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echnical Survey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3초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설 부지조사를 위한 물리탐사 수행지침서 작성 사례 : 항공전자탐사와 탄성파 반사법탐사 중심으로 (Case of Geophysical Survey Guideline for Site Investigation of Spent Nuclear Fuel disposal: Focusing on airborne electromagnetic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

  • 공남영;김학수;문윤섭;한만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7권1호
    • /
    • pp.69-83
    • /
    • 2024
  •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 부지조사는 그 중요성과 특수성을 고려할 때, 터널, 교량 등과 같은 일반적인 지반조사와는 달리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계별 부지조사에 적용할 물리탐사 기법을 선정하고, 탐사방법별 물리탐사 수행지침서를 작성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물리탐사 수행지침서는 탐사계획, 자료획득, 자료처리 및 해석의 수행 절차와 고려사항 및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항공전자탐사와 탄성파 반사법탐사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MLP 기반의 서울시 3차원 지반공간모델링 연구 (MLP-based 3D Geotechnical Layer Mapping Using Borehole Database in Seoul, South Korea)

  • 지윤수;김한샘;이문교;조형익;선창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7-63
    • /
    • 2021
  • 최근 디지털 트윈 관점의 3차원 지하공간 지도의 수요 및 유관분야의 연계 활용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국단위의 지반조사 자료의 방대함과 이를 활용함에 있어 공간적/추계학적 기법 적용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신뢰도 높은 지역적 지반특성화 연구와 그에 따른 최적화 모델 제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3차원 지하공간의 공학적 지층분류를 위해 다층 퍼셉트론(MLP) 기반의 최적 학습모델을 구축하였다. 먼저, 서울지역에 분포하는 시추공별 층상구조 및 3차원 공간좌표를 표준화 서식에 따라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기계학습을 위한 결측치 보정, 정규화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하였다. MLP 모델의 파라미터 최적화와 정밀도 및 정확도 관련 모델 성능 평가를 통해 최적의 피팅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후 3차원 지반 공간레이어 구축을 위한 수치표고모델 기반 격자망을 구성하고, 단위격자별 MLP기반 예측모델 적용을 통한 층상구조를 결정하고 이를 가시화하였다. 구축된 3차원 지반모델은 범용적인 지구통계학적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결과 및 지질도의 표토층 성상과 비교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추조사 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rilling Investigation Information)

  • 김진환;백용;이종현;이규필;김우석
    • 지질공학
    • /
    • 제33권4호
    • /
    • pp.531-541
    • /
    • 2023
  • 4차 산업, AI 시대, 스마트건설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 데이터다. 토목 건설 분야의 기초 데이터는 지반조사로부터 시작된다. 시추조사를 포함한 지반조사 데이터 관리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유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는 각종 건설공사의 설계, 시공을 위해 수행하였던 시추조사 결과를 장기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범지구를 설정하고 시추조사 자료 중, 일부 지반설계정수를 이용하여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제작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범지구 경암 지층에 대한 마찰각과 투수계수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을 제작하였다.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은 지반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나 입력되는 초기 데이터가 부족하여 신뢰성 보완이 필요하다. 추가 연구를 통해 보다 완성된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필댐의 전기비저항 탐사시 전기매체에 의한 영향 분석 연구 (Interference effect by electric utilities 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of fill dam)

  • 김재홍;신동훈;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37-1040
    • /
    • 2009
  • Using much most electricity electric resistivity survey by nondestructiveness inquiry enforcement design of country base equipment business and facilities preservation administration dimension electric resistivity survey sends and cause much effects in survey believability by electricity medium of survey personality survey contiguity that grasp base special quality by potential difference flowing current artificially in base. Is item that enforce in most in-suite although when make electric resistivity survey until present, electricity medium or effect research by electricity origination was gone much. There is shortcoming that must be difficult to know correct underground utilities establishment state in-suite in this research and do comparison examination running parallel drilling investigation to heighten believability of electric resistivity survey. Did to dam that censure data that regulate grading from construction and is censure construction which can know correctly interior base situation comparatively to electricity medium of interior and electricity eruption won of contiguity and base condition (base rock).

  • PDF

효율적인 절토사면 관리를 위한 위험도 점수 활용에 관한 연구 (Use of the Risk Scor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ut Slopes)

  • 김진환;백용;구호본;박근보
    • 지질공학
    • /
    • 제22권2호
    • /
    • pp.223-231
    • /
    • 2012
  • 대한민국 국도변에는 수많은 절토사면이 분포하고 있으며 해마다 크고 작은 절토사면 붕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한정된 예산을 사용하여 수많은 절토사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험도가 높은 절토사면부터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절토사면에 대하여 위험도를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절토사면 현황조사 자료로부터 산출된 위험도 점수를 활용하여 절토사면 관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절토사면 현황조사는 정밀조사와는 달리, 기본적인 육안 조사를 통하여 절토사면에 대한 여러 가지 특징을 조사하는 것으로써 절토사면 유지관리의 기본이 되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현황조사 자료는 절토사면의 일반현황, 절토사면 특성, 조사자 소견으로 구성되며 조사된 자료로부터 절토사면의 위험도 점수를 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10,461개의 국도변 절토사면 현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도 점수를 계산하고 위험도 점수 활용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붕괴된 절토사면의 위험도 점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붕괴가 발생한 절토사면의 경우, 위험도 점수가 높은 구간에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황조사 자료로부터 산출한 위험도 점수로부터 잠재적으로 위험한 사면을 관리하는 것이 상당부분 신뢰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많은 수의 절토사면을 관리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roposed Survey Steps for Investigation of Land-Creeping Susceptibility Areas: A Focus on Geophysical Mapping of the Yongheung-dong, Pohang, Korea

