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kuk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상황버섯국과 생강국으로 제조한 탁주, 약주, 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and Spirit made from Phellinus linteus and Ginger)

  • 이정훈;최희숙;손흥수;이윤희;노정미;김재민;정재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3-119
    • /
    • 2015
  • 세 종류의 누룩으로 분국(밀가루), 상황버섯국, 생강국을 제조하였고, 이들 누룩으로 탁주, 약주, 증류주 등을 빚어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누룩의 당화력, 발효액의 pH, 당도, 산도, 알코올 함량, 효모수 등을 분석하였고, GC를 이용하여 탁주, 약주, 증류주의 향기성분, HPLC를 이용하여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누룩의 발효 후 당화력은 상황버섯국이 가장 좋았고, 건조 후에는 상황버섯국과 생강국이 좋았다. 발효 시간에 따른 술덧의 pH와 당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낮아졌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효모수는 발효 1일에 상황버섯국으로 빚은 술덧에서 가장 많았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다 감소하였다.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발효 초기에 비하여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발효 8~10일에 세 시료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술의 향기성분 분석에서 탁주, 약주, 증류주 모두 acetone과 n-amyl alcohol은 검출되지 않았고, 알코올 성분 중 탁주와 약주에서 n-butanol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이 i-amyl alcohol 이었다. 그러나 증류주에서는 i-amyl alcohol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Fusel oil은 분국으로 빚은 증류주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술의 유기산은 탁주와 약주에서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이 acetic acid이었다. 증류주에서는 acetic acid 소량 검출되었고, 다른 유기산들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상황버섯으로 빚은 탁주, 약주,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상황버섯국으로 빚은 탁주, 약주, 증류주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료(調味料) 및 향신료(香辛料)가 Ascorbic acid에 미치는 조리화학적(調理化學的)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Spices and Flavoring on Ascorbic Acid content)

  • 황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1호
    • /
    • pp.37-43
    • /
    • 1974
  • Ascorbic acid수용액에 조미료 및 향신료를 단독독 또는 배합 첨가(添加)하였을 때의 ascorbic acid의 함량(含量)을 2,4 Dnitrophenylhydrazine method에 의하여 정량(定量)하였다. 조미료 및 향신료를 단독으로 ascorbic acid 수용액에 첨가(添加)하였을 때의 total ascorbic acid의 잔재율(殘存率)은 식초, 설탕, 소금, 미원, 파, 마늘, 깨, 엿, 간장, 고추, 고추장, 후추, 생강, 계피등이 ascorbic acid단독만의 수용액보다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실백, 참기름, 된장의 첨가(添加)는 적은치(値)를 나타냈다. 또한 ascorbic acid의 자동산화율(自動酸化率)은 회향, 계피, 생강, 후추, 된장, 실백, 카레등이 가장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마늘, 참기름, 미원, 설탕, 꿀, 소금, 새우젓, 고추장, 간장등이 대체적으로 얕은치(値)를 나타냈다. 또한 배합(配合)조미료에 있어서는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含量)은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콩나물, 무나물, 무침등 가장 빈용되는 조미료 배합(配合)인 No. 8,9,10이 높은 치(値)를 나타냈으며 겨자채의 조미료배합이 제일 적은치(値)를 나타냈다.

  • PDF

한국음식용어(韓國飮食用語)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Food Terms)

  • 이성우;김경진;이효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0-175
    • /
    • 1983
  • The paper is to classify the terms of foods, wines, relish(komyungs), seasonings and cooking processes in Korean cooking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The dishes which were made from cereals are Bab(boiled cooked rice), Juk(gruel), Miuem(Thin rice gruel), Noodle, Sujebee, Mandu(Pyun su, dumpling), D'ockuk, Pumbok, Yaksik, D'ock(Korean rice cake) etc. The terms of side dishes are Tang (Kuk, Kaeng), Chigae(Jochi Kamjeang, Jijimee, Tugari, Wakjeoji), Jim(Jeung), Sun, Jungol(Abok jaeng ban, sinsulro, punggujigol), Bockum, Kui, Jorim, Cho, Jun(Jijim, Jeenya, Puchigae, Bindae-dock, Nureumi) Jeok(San-jeok, Nuremjeok, Jijimnureumjeok), Hoe (Saenghoe, Sukhoe, Kanghoe, Sujeonghoe, A chae), Mareum chan (Po, Jaban), Changachi (Jangkwa, Sukchae (namul)-Japchae, Kyujachae), Muchim, Sam, Tuigim, Pyunyuk, sundae, suran, Jeockal (Sikhae), Jockpyun, Mal-i, Jihi, Kee, Pojeok, Gimchi etc. The kinds of Jabgwas are Kangieong(Sanja), Yumilgwa, Suksilgwa, Dasik, Jeonggwa, Yeocgangjeong, Gwapyun etc. The kinds of beverages are Hwachaes and Teas. The terms of the wines in Korean cooking bok are 173 kinds. There are 21 kinds of Relish(komyung). There are 12 kinds of Jang, and the terms of the seasonings are as follows: mustard, cinammon, pep per, powder of peppers, powder of sesame, honey, garlic, ginger, sugar, salt, vinegar, syrup, yunjeup, jochung, sesamol-oil, chojeckuk, sesame, greet-onion, powder of black pepper, oil etc. There are 547 kinds of prepared cooking terms, 36 kinds of cutting terms and 34 kinds of boiling term in food making te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