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on Percentage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3초

섬쑥부쟁이 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조건 및 Priming 처리의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Light Condition, and Priming Treatement On the Germination of Aster glehhi FR. Seed)

  • 최금순;박권우;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2-138
    • /
    • 2003
  • 섬쑥부쟁이의 대량번식 체계를 구명하고 발아 및 입 묘율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온도와 광조건, 그리고 priming 처리약제, 처리농도, 처리기간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20, 25$^{\circ}C$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30$^{\circ}C$에서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졌고 35$^{\circ}C$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발아개시일은 15$^{\circ}C$에서 가장 늦어졌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쉽게 부패하였다. 발아세는 2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20, 30$^{\circ}C$ 순으로 낮이졌다. 굉조건 실험에서 발아율, 발아개시일, 발아세, $T_{50}$ 등이 명 처리에서 증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 Priming 처리기간별로 발아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3 시간 처리가 30 분처리보다 높았다. 섬쑥부쟁이 종자에 0.3M $KNO_3+K_3PO_4$를 3시간 처리할 경우 발아율이 83.3%로 가장 높았고 역시 $T_{50}$도 가장 짧았다. $T_{50}$과 발아개시일은 30분 처리가 3시간 처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priming 처리가 대조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발아세는 모든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처리시간에 따른 효과가 없었다.

종자의 발아시험방법과 포장출현과의 관계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Seed Germination Testing Methods to the Field Emergence.)

  • 전우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15
    • /
    • 1989
  • In oder to find out the effective seed germination testing method to the field emergenc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 1. TTC testing results were higher percentage than any other germination testing methods . 2. On the corn seed , field emerge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germinator test, TTC test and AA test hut cold test was lower percentage . 3. Field emergence , on the soybean seeds was highly correlated with AA test and cold test but germinator test and TTC test was higher percentage .

  • PDF

한국특산(韓國特産) 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종자(種子).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Variation of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koreana Wilson, a Korean Endemic Species)

  • 송정호;장경환;허성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49-854
    • /
    • 2010
  •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다. 4개의 천연집단으로부터 구과를 채취하여 종자품질 7가지와 발아특성 3가지를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충실율과 종자활력(TTC)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의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충실율, 발아율 및 발아속도에 대한 변이계수 값(43.5~57.2%)은 다른 특성들(11.0~28.3%)에 비해 변이폭이 컸다. 발아패턴을 보면 종자 파종 후 17일부터 최초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79일 이후에는 더 이상 발아가 진행되지 않았다. 발아율은 덕유산집단(8.5%)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며 39.7~47.7%까지 다양하였다.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38.1~43.6일, 발아속도는 0.98~1.39개/일로 나타났다. 특히 구상나무의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충실율이 높을수록 발아율이 높고 발아속도가 빠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반면 평균발아일수는 짧게 걸리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규명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d Rice by Temperatures and Seeding Depths)

  • 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19-323
    • /
    • 2013
  •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앵미 2종과 대안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조건에서 발아시험 결과 앵미가 대안벼보다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속도도 빨랐으며 종자세가 우수하였다. 2. 저온조건에서는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이 높았고, 중온조건에서는 토양수분 45% 조건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3.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은 파종심도 6 cm 처리구에서는 저온과 중온에서는 발아를 하지 않았으나 고온에서는 발아를 하였다. 4. 합천앵미와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중 영천앵미가 합천앵미보다 발아율 및 종자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나리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파종상의 환경, 온탕처리, 습윤냉장과 건조저장의 영향 (Effect of Seedbed Environments, Hot Water Treatment, Cold Wet Storage, and Dry Storage on Seed Germination in Korean Native Lilies)

  • 김민희;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6-113
    • /
    • 2009
  • 자생나리 종자의 발아율은 $20-25^{\circ}C$에서 높았다. 이 온도에서의 솔나리, 땅나리, 털중나리와 하늘나리의 발아율은 거의 100%, 참나리와 중나리는 각각 88.0%와 73.0%였다. 반면 말나리, 섬말나리와 하늘말나리의 발아율은 34.0-54.0%로 낮았다. 발아는 대부분 $15^{\circ}C$에서 지연되어 발아율이 높은 종일수록 발아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발아와 일장과는 대체로 무관하였으나 장일하에서 하늘나리는 촉진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억제되었다. 발아속도도 일장효과가 적었으나 중나리는 일장이 길수록 촉진되었고, 섬말나리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PGRs 온탕처리의 효과를 보면, 땅나리, 솔나리, 털중나리, 참나리와 하늘나리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나리는 BA에 의해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중나리와 참나리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이 향상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저하되었다. 발아소요일수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에 관계없이 단축되었다. 건조저장시의 발아율은 실온보다는 저온저장구에서, 방치구보다는 데시케이터 저장구에서 높아, $4^{\circ}C$ 데시케이터 저장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하늘나리는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시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졌으나, 중나리는 데시케이터 사용만으로도 발아율이 장기간 유지되었다.

