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ontolog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노년학(韓國老年學)』의 심리학 분야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Psychology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정태연;윤가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767-782
    • /
    • 2018
  •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노년기의 심리를 다룬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의 심리적 과정을 다루는 심리노년학이나 노년기의 심리학을 다루는 노년심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관심은 남은 생애 동안 높은 삶의 질과 안녕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 간 "한국노년학"에 실린 심리학 분야 논문 중 자살(우울)의 문제를 다룬 91편의 논문과 노화 및 성공적 노화에 대한 문제를 다룬 31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또 이를 초기 30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이 자살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직접적 혹은 매개적인 효과를 다룬 연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노인/노화에 대한 인식이나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여준 연구, 그리고 성공적 노화 및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첫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노년기 여생의 삶의 질의 제고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논문 철회]지역사회 노인의 제론테크놀로지에 대한 사용 전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Retraction]Influencing Factors on Pre-implementation Acceptance of Geron-technology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 안지원;박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57-165
    • /
    • 2019
  • "Aging in place" 실현을 조력하는 제론테크놀로지는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돌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제론테크놀로지의 사용 전 수용성 및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사용 전 수용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조사연구로 2019년 3월 16일부터 23일까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남녀 노인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28%의 설명력으로 농촌지역의 대상자와 신체적인 기능이 높을수록, 고비용이나 기술사용에 대한 가족의 지원 부족과 같은 장애요인이 낮을수록 제론테크놀로지의 사용 전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에 대한 보건복지 전략을 개발 할 때 이러한 요인에 대한 고려는 많은 수의 노인이 제론테크놀로지 사용을 촉진하여 향후 노인의 aging in place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최근 10년 연구경향과 향후 과제 (Aging and Families: A Review of a Decade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한경혜;차승은;민주홍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67-683
    • /
    • 2018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8년 3호~2017년 4호) 한국노년학회지에 실린 가족분야 논문을 분석하여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주요 경향과 성과 및 제한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총 8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노년기 가족연구에 활용된 주요 이론 및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주요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주제별 고찰은 노년기 거주유형과 노인가구, 세대관계, 노년기 부부관계, 그리고 노년기 가족문제의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종합하면, 지난 10년간 노년학의 가족분야 연구는 이론과 방법론 적용에서 진보를 이루어 왔으나, 향후 보다 다양한 이론의 적용이나 다수의 가족원으로부터 수집된 대규모 종단자료의 확보와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급격한 인구고령화와 광범위한 가족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노인과 가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천적 가족노년학 연구가 확장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만성질환 진단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요 5대 만성질환의 초기 진단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ition to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on Depressive Symptoms)

  • 박민경;조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54-361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자 증가 추이를 고려하여, 만성질환에 의한 정신건강 악화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5가지의 주요 만성질환(당뇨병, 암, 만성폐질환,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을 선정하였다.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진단자로의 전이와 우울 수준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SPSS 25.0을 사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성질환자로 전이한 경우 및 5가지 각 질환별 전이한 경우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성질환 진단자로 전이는 우울수준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 살펴보았을 때, 암, 만성 폐질환, 뇌혈관 질환이 진단된 중고령자는 우울 수준이 높아졌으나, 당뇨병과 심장질환이 진단된 경우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자로의 전이와 우울관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자가응답과 코티닌 측정에 의한 간접흡연 노출률 비교: 생체지표 활용의 정책적 필요성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between Self-reporting and Cotinine Test: The Application of Biomarkers)

  • 박명배;심보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5-512
    • /
    • 2020
  • Background: In monitor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smoke (ETS), biomarkers can overcome the subjectivity and inaccuracy of self-reporting measurements, and have the advantage of reflecting ETS exposure in all plac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TS exposure measurement using biomarkers such as urine cotinin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from 2009 to 2018. A total of 28,574 non-smokers with urine cotinine dat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cotinine concentration and ETS exposure rate using urine cotinine was estimat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self-reporting measurements. The degree of agreement among measurements of ETS exposure was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ETS exposure with urine cotinine, 23,594 (83.8%) out of 28,574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o exposure groups. This estimate differs significantly from measurements made by self-reporting. In addi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otinine in non-smokers has decreased to a 10th level over the past 10 years. Based on the biomarker, the sensitivity of the self-reporting was 8.5%-29.0%, the specificity was 16.4%-19.5%, and the kappa value was 2.0%-5.8%. Conclusion: The findings of our study show that self-reporting measurement does not well reflect the extent to which non-smoker's exposure to smoking materials. Whereas cotinine concentration ha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0 years, the ETS exposure rate has not reduced. It strongly suggests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the group of non-smokers exposed to low concentrations of smoke. Therefore, an assessment using biomarkers such as cotinine-based measurement should be made in the Health Plan 2030.

