi-gene family. The expression of PgADH under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was analyzed at different time points using real-time PCR. ABA, SA and especially JA (80-fold) significantly induced PgADH expression within 24 h of treatment. The positive responses of PgADH to abiotic stimuli suggest that ginseng ADH may protect against hormone-related environmental stresses.

PHARMACOKINETICS OF GINSENG COMPOUNDS

  • Chen Shiow-Edith;Sawchuk Ronald J.;Staba E. Joh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78년도 학술대회지
    • /
    • pp.55-66
    • /
    • 1978
  • Five ginsenosides $(A_1,\;A_2,\;B_1,\;B_2,\;C)$ and a yellow pigment were isolated from American ginseng stems and leaves. Ginsenoside $A_2,\;B_1,\;B_2$ and C were proven to be identical with Korean ginseng root ginsenoside $Rg_1,$ Rd, Re and $Rb_2,$ respectively. The yellow pigment proved identical with panasenoside isolated from Korean ginseng leaves. Ginsenoside $A_1$, which was also present in American ginseng roots, was not identical to any of the known root (ginsenoside $R_{0}-Rg_{2}$) and leaf (ginsenoside $F_{1}-F_{3}$) Korean ginseng saponins. A gas-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developed to analyze ginsenosides and sapogenins in rabbit plasma and urine samples. Panasenoside and stigmasterol were found to be the best internal standards for ginsenosides and sapogenihs, respectively. Ginsenoside C had a significantly longer half-life, higher plasma protein binding, lower metabolic and renal clearance than ginsenoside $A_1,\;A_2\;and\;B_2$. Ginsenosides were not found in rabbit plasma and urine samples after oral administration. Ginsenoside C had a higher toxicity than ginsenoside $A_2$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to mice. Toxicity was not observ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ginsenosides.

  • PDF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05
  • 인삼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인삼엽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인삼엽차를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등 3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환원당 함량은 HPT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DRT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serine 이 309.6∼336.6 mg%로 가장 높았으며 valine, leucine, isoleucine, aspar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DRT에 비하여 ACT, HPT에서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가 2,115 mg%로 가장 많았고 K, Mg, P, Na, Mn, Fe, Zn, Cu 순으로 제조방법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찻물의 무기질 함량을 좌우하는 침출율은 HPT가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Zn, Mn, Mg등은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무기질로서 이들 함량이 높다는 점은 인삼엽차의 우수성의 하나로 평가된다. 인삼엽차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HPT가 424.4 mg%로 가장 많았으며 침출율도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제조방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인삼엽차의 색도는 DRT에 비해 AGT, HPT 에서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여 갈색 물질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은 열처리법(HPT)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고려인삼(高麗人蔘)에 대한 제초제(除草劑) Fluazifob-butyl의 안전성(安全性) (Safety of the Herbicide Fluazifop-butyl application on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조재성;원준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6-150
    • /
    • 1995
  • 선택성 화본과 잡초의 제초적인 Fluazifop-butyl의 고려인삼에 대한 안전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을 위시하여 이의 3배 또는 4배 약량까지 약량별로 인삼의 경엽에 분무처리한 후 인삼 잎의 광합성량과 호흡량 및 인삼의 경엽생육을 측정하였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 또는 2배 약량을 경엽처리할 경우에는 인삼의 광합성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배 또는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직후 광합성량의 저하를 초래하였던바 3배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7일에 인삼 잎의 광합성 능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지 않았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으로 경엽처리 할 경우에도 인삼잎의 호흡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호흡량의 감소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Fluazifop-butyl의 경엽처리에 따르는 호흡량의 감소정도는 처리약량을 증가할수록 현저히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의 3배 약량으로 경엽처리 하여도 인삼 엽병의 길이나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인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의 생육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인삼재배지의 영양환경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tional Environment in Ginseng Field on the Plant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진현오;김웅진;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234-239
    • /
    • 2009
  • 이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우량 및 불량 인삼재배지를 대상으로 토양 및 잎을 분석하여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양분함량의 수준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생육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물리적 성질은 공극률이었으며, 우량포지에서 50%이상의 값을 보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적정범위는 전질소 2.0-2.8 g/kg, 유효인산 500-900 mg/kg, 치환성 Ca 2.3-3.5 cmol$^+$/kg 이었다. 또한, 치환성 염기 성분비 (Exch. Ca:Mg:K)도 인삼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값은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로 나타났다. 잎의 무기양분함량 적정범위는 P 0.25% 이상, Mg 0.22%이하였으며 그 외의 원소에 있어서는 뚜렷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우량포지에서 엽 중 N/P, N/Mg, K/Mg, Ca/P의 함량비는 각각 10 이상, 10-13, 14 이하, 1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인삼생육의 최적광량 구명에 관한 연구 제2보 광도가 인삼엽내 Saponin 및 유리당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anax Ginseng II.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ontents of Saponin and Free Sugar in the Ginseng Leaf)

  • 이종철;최진호;천성기;이종화;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7-503
    • /
    • 1983
  • 수광율의 차이가 인삼엽내의 saponin과 유리당함량 및 Panaxatriol(PT)/Panaxadiol(PD) 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광량이 자연광의 5, 10, 20, 30%의 수광율(LTR) 하에서 자란 4년생 인삼엽에서 이들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insenoside별 함량은 PD계 사로닌에서는 -Rd가 가장 많았고, PT계 사포닌에서는 -Re, $Rg_1$, $-Rg_2$순으로 많았다. 2. Total 사포닌과 PT계 사로닌함량과 PT/PD의 비는 20% LTP까지 수광율이 많을수록 증가되다가 30% LTR에서는 약간 감소되었고, PD계 사포닌 함량은 수광율이 증가할수록 많아졌다. 3. Glucose, Fluctose 함량은 20% LTR에서 가장 많았으나 sucrose함량은 오히려 20% LTR에서 가장 적었다. 4. Total 사포닌 함량과 Glucose함량간에는 정(+)의 상관($r=0.992$^{**}$)이 인정되었다.

  • PDF

토양함수량이 인삼의 광합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Water Regimes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Development of Ginseng Plant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식;양덕조;김요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1
    • /
    • 1982
  • 사양토에서 인삼생육의 최적 토양 함수량 구명키 위해 토양함수량별 지상하부, 생식생장, 광합성 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건물중 및 동직경은 62%(절대수분 13.9%)가 가장 양호하였다. 2. 엽면적, 엽건물중은 62%(절대수분 13.9%)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개체당 개화수, 결실율, 종자생산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3. 단위 면적당 광합성량은 토양 함수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나 개체당 광합성량은 62%가 가장 양호하였다. 4. 증산량은 토양함수량과 비례하였으나 기공의 밀도는 반비례하였다.

  • PDF

황색종 연초 건조중 황변기 온습도차가 잎담배 색상 및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LEAF COLOR AND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YELLOWING STAGE OF FLUE-CURING)

  • 황건중;석영선;이한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9
    • /
    • 1985
  • cent was carried out to study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o chemical tobacco leaves during the yellowing stage. The results were follows : In the condition of high humidity and low temperature, yellowing time was delayed ; leaf color appeared lack clearness. In the higher temperature and the lower humidity during the yellowing stage : total sugar, reducing sugar and malic acid content were increased. Decomposition of nitrogenous components elevated in $38^{\circ}C$, 85%RH. Changes of total nitrogen content correlated with total curing time. Adecrease of linolenic acid with a corresponding increase of chlorogenic acid proceeded in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a view of tobacco quality by chemical components, the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during the yellowing stage decreased quality of tobacco leaves. It is considered to control of the proper condi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the yellow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