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l morpholog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Gill for Lateolabrax japonicus)

  • 강충배;김진구;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19-324
    • /
    • 2009
  •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First Record of the Monogenean Parasite of Menziesia sebastodis (Capsalidae) in Korea

  • Kim, Jeong-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129-132
    • /
    • 2009
  • Menziesia sebastodis (Capsalidae: Monogenea) is found and described from the gill filaments and the gill rakers of the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caught at Dolsan Island, off the south coast of Yeosu, Jeollanam-do, Korea. The genus Menziesi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genera Benedenia, Megalobenedenia and Trochopus, by septate haptors and the morphology of copulatory organs. M. sebastodis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nziesia species by the longer and slenderer posterior anchor, and the location of accessory gland reservoir.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Menziesia in Korea.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아가미의 미세해부학적 특징 (Microanatomy of gill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Gastropoda: Haliotidae))

  • 김수지;전미애;김혜진;최지성;이문옥;곽인실;김재원;강주찬;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56
    • /
    • 2014
  •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북방전복 아가미의 형태와 조직화학적 특징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북방전복의 아가미는 원새형의 bipectinate형 이었다. 아가미 새엽의 표면은 잘 발달된 섬모들로 덮여있었다. 새엽의 상피층은 공통적으로 단층으로 원주형의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AB-PAS (pH 2.5와 pH 1.0) 반응과 AF-AB (pH 2.5) 반응 결과, 점액세포들은 주로 산성의 뮤코점액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었다.

Effect of nanobubbles (oxygen, ozone) on the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ater quality under lab conditions

  • Nguyen, Huu Nghia;Nguyen, Thi Nguyen;Phan, Trong Binh;Le, Thi May;Tong, Tran Huy;Pham, Thai Giang;St-Hilaire, Sophie;Phan, Thi V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429-440
    • /
    • 2022
  •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oxygen and ozone nanobubbles on gill morphology, weight gain, and mortality of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as well as the level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ater quality of shrimp culture tanks under lab conditions.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oxygen macrobubble, ozone macrobubble, oxygen nanobubble, ozone nanobubble, and control treatments (air-stone macrobubble). Experiments were done in triplicate in 100 L tanks with 15‰ saline water, and 20 shrimp per tank. Tanks in Experiment 1 were not inoculated with bacteria; tanks in Experiment 2 were inoculated with V. parahaemolyticus at a concentration of 106 CFU/mL.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rt treatments with ozone nanobubbles had minimal impact on shrimp gills, mortality, and growth rates, reduced V. parahaemolyticus concentration in wat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improve water quality. These laboratory results indicate that ozone nanobubble treatment may be useful for controlling V. parahaemolyticus. More work is needed to find the best protocol to apply the technology on a commercial scale.

소라, Batillus cornu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Gill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주선미;전미애;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76
    • /
    • 2011
  •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라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기재하였다. 소라의 아가미는 bipectinate형이다. 새엽 상피층은 단층으로 상피세포, 섬모세포, mitochondria-rich cell 그리고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피세포들은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들이 발달되어 있었고 인접한 세포들과는 상부측면에 세포연접들로 연결되어 있었다. 섬모세포들은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들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무리지어 존재하고 섬모의 기저 뿌리 끝이 연결되어 있었다. Mitochondria-rich cell은 기저부에 원형의 핵을 가지며, 세포질의 대부분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AB-PAS와 AF-AB 반응 결과, 분비 세포들은 주로 산성점액을 함유하고 있었다. 분비세포는 단세포선으로 세포의 형태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4 종류 (A, B, C, D)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1. 병어류의 형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1. Morphology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Pampus)

