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t-Bronze Ca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II) (A Study of Conservation Treatment for Gilt-Bronze Cap Excavated from Ahndong Tumulus, Gildu-ri Site in Goheung)

  • 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0호
    • /
    • pp.5-19
    • /
    • 2009
  • This study is about the conservation treatment from 2008 through 2009 of Gilt-Bronze Cap excavated from Andong tumulus at Guildu-ri, Podumyeon, Goheung, Jeonnan. The whole shape of Gilt-Bronze Cap was distorted and destroyed by the earth pressure.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first, soil and pollutants came from the findspot were removed. And then to assemble the whole shape of Gilt-Bronze Cap, we carried out the jointing work forming the shape after dismantling. Under that process, the rust of bronze was removed through the microscope at every moment and the gold-plated surface was revealed. Now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mpleted and it is expected to perform the scientific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composition analysis of Gilt-Bronze Cap.

  • PDF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 (I) (A Study of Conservation treatment for Gilt-Bronze Cap Excavated from Ahndong tumulus, Gildu-ri site in Goheung)

  • 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91-110
    • /
    • 2008
  • The museum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unearthed and researched an Andong tumulus located in Gildu-ri, Podumyeon, Goheung, Jeonnam in March 2006, and many remains were excavated from the tomb. Th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ultural Heritage was asked to deal with about 100 pieces of relics with gilt bronze, including a Gilt-Bronze Cap, and ironware remains from the excavated site for the museum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urgently dealt with the excavated site for 4 days from March 27 to March 30, 2006. All of the remains were dealt with and cleaned up in this way, were moved to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ultural Heritage, and have been under a conservation treatment until now. In this study, excavated conditions, the handling of the excavated site, the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 until now, and the forthcoming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will be examined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Gilt-Bronze Cap with gilt bronze among many other remains.

  • PDF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식리의 과학적 보존 (Conservation Treatment for Gilt-bronze Shoes Excavated from Ahndong tumulus, Gildu-ri, Goheung)

  • 권혁남;서정은;이정민;함철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1호
    • /
    • pp.17-30
    • /
    • 2010
  • There were excavated many relics about 200 pieces including gilt-bronze cap, gilt-bronze shoes, bronze mirror and armor, etc. in Ahndong tumulus, Gildu-ri, Goheung.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as undertaking excavation of major damaged relics that were corroded by several environment and were destroyed by a lump of earth. Shoes are consolidated with soils in order to stop destroy during excavation. And these are relocated in order to treat for conservation. Before treatment, X-ray radiography and CT(Computed Tomography) a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al surface and the shape of shoes. As a result, we confirm the condition of shoes. If soils are removed, gilt-bronze shoes are crumbling into little pieces because gilt-bronze shoes are damaged by corrosion and deformation. So, shoes are consolidating with inner soils and are removing outer soils. Throughout conservation treatment, shoes recovered original form and inner soils are consolidated in order to keep the shape of shoes.

  • PDF

일본 고대 복식에 미친 백제복식의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aekje costumes on Japanese costumes in ancient times)

  • 김문자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96-107
    • /
    • 2012
  • In ancient times, immigrants from Baekje wore various kinds of costumes that provided technological and aesthetic guidance for the Japanese costume, which has been modified and changed in Japan. The clothing and ornaments were strongly influenced directly by costumes of the Baekje period; therefore, many of the Japanese costumes at that time were crafted in the Baekje styl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paintings of tombs and bequests, we were able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Baekje and Japan costumes in these categories: clothes, headgear, belt hooks and belt plaques, bronze shoes, and ornaments. (1) Clothes : They wore high-shaped hat and jacket and trousers(;袴) tied the bottom. (2) Headgear : There was a gilt bronze Conical Cap attached to the long tube with terminals in the shape of a hemisphere. (3) Belt hooks and belt plaques: There were horse-shaped belt hooks in mane styles and a checkered pattern on the lower part of the haunch and a belt Plaque shaped like the face of an animal. (4) Gilt bronze shoes: They were made with the style that had two side plates fixed in the instep side and heel-side. (5) Ornaments : They were made with flower-shaped plaques and spiral-shaped decorations. One earring was made with a three-winged pendent that were connected in a chain style and the others were in unique forms that were made by connecting narrow rings and a heart-shaped pendent.