  • Kim, Jeong-In;Lee, Sun-Joong;Kim, Kwan-Soo;Lee, Jae-Eun;Sa, Jin-Hyun;Kim, Ji-Soo
    • 지질공학
    • /
    • 제31권3호
    • /
    • pp.269-281
    • /
    • 2021
  • Land creeping is the imperceptibly slow, steady, downward movement o f slope-forming soil or rock. Because creep-related failures occur frequently on a large scale without notice, they can be hazardous to both property and human life. Korea Forest Service has operated the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from land creeping which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8. We categorized and proposed three survey steps (e.g., preliminary, regional, detailed) for investigation of creeping susceptibility site with a focus on geophysical mapping of a selected test site, Yongheung-dong, Pohang, Korea. The combination of geophysical (dipole-dipole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and reciprocal seismic refraction technique, well-logging), geotechnical studies (standard penetrating test, laboratory tests), field mapping (tension cracks, uplift, fault),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ir results provided the reliable information of the subsurface structures including the failure surface. To further investigate the subsurface structure including the sliding zone, we performed high-resolution geophysical mapping in addition to the regional survey. High-resolution seismic velocity structures are employed for stability analysis because they provided more simplified layers of weathering rock, soft rock, and hard rock. Curved slip plane of the land creeping is effectively delineated with a shape of downslope sliding and upward pushing at the apex of high resistive bedrock in high-resolution electrical resistivity model with clay-mineral contents taken into account. Proposed survey steps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schemes of the results from geological, geophysical, and geotechnical data should be effective for data sets collected in a similar environment to land-creeping susceptibility area.

석회 공동의 특성과 카르스트 지역 내 교량 기초를 위한 조사 설계 (Characteristics of Lime-cavities and Survey Design for Bridge Foundation in the Karst Area)

  • 윤운상;김학수;최원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9-406
    • /
    • 1999
  •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he several highway bridges in the karst area have encountered severe problems associated with cavities and sinkholes. To solve this problem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avities in the construction site on limestone area.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different types, the distribution control factors and the infill sediment types of lime-cavities in the study area, bridge site in the karst area and propose the effective method of survey design. Cavity system may be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1)'slot and cave system'and 2)'sinkhole and cave system'. And the shape, the siz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avity are controlled by three main factors - rock type, geological structure and ground water condition. Additionally, infill sediment may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foundation design and divided into four types by sediment properties. There are geophysical thechnics and geologic survey and drilling test, etc. by the survey method to interpretate characteristics of cavity system, and this methods are optimally designed at the site investigation stage.

  • PDF

시험탐사 결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탐사 분석 (Resistivity Protecting analysis due to test survey result)

  • 김재홍;홍원표;박철숙;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85-1289
    • /
    • 2008
  • Increasing the flood control capacity's link that is enforcing to existing dam by unusual change of weather, While build planing construction by exiting spillway of tunnel type to dam, could know that part bed rock is formed as is different with design. Grasped topography of research area and geology state to definite distribution aspect of different bed rock, Place that achieved Surface geological Survey and correct Survey is difficult in some section enforced Electrical resistivity dipole-dipole investigation. Grasped stratigraphy distribution confirmation and fracture or weathering zone making out siding 2D-Resistivity Electrical resistivity diagram and Reverse analysis diagram, examining closely soil weathered rock rock's distribution state, established stability countermeasure plan

  • PDF

하상토 부존량 조사를 위한 물리탐사 사례 연구 (Case Study of Geophysical Surveys for Investigating the Volume of Bed Sediments)

  • 윤종열;김진만;최봉혁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615-621
    • /
    • 2007
  • 하상토의 부존량을 경제적으로 파악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굴절법탄성파탐사를 상이한 토질의 2개소에 적용하였다. 대상지역은 용인시 월촌교 인근 제방 및 예천군 담암제이며 총 10측선의 굴절법탄성파탐사가 수행되었다. 아울러 역산된 탄성파단면상에서 지층을 구분하기 위해 2개의 시추조사가 병행되었다. 취득된 탐사자료를 역산하여 지층을 구분하고 고도 측량자료와 각 지점별 토사층 심도를 내삽한 결과 각각 $24,000m^3$$56,000m^3$로 하상토의 부존량 추정이 가능하였다.

하천제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Assessment of Levee Safety Using Electrical Surveys)

  • 윤종렬;김진만;최봉혁
    • 지구물리
    • /
    • 제8권2호
    • /
    • pp.53-61
    • /
    • 2005
  • 합천군 덕인2제를 대상으로 시트파일과 그라우팅 차수벽의 차수효과를 비교 판정하고 제방하부에서 발생하는 파이핑 현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갈수기와 우수기에 걸쳐 2차원 및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해석결과 2차원이나 3차원탐사 모두 시트 파일과 일반 그라우팅 차수벽의 경계부나 육안으로 관찰된 파이핑 발생지점을 비교적 정확하게 탐지하였다. 그러나, 보다 양호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전극의 접지상태를 향상시키고 가탐심도와 분해능을 고려한 적절한 탐사파라미터의 설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