  • 김용억;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41-265
    • /
    • 1989
  • 본 연구는 1986년 6월부터 1988년 8월에 걸쳐 충남대천, 인천소래, 경남흥도, 부산공동어시장 및 충남보령군 녹도 등에서 낭장망으로 채집한 병어와 덕대의 표본을 대상으로 난, 자어의 성장에 따른 외부형태, 내부형태 및 미성어와 성어에 대한 형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병어와 덕대의 미수정난은 난경이 각각 $0.83\~1.27mm,\;1.05\~1.41mm$로 거의 구형이며 분리부성난이다. 병어 체장 185.0 mm 이상 개체와 덕대 체장 95.5 mm 개체에서 난이 최초로 성숙한다. 자어의 근절은 병어 13+22=35개, 덕대 $14\~15+23=37\~38$개로 성어의 척추골수와 일치한다. 자치어 외부형태 중 두드러진 특징은 가슴지느러미가 덕대에 비해 병어가 크고 덕대의 상악은 하악보다 돌출되어 있다. 덕대의 자어는 체장 $5.60\~7.25mm$에서 흑색소포가 몸의 중앙부 측면, 양택 선단 측면 및 두부에 산재되어 있고, 체장 16.50 mm의 전후의 개체에서 모든 지느러미 유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한다. 덕대는 일반적으로 체장 $8.55\~10.00mm$의 개체에서 턱을 구성하는 악골이 최초로 골화하며 척추골의 골화는 두개골 및 내철골보다 빠르며 대체로 두부쪽에서 꼬리방향으로 골화가 진행된다. 병어와 덕대의 외부형태 식별은 턱의 생김새, 지느러미, 극조와 연조수, 협부의 형태 및 두부 후방에 보이는 미세한 파상무늬 등으로 할 수 있으며, 내부형질로는 척추골수, 새파수, 유문수, 식도낭의 형태, 장의 길이 및 상조골수등에 의한다. 병어와 덕대의 요대골은 전단부분이 견대골 쇄골하단에 접착되어 있으며, 미부의 상미축골은 2개이다.

  • PDF

Morphology and Ecological Notes on the Larvae and Pupae of Simulium (Simulium) from Korea

  • Kim, Sam-Ky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4호
    • /
    • pp.209-246
    • /
    • 2015
  • Morphological features of larvae and pupae of twelve species of Simulium (Simulium) from Korea are investigated and redescribed. Detailed descriptions of immature stages of each species are provided with photographs. For the Korean members of subgenus Simulium, combinations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n be used to separate them from other Korean subgenera: larval abdomen without a pair of conical-shaped ventral tubercles; postgenal cleft variously shaped, viz., miter shaped, spearhead, bullet shaped or triangular; rectal papillae 3 simple lobe or compound lobes; pupal gill of 6-16 filaments; cocoon shoe, boot or slipper shaped; and head trichomes 3 pairs (1 facial+2 frontal). Habitat information and other ecological aspects of each species are provided. Updated keys to larvae and pupae of the Korean species of the subgenus Simulium are also provided to facilitate species identification. Taxonomic treatment based on external morphologies of larvae and pupae of Korean species of the subgenus Simulium are focus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ir interspecific relationships, phylogenetic analyses using multiple data from molecule, morphology, and ecology are warranted in future research. Also continued exploration for new character systems is needed to establish more stable boundaries for subgenus and species delimitations.

Occurrence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icrocotyle sebastis Isolated from Fish Farms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 Song, Jun-Young;Kim, Keun-Yong;Choi, Seo-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89-95
    • /
    • 2021
  • Microcotyle sebastis is a gill monogenean ectoparasite that causes serious problems in the mariculture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parasite from fish farms along the coasts of Tongyeong, South Korea in 2016, and characterized its infection,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y. The prevalence of M. sebastis infection during the study period ranged from 46.7% to 96.7%, and the mean intensity was 2.3 to 31.4 ind./fish, indicating that the fish was constantly exposed to parasitic infections throughout the year. Morphological observations under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of the M. sebastis isolates in this study show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terior prohaptor and posterior opisthaptor of monogenean parasites. In phylogenetic trees reconstructed using the nuclear 28S ribosomal RNA gene and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I gene (cox1), they consistently clustered together with their congeneric species, and showed the closest phylogenetic relationships to M. caudata and M. kasago in the cox1 tree.

납 노출에 따른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의 미세구조 및 생리적 변화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Lead (Pb) Exposure on Tissues of Carassius auratus)

  • 김정숙;신명자;이종은;서을원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409-417
    • /
    • 2010
  • 본 연구는 Pb의 농도와 노출 기간이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의 미세구조와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가미, 뼈와 근육 조직에서 Pb의 축적 농도는 노출 40일에 증가하였다. 아가미 조직 내 Pb의 축적량은 다른 조직에 비하여 높았으며, 아가미, 뼈 및 근육 조직에서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Pb에 노출된 아가미, 뼈와 근육 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아가미와 근육 조직에서 높았으며, 신장 조직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효소 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glutathion peroxidas의 활성은 매우 낮았다. Pb에 노출된 아가미 조직에서 점액세포는 수가 증가하였으며, 곤봉화와 부종이 이차새변에서 나타났다. 또한 40일간 Pb에 노출된 아가미 조직 내 미토콘드리아와 핵에서는 막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신장 조직 내 사구체는 수축되어 보우만 주머니의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붕어 조직 이 장기간 고농도의 Pb에 노출이 되면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매우 유해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