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teacher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Concerns of Science Teachers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김득호;강경희;박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105
    • /
    • 2009
  • 이 연구는 서울시교육청부설 과학영재교육원 6곳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과학영재교육원 경험과 관련된 고려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면담자료에 기초를 두고 과학영재교육원의 관련 문서 자료, 설문조사 등의 자료 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학영재교사들은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및 교육을 위하여 영재의 판별과 학생 선발, 교육일정, 교육과정, 학습평가의 영역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영재의 판별과 학생선발에 있어서, 1차 선발의 중요성, 선발 인원의 합리성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과학영재를 판별하고 선발함에 있어서, '배제'보다는 '포함'의 원칙을 적용하며, 가능한 모든 잠재적 과학영재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하겠다. 교육일정은 합리적이고 교육적으로 접근하여 결정되어야한다. 과학영재교 육과정은 교육청별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협의를 하고 서로 연계함으로써 과학영재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학습평가는 모든 영역에 대한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합리적 평가로 과학영재들을 안내함으로써, 과학영재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 Career Counseling Network on Gifted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 정덕호;박선옥;유효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진로 상담을 위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서 상담자들 사이의 사회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 151명과 일반 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모두 어머니의 중심성 지표가 가장 높았고, 선생님이 가장 낮았다. 또한,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로부터 선생님에 이르는 최대 흐름 지표가 가장 낮았고, 과학 영재에 비해 일반 학생의 지표가 현저히 낮았다. 둘째,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가장 쉽게 대신할 수 있는 상담자는 아버지이고, 선생님은 그 역할을 대신하기에 가장 곤란하다. 그리고 그 정도는 일반 학생 집단 보다는 과학 영재집단에서 작게 나타났다.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정보 교환의 제약성은 두 집단에서 모두 선생님이 가장 높고, 어머니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에서 어머니가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진로상담 네트워크에서 가장 소외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진로 지도를 위해서는 부모님과 선생님의 체계적인 연결이 절실히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진로 상담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Teachers' Perspectives on Obstacles Facing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audi Arabia

  • Alsharif, Nawal;Alasiri, Hawaze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254-26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bstacles facing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GSLD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teachers in the Makkah region and to find suggested solution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he study covered Makkah, Jeddah and Taif and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hich included open-ended questions.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everal educational obstacles including the absence of adapted courses or specialized teachers for GSLDs category and the insufficient time for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talen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re were also societal obstacles including the society's failure to expect the presence of talents along with disabilities, or its denial or rejection of their talents in addition to ridiculing them.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ve obstacles including the lack of community partnership. There were also family obstacles such as the family's lack of encouragement for the students, and ignorance of the nature of GSLDs. The study came up with a number of solutions and proposals related to awareness,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 and competitions for talented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지적 영재유아 판별의 절차와 과제

  • 박혜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99-11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만 6세 미만의 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영재판별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살펴보고 지적 영재성을 진단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법들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6세미만의 유아기부터 지적 영재성은 더 나이든 아동의 특성과 유사한 행동특성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부모의 관찰과 연구자들의 보고에 의해 밝혀져 있다. 단지 유아기에는 아동의 현재 수행보다 앞으로 보일 수행가능성 즉 잠재성의 측정이 중요하며 특히 유아의 여러 기능들이 서로 잘 분화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과학적이고 포괄적인 판별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인 영재유아의 판별방법은 부모나 교사의 일상행동관찰에 의한 의뢰, 영재아 행동평가지, 간편 검사 그리고 개인별 세부 검사 등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와 단계적 방법이 효율적임을 주장하였다. 특히 어린 유아의 경우 발달과정에서의 변이성이 크기 때문에 반복적 평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영재판별방법들의 종류와 검사자의 자질, 실시상의 주의점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영재아의 여러 특성을 올바로 진단할 수 있는 전문가와 다양한 검사방법이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정리하였다. 끝으로 영재판별이 영재아에 대한 최적 교육환경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서가대에 게시된 소자보를 통해 본 과학영재들의 심리적 특성 (A Study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the Sojabo Post Noticed on their Bookshelves)

  • 육근철;김언주;이군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65
    • /
    • 2001
  • 과학영재들이 도서실 서가대에 적어 논 소자보를 수집 분석하여 그들이 어떤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어떻게 통제하고 길들이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과학영재들은 학교공부 및 진학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자기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서 끊임없이 담금질을 하는 목표 지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있어서 매우 힘들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한 방안: 현미경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Focused on Microscope)

  • 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79-28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program for the gifted-in-science.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students was focussed on microscop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enrichment triad model of Renzulli. Firstly, the gifted students investigate and express themselves for theological backgrounds, for examples, kinds, structure and use in various ways of microscope.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ideas and interest which help students have the appropriate microscopic conceptions. In the second step, it contains understanding of a term and function of microscope, making of simple microscope, principle of a statue focusing and size estimation of an outline of subjects by scientific investigation activity. Lastly, it focussed on enlargement of post-learning through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with inter-science and experiments using microscop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reconsider scientific program development for the gifted or enriched students and to be successful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 PDF

Development of an Elaborated Project-Based Learning Mode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 KIM, Hyekyung;CHOI, Seungky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171-192
    • /
    • 201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aborated project based learning model for scientifically gifted in the context of R & E project learning. It is important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o provide the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s instead of general learning model for the gifted. Although R & E project learning model is effective, the model has the limitations of managing the course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o improve R & E learning model, the elaborated project based learning model was suggested with integration of both project based learning model and goal based scenario. The elaborated project-based learning model was comprised with 'basic learning process', 'elaboration through inquiry', and 'presentation and reflection'. To measure the satisfaction, eight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result shows that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elaborated project-based learning up to 90%,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is model up to 77%.

창작물 중심 영재교육의 중요성 (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duct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8
    • /
    • 2006
  • 수학영재의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지식 중심 교육에서 산출물 중심의 교육을 발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산출물 중심의 영재교육이 수학연구의 본질에 보다 가까울 뿐만 아니라 공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힌다.

  • PDF

한 초등과학 영재의 외로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neliness)

  • 김희경;권혁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48-361
    • /
    • 2016
  • This study was done by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elly (2000),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sixth grade student from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in C University. The data were gather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 participant and her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can mak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ith regard to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cience. Firs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may make her feel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s she has with peers, siblings, and parents. Second, parent's repression makes the gifted child feels lonely. Third, the gifted child who feels lonely get consolation from her own subjective world and wants to get recognition from others.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serves as a place of education that fosters the gifte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simultaneously it is where she can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er peers, as well as being a place of emotional comfort.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Exploring the Clas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 한기순;이정용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07-122
    • /
    • 2011
  •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근 이슈와 논란이 되고 있는 관찰-추천 영재 판별 시스템과 관련하여 현장에서 영재들을 지도하고 있는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바람직한 방향 및 그 중요도 그리고 실행수준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영재교사들이 영재판별에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기서 산출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 관련 문항을 가지고 112명의 영재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 인식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36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이들 36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은 .249이었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인식은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각 범주명은 '전문성 확보', '행정적 지원 확보', '공정성 확보', '관찰-추천제의 원칙'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전문성 확보'와 '공정성 확보' 범주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모든 범주에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탐색의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점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앞으로 본격화될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판별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중요하며 현재는 어느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들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