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3/jksc.2012.62.5.09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aekje costumes on Japanese costumes in ancient times  

Kim, Moo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2, no.5, 2012 , pp. 96-1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ancient times, immigrants from Baekje wore various kinds of costumes that provided technological and aesthetic guidance for the Japanese costume, which has been modified and changed in Japan. The clothing and ornaments were strongly influenced directly by costumes of the Baekje period; therefore, many of the Japanese costumes at that time were crafted in the Baekje styl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paintings of tombs and bequests, we were able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Baekje and Japan costumes in these categories: clothes, headgear, belt hooks and belt plaques, bronze shoes, and ornaments. (1) Clothes : They wore high-shaped hat and jacket and trousers(;袴) tied the bottom. (2) Headgear : There was a gilt bronze Conical Cap attached to the long tube with terminals in the shape of a hemisphere. (3) Belt hooks and belt plaques: There were horse-shaped belt hooks in mane styles and a checkered pattern on the lower part of the haunch and a belt Plaque shaped like the face of an animal. (4) Gilt bronze shoes: They were made with the style that had two side plates fixed in the instep side and heel-side. (5) Ornaments : They were made with flower-shaped plaques and spiral-shaped decorations. One earring was made with a three-winged pendent that were connected in a chain style and the others were in unique forms that were made by connecting narrow rings and a heart-shaped pendent.
Keywords
conical hat; flower-shaped plaques; gilt bronze shoes; horse-shaped belt hooks; spiral shaped deco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립부여박물관 편 (2006), 백제의 미, 서울: 한길사, 유물해설 28.
2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remain1_33a.htm
3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MainFrame4.htm
4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30.
5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1, 서울: 솔출판사, p. 244.
6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search/pop_search_view.jsp?pk=PS01001004001000686000AE
7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_img&size=L&colid=J801&t=type&id=1
8 자료검색일 2011. 11. 20,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colid=J801&t=type&id=1
9 町田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図
10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0.
11 吉井秀夫(1999), 일본(日本) 속의 백제(百濟), 백제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편, 서울: 통천문화사, p. 248.
12 자료검색일 2011. 12. 2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2/remain1_26a.htm
13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1.
14 町田 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図, pp. 58-59.
15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2), 백제.조각공예도록, p. 214.
16 문화재관리국 편 (1974), 武寧王陵, 서울: 삼화출판사, p. 25.
17 자료검색일 2011. 12. 20,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remain1_31.htm
18 町田 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図, pp. 54-55.
19 이한상 (2000), 백제이식에 대한 기초적 연구-편년.제작기법.분포-, 호서고고학, 3, p. 30.
20 자료검색일 2011. 12. 12, http://nonta-space.net/kodai/kodai5.htm
21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p. 48.
22 국립부여박물관 편 (2006), 백제의 미, 서울: 한길사, 도판 28.
23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 287.
24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museum.daejeon.go.kr/home.do?stsgun=&method=notice_viw&bbs=data&d_no=5373&mno=data_04
25 자료검색일 2011. 11. 14,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menuID01005002001&relicID=679&relicDetailID=2713&keyWord=%ED%97%88%EB%A6%AC%EB%9D%A0&searchSelect=NAME¤tPage=1&pageSize=10&back=relicSearchList
26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city.suzaka.nagano.jp/enjoy/shisetsu/hakubutsukan/shiryou/#top
27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p. 286-287.
28 박천수 (2006), 3-6世紀韓半島와 日本列島의 交涉, 한국고고학보, 61, p. 23.
29 이근우 (2010),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보이는 오경박사(五經博士)와 오음(吳音), 일본역사연구, 31, p. 6.
30 土田純子(2011), 일본(日本) 출토(出土) 백제(百濟)(계(系))토기(土器): 출현(出現)과 변천(變遷), 백제연구, 54, p. 48.
31 유재병 (2006), 5-6世紀百濟住居.煖房.墓制文化의 倭國傳播와 그 背景, 한국사학보, 23, p. 63.
32 이호형 (2008), 公州丹芝里橫穴墓群을 통해 본 古代 韓日交流, 한국고대사연구, 50, p. 255.
33 권오영 (2010), 연구 동향: 일본 나라분지 남부의 최신 발굴조사 성과, 백제학보, 10(3), pp. 104-105.
34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 50.
35 국립중앙박물관 편 (1999), 백제 특별전, 서울: 통천문화사, p. 108.
36 西谷正(2008), 일본속의 백제계(百濟系) 유적과 유물, 백제문화, 38, p. 37.
37 권태원 (2004), 백제의 의복과 장신구, 서울: 주류성, pp. 96-97.
38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www.hyangno.net/digital/popup.htm?L_IMG_File=../L_VR_image/L_VR_53_I_2.gif
39 자료검색일 2011. 12. 13, http://kyuhaku.jmc.or.jp/index.php/1/-/-/-/-/-/-/m_frame.php
40 자료검색일 2011. 11. 15, http://kyuhaku.jmc.or.jp/index.php?g=d_frame.php&index=&PCD=40&KNO=25&SEQNO=7
41 김문자 (1980), 한일 고대복식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42 윤양노 (2011), 백제금동대향노 주악상 복식재현을 위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3, pp. 102-103.
43 자료검색일 2011. 12. 19, http://www.tnm.jp/uploads/r_collection/LL_69.jpg
44 자료검색일 2011. 11. 2, http://100.naver.com/100.nhn?docid=117551
45 김현수 (2010),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한국학논총, 34, p. 166.
46 吉井秀夫(1999), 일본(日本) 속의 백제(百濟), 백제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편, 서울: 통천문화사, p. 242.
47 김문자 (1996), 古代韓日裝身具比較硏究, 복식, 29, pp. 99-115.
48 홍성화 (2010), 4-6세기 百濟와 倭의 관계, 한일관계사연구, 36, pp. 3-4.
49 김문자 (1980), 한일 고대복식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金基雄(1981), 裝身具, 日本文化의 源流로서의 比較韓國文化, 東北亞細亞硏究會編, 서울: 三省出版社.
51 김미자 (1993), 우리나라 삼국시대 의복과 일본 의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임영미 (2003), 일본 고분시대(450-650)복식과 백제복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복식, 53(2), pp. 17-33.
53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p. 283-284.
54 이남석 (2007), 백제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검토, 先史와 古代, 26, pp. 223-224.
55 이한상 (2008), 百濟金銅冠帽의 製作과 所有方式, 한국고대사연구, 51, p. 92.
56 유적조사연구실 (1989), 익산 입점리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서울: 문화재연구소, pp. 29-30.
57 이호관 (1997), 한국의 금속공예, 서울: 민예출판사, pp. 102-103.
58 서정은 (2009), 고흥길두리 안동고분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II), 보존과학연구, 30, p. 18.
59 서정은 (2008),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I), 보존과학연구, 29, p. 96.
60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감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16.
61 이남석 (2008), 百濟金銅冠帽의 製作과 所有方式, 한국고대사연구, 51 p. 89.
62 자료검색일 2011. 12. 10,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other_img&size=L&colid=J786&img_id=2&t=type&id=1
63 자료검색일 2011. 12. 22,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colid=J786&t=type&id=1
64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p. 48-49.
65 김성욱 (2011), 한반도 마형대구의 편년과 지역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66 자료검색일 2011. 12. 12, http://museum.nonsan.go.kr/html/museum/sub02/pop_02_03_t05.html
67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