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jang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9초

Review of the Poorly Known Harvestman Subfamily Opilioninae (Arachnida: Opiniones: Phalangiidae) with Himalphalangium spinulatum from Korea

  • Ban, Soo-Hong;Kwon, Tae-Seong;Kim, Byung-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1호
    • /
    • pp.39-47
    • /
    • 2010
  • Himalphalangium spinulatum (Roewer, 1911) collected from Gijang-gun, Busan-city, Korea is redescribed with spination of leg, detailed illustrations including SEM photographs for the first time. Bidentolophus bidens (Simon, 1880) as a junior synonym of Opilio koreanus Charitonov, 1957 from North Korea is additionally reported in the Korean fauna. Also, a key to the species of Korean subfamily Opilioninae is provided.

수산관광축제의 고유성이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장멸치축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Authenticity of Fisheries Festival - The Gijan Anchovy Festival -)

  • 장영수;최진철
    • 수산경영론집
    • /
    • 제38권2호
    • /
    • pp.103-129
    • /
    • 2007
  • Prior research on the fishery village tourism has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activities in the field, but lacking in strategic approaches. To overcome such a limitation, this study intends to measure visitors' authenticity on Gijang Anchovy Festival,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y a regression analysis of visitors' satisfaction. Authenticity means the value of existence. The types of tourism in fishing villages have been classified as fishery tourism, resource tourism and ecotourism and each of them has its own authentic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three factors such as objective authenticity, experiential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Daebyeon Anchovy Festival, measurement scales were developed an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visitors for the three days from April 20 to 23, 2007.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08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contains 25 items on authenticity and 4 items on satisfaction and all the items were measured on the 7 Likert scale. It also has 8 item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tes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uthenticity, 24 items were used, Cronbach's was 0.7 and correlation was higher than 0.3. Factors of objective authenticity, experiential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were drawn from the factor analysis, which means that the 24 items may be used to measure authenticity of fishery festivals. The findings show that the evaluation score was 4.89 for objective authenticity, 4.36 for experiential authenticity, and 4.24 for inauthenticity. On the test of the hypotheses, the path coefficients were estimated 0.087 for objective authenticity, 0.202 for experiential authenticity and 0.503 for inauthenticit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This suggests some meaningful marketing strategies for Gijang Anchovy Festival. First of all, the anchovy festival should focus on motivating visitors to revisit the festival by identifying individual traits, making a pleasant festival oriented toward family visitors, and providing more experience programs about anchovy.

  • PDF

기장(機張) 장안사(長安寺) 대웅전(大雄殿)의 조영기문(造營記文)과 건축형식(建築形式)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Architectural Type of Jangan - sa's Daeoong - jeon in Gijang)

  • 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1-116
    • /
    • 2010
  • Jangan-sa is one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e southeastern seaside district, which was restored directly after the termination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Recently we could find out 4 records on the constructions of Daeoong - jeon in J angan-sa. These are written in the 12th year of Emperor Soonchi, written in the 8th year of Emperor Geonryung, written in 1947 Buddha Era and written in 1951 Buddha Era. Until the revelation of these records, the present building has been considered to be built in 1657, the 8th year of King Hyojong, based upon Kim Bang - han's "Jangan - sa Daeoong - jeon - gi". Because the gongpo of Daeoong - jeon was finished with the type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we doubt of the correction on it's building date, just in the year of 1657. Now we are able to examine the building date and the alteration date, based upon the actual measurement and constructional records of Daeoong - jeon. So to speak, the building destroyed in 1592, had been restored in 1658, the 9th year of King Hyojong and was reconstructed in 1744, the 20th year of King Youngjo. Afterward it was repaired on small scales in 1947 and in 1951. Though this building is considered to be lack of the completeness owing to the later alterations, it is still worthy heritage for the research on the building type at the directly after the termination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군집분석을 활용한 부산지역 오존, PM10 측정소의 유사성 분석 (An Analysis of Similarity betwee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Busan using Cluster Analysis)

  • 도우곤;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27-93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rrelations and similarity between the ozone and $PM_{10}$ data of 19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Busan from 2013 to 2016, using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es. Ozone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278{\pm}0.0148ppm$ at Gwangbok to $0.0378{\pm}0.017ppm$ at Taejongdae and were high in suburban areas, such as Yongsuri and Gijang, as well as in coastal areas, such as Jaw, Gwangan, Taejongdae and Noksan. $PM_{10}$ concentrations ranged from $37.2{\pm}25.0ug/m^3$ at Gijang to $58.3{\pm}32.2ug/m^3$ at and Jangrim. $PM_{10}$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west, exceeding the annu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of $50ug/m^3$.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ozone at most stations, ranging from 0.61 between Taejongdae and Sujeong to 0.92 between Bugok and Myeongja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M_{10}$ between stations ranged from 0.62 between Jangrim and Jaw to 0.9 between Gwangbok and Sujeong. Yeonsan, Daeyeon, and Myeongjang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ther stations, so they needed to be reviewed for redundancy. Ozone monitoring stations were initially divided into two sections, north-western areas and suburban-coastal areas. The suburban-coastal areas were subsequently divided into three sections. $PM_{10}$ monitoring stations were initially divided into western and remaining areas, and then the remaining areas were subsequently divided into three sections.