서산 부장리 백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 연구 (Manufacturing Techniques of a Backje Gilt-Bronze Cap from Bujang-ri Site in Seosan)

  • 정광용;이수희;김경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243-280
    • /
    • 2006
  • 서산 부장리 유적 백제시대 분구묘 5호분 출토 금동관모는 백제시대의 고고학적 자료로서 당시 국제적 교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본 논문은 금동관모를 보존처리하는 과정 중에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을 연구한 결과이다. 관모의 단면은 총 5개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단면 중 직물층이 백화수피층과 금속층 사이에서 발견되었는데, 금속과 백화수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은 단면 중 2개의 층인 직물층과 섬유질층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물층은 가장 간단한 조직인 평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겹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조직의 꼬임, 미세조직 구조상 몇 가지 직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섬유질은 두 세 개의 섬유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 결과 직물층과 섬유질층은 모두 마섬유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화수피는 자작나무껍질 15겹을 붙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금편의 미세조직 관찰을 위해 금속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 및 파장분산형X선 분석기(WD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말간도금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도금기술의 척도를 알 수 있는 도금층 두께는 최소 $1.7{\mu}m$부터 최대 $8.7{\mu}m$이었다. 금의 순도는 금(Au)이 98%, 약 1% 이내의 은(Ag)이 함유되어 있었다. 위 금동관모의 과학적 보존처리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향후 제작기술의 비교연구 뿐만 아니라 복원품의 제작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금동관의 원형과 의미 (The Original Form and Meaning of the Gilt Bronzed Crown in Naju Bogam-ri Jeongchon Tombs (NBJ))

  • 이건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202-223
    • /
    • 2020
  • 본고는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 목관3의 동쪽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편의 원형을 찾는 것이다. 금동장식 편은 모두 작은 편으로, 크기 3cm 이내, 두께 0.2cm 내외로 19개 이상의 소량만 확인되었다. 각 금동장식 편에서는 원형의 투공과 원형의 타출[볼록 장식], 잎사귀 모양의 영락, 영락을 달기 위한 2개의 작은 구멍과 금동실, 용도 미상 2개의 작은 구멍, 0.05cm 정도 크기의 연속되는 점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금동장식 편의 특징을 분류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금동장식 편을 대관, 모관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편은 대관의 일부분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금동장식 편의 1유형과 3유형은 대관의 관테, 2유형은 대관 세움장식의 일부로 판별하였다. 앞의 결과를 바탕으로 나주 복암리 1호 석실 금동제 대관에 대해 2가지 복원 형태를 제안하였다. 첫째 복원 안은 관테 위아래 장식으로 파도 모양의 점열, 가운데 장식은 영락, 원형 타출과 영락, 원형 투조가 있는 것이다. 둘째 복원 안은 첫째 안의 가운데 장식 중에 원형 타출이 1열 추가된 것이다. 동일한 형태의 세움장식은 소창(小倉)collection 대관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었으나, 관 전체의 구성이나 형태는 전혀 달랐다. 한편, 관테에서 보이는 용도 미상의 작은 구멍의 용도에 대해서는 유기물 모자를 관테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추정하였다. 복원된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의 금동관은 원형 투공 등의 특징으로 보아 다른 삼국시대의 대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다. 기존의 가야, 마한·백제권 대관은 신라권의 균일한 형태의 대관과 다르게 각 지역마다 독특한 형태와 장식이 특징이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출토된 금동관도 이러한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흥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3차원 디지털 복원연구 (Study on Digital Restoration by 3-dimensional Image for Gilt Bronze Cap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of Andong, Goheung)

  • 이주완;오정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1-190
    • /
    • 2011
  • 2006년 전남 고흥군 안동고분에서 발굴된 5세기의 백제 금동관모의 3D 스캐닝작업을 통하여 정밀실측 및 디지털 영상복원을 실시하였다. 3D 스캐닝은 대상물의 정밀한 형상을 3차원 공간상에 구현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보존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 구축은 3차원 형상과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인 3D 스캐닝(부위별 원시 데이터 촬영) - 3D 모델링(원시 데이터 정합 및 비촬영부 재생과 손실부 복원) - CG영상 제작 순으로 이루어 졌다. 복원 CG영상은 원시데이터의 정합된 형상을 기초근거로 하였고 도면상(CAD)의 각 부재 실측 수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이때 비촬영 부분과 소실된 부분은 각 부재의 실측자료와 더불어 옛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5~8세기의 관모들을 조사하여 복원하였다. 이러한 3D영상 복원은 손상된 유물의 복원방법 중 하나로써 고증과 검증을 통해 유물의 직접적인 손상 없이 유물을 재구성하여 복원함으로써 역사적 및 학술적 가치향상과 유물 복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청소년의 백제문화 유물에 대한 선호도와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 이미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56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to examine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1 adolescents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Baekje relics preference items, fashion cultural products purchasing behaviors items, and subject'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x^2$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crown ornaments of the King Muryong in Kongju region, and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halo in Buyeo region. Second,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shirts and accessory items, and modern image. As product selection criteria, they considered aesthetic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symbolism and practicality. Adolescents evaluated the resonable purchase pri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s less than 20,000 won for T-shirts, cap & bag, and less than 10,000 won for accessories. The adolescent's satisfactio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low, and the main dissatisfaction was high prices, and the lack of practicality and diversity. Third, the preference for Baekje cultural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sex of adolescents. This study showed that fashion culture products for adolescents need to be designed in a modern sense with a unique cultural symbolism, focusing on T-shirts and accessories items. In addition, fashion cultural products companies should established the product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