간척지내 식물종자의 내염성과 발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alt Tolerance of Plants in Reclaimed Salt Area)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3권1호
    • /
    • pp.27-33
    • /
    • 1980
  • The germination character and the salt tolerance of seeds collected in a salt reclaimed area were studied. Twenty species of seeds out of 30 species collected were germinated under natural or continuous light conditions but only 16 species under dark condition. Germination percentage of seeds under dark was more decreased than those under other two conditions and speed of germination was accelerated at high temperature. It is clear that almost all the wild weeds were the light germinated seeds. The higher concentration of NaCl for germination inhibited to make the lower percentage and rate of germination. The germination curves of seeds treated with NaCl solution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curves; a steeper, a parabola and intermediate. The critical concentrations of NaCl for germination were 2.3% for Brassica napus, 1.8% for Echinochloa hispidula, 1.5% for Setaria lutescens, 1.3% for Aster koraiensis, 0.7% for Bromus japonicus and 0.6% for Glyceria acutiflora.

  • PDF

벼 종자의 Polymer 피복처리가 종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mer Coating on Seed Vigour in Rice)

  • 이성춘;정춘화;김진희;송동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4-285
    • /
    • 1996
  • Po1ymer를 피복한 벼 종자의 종자세 향상과 환경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0종의 Polymer를 피복하여 수분흡수력, 호흡량, 발아력 및 포장 출아율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피복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포화습도에서 klucel이 가장 높았고 PVP가 가장 낮았으며, 물에 침청할 때는 klucel이 가장 높았고 maltrin이 가장 낮았다. 2. Polymer 피복 종자의 호흡량은 화영벼 와 일품벼 에서 polymer 피복 종자가 낮았으나, 대청벼와 진미벼는 오히려 높았는데 그 정도는 sepiret 피복 종자가 PVP 피복 종자보다 높았다. 3. Polymer피복 과정 중 기계에 의한 종자피해 정도는 발아율이 1% 내외로 저하되어 극히 미미 하였다. 4. 종자세가 양호한 종자에서는 polymer 피복에의한 발아율의 향상은 없었으나 대부분이 9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고 waterlock, surelease 45 및 sepiret등이 특정 품종에서 발아율이 극히 저조하였다. 5. 발아세는 sepiret 피복으로 향상되었고, PVP 피복으로는 약간 저하하였다. 6. Polymer피복 후 노후화 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대부분의 polymer에서 피복 종자가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sepiret과klucel피복한 종자의 발아율은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7. 저온 발아성은 daran 8600, maltrin, sacrust 및 opadry 등에서는 향상되었고 나머지 polymer는 저해하였는데, 특히 PVP의 발아율이 가장 낮았다. 8. 초장은 대부분의 polymer 피복 종자에서 컸으나 watelock, PVP, maltrin등의 Polymer에서는 작았다. 저온 발아시 초장은 polymer피복으로 오히려 단축되었다. 9. 포장 출아율은 피복 종자가 훨씬 높았으며 출아 소요시간도 훨씬 단축되었다. 포장수분함량 90 %에서 출아율이 가장 양호하였고 출아 소시간도 단축되었으며, 95년 종자가 94년 종자보다도 출아률이 높았고 출아시간도 단축되었다. PVP가 sepiret보다 더 양호한 출아율을 나타냈다.

