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kgo leaf wast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제약폐기 은행잎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from Pharmaceutical Process on Red Pepper Growth)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조광래;박창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6-50
    • /
    • 1998
  • 제약폐기은행 잎 시용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피해정도를 구명하여 폐기은행 잎의 유기물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고추를 가지고 pot 재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은행잎 및 폐기 은행잎을 토양에 처리하였을 매 퇴비시용보다 고추생육이 억제되는 경향 이었으나 물추출 폐기은행잎은 물로 추출하지 않은 폐기 은행잎 처리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건 고추 수량은 건조폐기은행 잎 500kg/10a 처리는 퇴비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수하였으나, 물추출폐기은행잎 1톤/10a 처리는 3요소와 대등한 수량을 보였다. 폐기은행잎 처리시 생육 및 수량감소 요인은 은행잎 자체에 함유된 타감물질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 및 폐기은행잎 등 유기물 시용은 3요소 처리에 비해 토양중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등이 다소 높은 경향이고 폐기은행잎 처리로 치환성 고토함량은 낮아졌다.

  • PDF

제약폐기(製藥廢棄) 은행잎이 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s during Drug Manufacturing Process as Potential Organic Resources on Paddy Rice Growth)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1-344
    • /
    • 1997
  • 제약공정에서 생성되는 폐기은행잎이 유기물자원으로서 활용가능한지를 검토하고자 일반 폐기은행잎과 물추출폐기은행잎을 토양과 혼합처리한 후 삼풍벼를 재배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생육은 폐기은행잎의 시용으로 억제되었으며, 억제효과는 폐기은행잎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뚜렸하였다. 2. 벼의 종실중은 폐기은행잎의 시용으로 감소하였으며, 폐기은행잎의 처리방법은 일반폐기은행잎 보다 물추출폐기은행잎에서 감수정도가 적은 경향이었다. 3. 수확기 식물체중 전질소, $K_2O$, CaO, $SiO_2$ 함량 그리고 수확후 토양중 pH, 유기물, 전질소, 인산, CEC, 치환성 Ca 함량은 폐기은행잎의 시용으로 증대되었다.

  • PDF

제약폐기 은행잎중에 함유된 식물생육억제물질 분리동정 (Isolation and Che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the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Produced by Phamaceutical Process)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3
    • /
    • 1997
  • 제약폐기은행잎의 유기물자원화 및 식물생장억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은행잎 제약폐기물중에 함유된 식물생육 억제물질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물질을 처리하여 무와 벼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기은행잎 조추출물 10% 용액은 무 종자 발아율을 저하시키고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농도에서는 뿌리 길이가 약간 짧아졌고, 0.1% 농도는 무처리와 비슷하였다. 벼 발아율은 조추출물 10% 농도에서 31%이상 억제되었다. 2) 지베렐린 $A_3(3.3{\times}10^{-6}M)$와 조추출액(10%)을 벼 유묘와 함께 처리하면 지베렐린 $A_3(3.3{\times}10^{-6}M)$ 단독처리보다 제2엽초장이 짧았다. 3) 조추출액의 산도를 달리한 3종의 액액분리물은 (EtOAc $(pH9)A_1$, EtOAc $(pH3)A_2$, BuOH $A_3$) 모두 1% 농도에서 무 종자의 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4) 조추출액을 액액분리, column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분리정제를 통하여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GC/MS, NMR 분석 결과 phenol류인 catechol로 판명되었으며, 폐기은행잎 29kg으로부터 분리한 catechol량은 0.76g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