한국 남해연안에 서식하는 해마류의 분포와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al Reexamination and Distribution of Sea horse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 김태일;한원민;이근의;이기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59-117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sea horse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ea horses that were caught in the Southern Sea, centering on Yeosu, South Korea. Specimen collection methods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set net, skimming nets, dragnets, and landing nets on a boat, as well as scuba diving. A total of 128 sea horses belonging to three species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xact distribution pattern, the catch per unit effort and the population density per $1,000m^2$ were calculated for each site in the Southern Sea. The result shows the highest catch by set nets was 29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Dolsan-eup, Port Impo, and the highest catch by scuba diving was 8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Gijang-gun, Busan.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was 61.2 sea horses in the coast of Gijang-gun, Busan. Genetic information analysis and morph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etermination of species. As a result, four Hippocampus trimaculatus, (flat-faced sea horses), 45 Hippocampus coronatus (Crowned sea horses), and 79 Hippocampus mohnikei (Japanese sea horses) were distinguished.

부산 기장군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 사암 조성의 예비 연구: 기원지와 조구조 역사 해석에의 의의 (Preliminary Results from Sandstone Petrography of the Icheonri Formation in Gijang-gun, Busan: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Tectonic Setting)

  • 주영지;양희선;김경태;김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1-168
    • /
    • 2023
  • 한반도에 분포하는 백악기 육성퇴적층 중 경상누층군 퇴적물의 기원지 조성과 조구조 환경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에 그 외 퇴적층에 대한 사암의 암석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해안가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의 사암을 대상으로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기원지의 특성에 대한 예비 해석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천리층 사암은 미성숙한 조성과 조직을 나타내며 백악기 당시 유라시아 동쪽 연변부에서 일어난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해 융기하여 발달한 화산호로부터 단시간에 퇴적물이 생성되어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암 내 부수광물로 크롬 첨정석이 다수 관찰되는데, 이는 기원지에 초고철질암이 분포하였음을 의미한다. 향후 추가 연구를 바탕으로 크롬 첨정석 기원암의 형성 환경 뿐만 아니라 이천리층 퇴적 당시 경상분지 동남부의 조구조 환경에 대한 해석과 경상누층군과의 층서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Social Isol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ow-income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 박미진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95-910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인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장복지네트워크 조사연구(2009) 자료를 활용하였고, 이 자료중 부산시 기장군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 수급대상자 또는 1,2종의 의료보호 대상자이면서 65세 이상 노인 256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에 의한 매개효과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조사대상노인의 5.5%는 극도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였고, 조사대상의 31%가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인식은 사회적 고립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개입과 노인들의 사회참여 및 사회관계를 강조한 사회적고립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의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lind Spots in Administrativ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 김민호;이현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80
    • /
    • 2024
  •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향후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대상으로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여 읍·면 행정복지서비스 도달거리와 노인 이동가능거리를 분석하였다. 두 거리 간 비교를 통해 세 가지의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서비스공급사각지대, 이동불가사각지대, 이중사각지대)을 도출하였다. 기장군의 경우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가 34.2%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동불가사각지대 21.5%로 가장 높았으며, 이중사각지대 9.5%, 서비스공급사각지대는 3.2%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일부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 농도 (The Levels of Blood Lead and Cadmium in Urban and Rural Population in Korea)

  • 김효준;홍영습;이경은;김대선;이명진;예병진;유철인;김영욱;유병철;김영훈;김정만;김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2-4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 주민들과 농촌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리적 환경 차이에 따른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 농도를 조사하여 노출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7년 7월 1일에서 8월 30일 까지 경남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진주) 주민 84명과 부산 인근의 반농촌마을(기장) 주민 64명,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 100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Graphite furnace를 갖춘 비불꽃 원자 흡광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혈중 납 농도는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이 $6.38{\pm}2.86{\mu}g/dl$이었으며,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은 $5.41{\pm}2.16{\mu}g/dl$, 부산 인근의 기장지역 주민들은 $4.50{\pm}2.87{\mu}g/dl$으로 부산지역 주민들의 평균 혈중 납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산지역 주민의 혈중 납 농도와 부산 인근 기장지역 주민의 혈중 납 농도간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평균 혈중 카드뮴 농도는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이 $0.85{\pm}0.44{\mu}g/l$이었고, 진주 농촌지역 주민이 $1.57{\pm}0.78{\mu}g/l$, 부산 인근의 기장지역 주민 $0.95{\pm}0.54{\mu}g/l$으로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의 평균 혈중 카드뮴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산지역 주민과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p<0.01)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간에 따라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의 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일부 지역 주민들의 결과만으로 우리나라 전체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카드뮴 농도에 대한 차이를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작업장 내의 직업적 폭로가 아닌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로써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향후 혈중 납과 카드뮴의 체내 축척을 줄이기 위하여 보다 더 많은 대상자들의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재배지역이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ultivated Areas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이재생;송석보;고지연;강종래;오병근;서명철;곽도연;남민희;우관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5-321
    • /
    • 2011
  •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품종의 기장을 재배하여 수확된 시료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54 및 2.6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원주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66 및 2.59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탄닌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벼룩기장과 노란찰기장이 각각 1.87및 1.4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재배환경에 따른 조의 조곡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8.54 및 8.53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19.48 및 19.29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재배지역과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