  • PDF

자연 실온 및 변온 환경에서 광엽형 톨 훼스큐 품종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Varieties of Coarse-textured Tall fescue under Alternative and Natural Room Temperature Conditions)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34
    • /
    • 2009
  • 톨 훼스큐 종자의 발아율, 발아패턴 및 발아특성은 생육환경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자연 실온 환경에서 발아력은 ISTA 변온과 약간 다르게 나타났고 최종 발아율은 $85.25{\sim}97.00%$ 사이로 다양하였다. 톨 훼스큐의 발아패턴은 최초 발아의 경우 ISTA 변온에 비해 $2{\sim}3$일 정도 늦은 치상 후 $7{\sim}9$일 사이에 시작되었다. 최초 발아 시기는 공시 품종 간 1일 정도 차이가 있었으며, Arid III 및 Olympic Gold 품종이 $7{\sim}8$일 사이로 다소 빨랐다. 발아율 50%에 도달한 기간은 최초 발아 후 $3{\sim}4$일 경과 후인 치상 후 $11{\sim}12$일 사이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ISTA 변온에 비해 $3{\sim}4$일 정도 늦은 것이었다. 또한 실무적으로 요구되는 발아율 76% 도달기간은 ISTA 변온에 비해 품종에 따라 $1.55{\sim}4.77$일 정도 늦은 치상 후 $12.38{\sim}14.29$일 사이로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 75% 발아율 도달 기간이 가장 빠른 품종은 Olympic Gold 품종이었고, 반대로 가장 느린 종류는 Tar Heel II 품종이었다. 톨 훼스큐 품종 간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Olympic Gold 품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밝혀진 품종 간 생리 생태적 특성과 ISTA 변은 및 자연 실온 조건 간 비교 자료는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light, ultrasonication and liquid smoke on germination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seeds

  • Kim, Min Geun;Kim, Young Ae;Jung, Ki-Yeul;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3-213
    • /
    • 2017
  • High quality seed of proso millet that has high germination percentage, germination speed, and uniformity demanded to increases rates of mechanization in cereal crop cultivation. In order to improv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proso millet seeds were treated with red light, ultrasonication and liquid smoke (LS) solution that generated from hickory wood. All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seed priming solution with 100mM $NH_4NO_3$ at $15^{\circ}C$ for 24hrs under aeration condition. Seeds were exposed under light intensity of 2000 lux for 15m, 30m, 60m, and 120m in priming solution. Ultrasonic treatment was performed at 60%, 80%, and 100% intensity of 21.6 KHz for 5m, 10m, and 20m in priming solution. For LS treatment seed were soaked in 0%, 0.5%, 1.0%, 5.0% and 10.0% of diluted solution with $dH_2O$ or 100mM $NH_4NO_3$ solution. The effect of seed treatment was evaluated with germination percentage (GP),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index (GI), germination rate (GR), Germination uniformity (GU) and heath seed percentage (H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ed light (15min) or ultrasonication (21.6kHz, 5min) treatment improved MGT, GI, GR, and GU comparing to untreated control. Importantly, we show that LS treatment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Proso millet seeds that treated with 5% LS solution for 24hrs improves HS up to 97% that similar results obtained in 100mM $NH_4NO_3$ priming for 24hrs. The combined treatment with LS solution and 100mM $NH_4NO_3$ priming were not effective in all treatment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reating seeds with LS or 100mM $NH_4NO_3$ priming or ultrasonication improve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e methods described here will help advance research using this species by increasing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t which successive seed pellet process.

  • PDF

산민들레 종자의 발아특성 연구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Taraxacum ohwianum Kitam.)

  • 신소림;임윤경;권혁준;김수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7-182
    • /
    • 2016
  • Background: Many Taraxacum spp. plants are widely used in medicine, but some of them have propagation problems, such as strong dormancy and poor germination ra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gibberellic acid ($GA_3$), and potassium nitrate ($KNO_3$) on seed germination in Taraxacum ohwianum. Methods and Results: The seeds (NIBRGR0000135524) were exalbuminous, and their length and width were $4.54{\pm}0.032mm$ and $0.97{\pm}0.029mm$, respectively. Various germination temperatures were tested (15, 20, 25, and $30^{\circ}C$),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found to be $20^{\circ}C$ (31.3%). High temperature ($30^{\circ}C$) resulted in non-typical seedlings (thickened and crumpled cotyledons, with a restricted root system). To increase the germination capacity, $GA_3$ (200, 500, and $1,000mg/{\ell}$) or $KNO_3$ (20, 50, 100, 200, and $500mg/{\ell}$) solutions were used as pre-soaking solutions instead of water. The $GA_3$ treatments increas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but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with the $KNO_3$ treatments. Under the $50-200mg/{\ell}\;KNO_3$ treatments, the germination percentage exceeded 80% after 12 days, and $50mg/{\ell}\;KNO_3$ was notably effective (91.2% after 15 days). Conclusions: T. ohwianum seeds showed improved germination at low temperatures. The best method for germination was presoaking in $50mg/{\ell}\;KNO_3$ for 24 h, in the dark at $4^{\circ}C$, and then incubating the germinated seed at $20^{\circ}C$ for 15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