Perceptions of Residents in Relation to Smartphone Application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Radiation Exposure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A Cross-Sectional Study within and outside Fukushima Prefecture

  • Kuroda, Yujiro;Goto, Jun;Yoshida, Hiroko;Takahashi, Takes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67-76
    • /
    • 2022
  • Background: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residents within and outside Fukushima Prefecture to clarify their perceptions of the need for smartphone applications (apps) for explaining exposure doses. The results will lead to more effective methods for identifying target groups for future app development by researchers and municipalities, which will promote residents' understanding of radiological situations. Materials and Methods: In November 2019, 400 people in Fukushima Prefecture and 400 people outside were surveyed via a web-based questionnaire. In addition to basic characteristics, survey items included concerns about radiation levels and intention to use a smartphone app to keep track of exposur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tratifying responses in each region and then cross-tabulating responses to concerns about radiation levels and intention to use an app by demographic variables. The intention to use an app was analyzed by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xt-mining analyses were conducted in KH Coder software. Results and Discussion: Outside Fukushima Prefecture, concerns about the medical exposure of women to radiation exceeded 30%. Within the prefecture, the medical exposure of women, purchasing food products, and consumption of own-grown food were the main concerns. Within the prefecture, hav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the experience of measurement, and having experience of evacu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an app. Conclusion: Regi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evident. Since respondents diff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mote app use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and with phases of reconstruction. We expect that a suitable app will not only collect data but also connect local service providers and residents, while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Knee Joint Isokinetic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Usability Evaluation

  • Byoung-Kwon Lee;Seung-Hwa Jung;Hye-Ri Shin;Dong-Wook Han;Chang-Young Kim;Jong-Min Woo;Dae-Sung Park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414-420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presen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isokinetic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the knee joint. Design: Cross-sectional design, reliability & validity study. Methods: Thirty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CSMI dynamometer was used as a standardized measuring device to present the validity of the equipment. It was measured based on the dominant leg. The average peak torque value was selected as the measurement variable. After the measuremen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safet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questionnaire. Results: The knee joint isokinetic rehabilitation equipment showed high reliability with Intraclass Correlations Coefficients (ICC) =0.883~0.956. In order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equipment,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mean difference limit was confirmed by the Bland & Altman plot. As a result, all three angular velocities showed a smaller confidence interval in the flexion than in extension. There were less than 10 plots that were not included in 2 Standard Deviation (SD) between all measurement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average of the safety domain(4.9±0.4), satisfaction domain(4.1±0.8), performance domain(4.3±0.8). Conclusions: If the product is improved by supplementing the items identifi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proces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device in various knee joint rehabilitation fields.

Effect of exercise on cystatin C as a risk factor for renal failure and hypertension

  • Kwon, Yoo Chan;Park, Sang Kab;Park, Hyun Tae;Kim, Eun Hee;Park, Jin Kee;Jang, Jae Hee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3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24-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in older women with hypertension. Women with hypertension who were 70 years and older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combined exercise group (CE; n = 15) and a control group (n = 15). The CE group performed a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four times per week for 24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Five factors, including body composition (percent body fat and skeletal muscle mas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dipocytokines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kidney risk factors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nd cystatin C),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total muscle mas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GF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E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Additionall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IL-6, TNF-α, and cystatin C levels in the C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In contrast, total muscle mas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blood pressure remained unchang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 training may positively impact circulating levels of adipocytokines and cystatin C and improve physical fitness levels in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Therefore, CE training helps to prevent renal disease and improv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eventually leading to a better quality of life.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신문매체를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Discourse on Aging in Korean Newspaper)

  • 한경혜;윤성은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299-3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을 전달하는 기존 노년 담론의 대안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신노년 담론이 대중매체를 통해 어떻게 구성되고 유포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대중매체의 하나인 신문매체의 기사들을 분석하여, 새롭게 부각되는 노년층의 문화가 어떠한 테마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테마들이 모여서 구성하는 신노년 담론의 특징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신문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이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발행된 신문 중에서, '노인' 또는 '노년'을 주제로 한 신문기사 1725건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신문매체들은 신노년층 노인들의 모습을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고, 자원봉사나 유급노동, 학습 등으로 끊임없이 활동하면서 자립성을 유지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신노인과 구노인의 대립항적인 담론구성 방식을 통해 신노년층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령화시대에 바람직한 삶의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신노년 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과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Life Stage Preparation Program in an Aged Society)

  • 김병숙;양옥남;강인;한은주;원미희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229-244
    • /
    • 2005
  • 본 연구는 노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학, 가족학, 직업학 등의 노인 관련 전문가를 중심으로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요구도 조사는 20대 이상 남녀 5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0대와 60대 이상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및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노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생애단계와 노인의 전반적 이해, 경제적 준비, 직업, 건강증진 및 유지, 죽음과 사별대비, 심리적 관점, 자기완성의 추구, 노년기의 사회참여, 원만한 가족관계, 노인주거의 10개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교육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