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echnical Survey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초

부여지역 유적지 발굴을 위한 3차원 GPR 탐사 (Three dimensional GPR survey for the exploration of old remains at Buyeo area)

  • 김정호;손정술;이명종;임성근;조성준;정지민;박삼규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49-69
    • /
    • 2004
  • 문화재 발굴에 있어서 물리탐사의 중요한 역할중의 하나는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인 발굴을 위하여 지하 천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표 레이다 탐사(GPR)는 지하 천부의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고고학 탐사에 있어서 중요한 물리탐사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된다. 역사유물은 지질구조와는 달리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매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근본적으로 2차원 탐사보다는 3차원 탐사가, 그리고 측선탐사보다는 면적탐사의 개념을 동원하여 탐사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차원 GPR 탐사는 매우 조밀하게 측선을 설정하고 대단히 많은 자료를 획득하여야 가능하므로 넓은 지역의 조사에 항상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탐사방법을 고안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선 부여 가탑리 지역의 백제시대 유적지 발굴조사에 선행하여 3차원 GPR 탐사를 중심으로 한 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1차적인 목적은 지하 하부 구조에 대한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계획된 유적발굴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었다. 한편 고고학 발굴을 위한 효율적인 지하 영상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중 채널 안테나와 자동 측량 시스템을 채용한 GPR 자동연속탐사 시스템의 유적지발굴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함에 그 부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자료측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조사영역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자료를 취득하는 개념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탐사한 결과, 2일 간에 걸친 현장 탐사 결과로써 약 $17,000 m^2$에 걸친 지역에 대한 3차원 탐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산처리 결과 획득한 지하 영상으로부터 경작지, 수로, 인공 구조물 또는 유물 등의 존재를 알려주는 이상대들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사례를 통하여 3차원 GPR 탐사 또한 국부적인 이상대의 규명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고고학 조사에도 다른 물리탐사와 마찬가지로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3차원 GPR 탐사가 향후 국내의 문화재 조사에 표준화된 탐사과정 중의 하나로써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지반조사결과를 이용한 설계 및 시공상의 적용성 연구 (Adoptability of Engineering and Constructing Using Geotechnical Survey Data)

  • 김진원;장주원;곽정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8년도 지반조사위원회 봄 학술세미나
    • /
    • pp.1-19
    • /
    • 1998
  • 지반을 조사하여 설계하는 경우에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설계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지반조사가 철저하고 정밀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충분한 지반조사 자료가 제공되어야만 건실한 설계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부실 설계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다. 뜻하지 않은 붕괴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개 하기 위하여 지반조사 시행과정에서 지반조사 기준에 좀더 세부적으로 보완하였으면 하늘 부분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쓰레기 매립장 주변의 침출수 오염조사 사례: 전자탐사 및 자력탐사의 적용 (Cas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Leachate Contamination from Waste Landfill Using Electromagnetic and Magnetic Methods)

  • 손정술;김정호;이명종;고경석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2호
    • /
    • pp.137-144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생활쓰레기 매립장 주변에서 침출수로 인한 오염조사를 목적으로 전자탐사와 자력탐사법인 지구물리학적인 조사 기법과 지하수 시료 분석과 토양가스 탐사법을 수행하였다. 본격적인 지구화학적인 모니터링 이전에 매립장의 경계 및 침출수의 오염상황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탐사의 개념으로 탐사가 수행되었다. 전자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매립장 및 그 주변의 토양의 전기전도도 분포를 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침출수로 인한 오염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자력탐사의 기법을 통해서는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매립지의 경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전자탐사를 통해 확인된 침출수의 오염양상은 매립장 주변에 설치된 모니터링의 지하수 분석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력탐사를 통해 확인된 매립지의 경계는 토양가스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물리탐사 기법의 토양오염조사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구화학 탐사결과를 통해 그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토사면유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bankment Slope Management System)

  • 김승현;김홍균;이정엽;구호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749-758
    • /
    • 2010
  • Embankment Slope (or Fill Slope) is defined as artificial slope formed by the filling of soil or rocks on the original ground. Recently a lot of embankment failures and collapse has occurred due to the increase of torrential rainfall and typhoons. Embankment collapse has lead to a great loss of lives and proper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embankment slope management system that will handle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risky embankment slop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mbankment Slope Management Method" for embankment slopes located along national highways all over Korea. The method for field investigation of embankment slopes was recommended and the system for investment priority determination was also developed.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collapse of embankment slopes caused by natural calamities were also determined through the initial survey of embankment slopes located along river fronts and mountainous areas.

  • PDF

전기비저항 탐사시 지하매설물에 의한 간섭효과 연구 (Interference effect by underground utilities 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 김재홍;오병현;임은상;이종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61-965
    • /
    • 2009
  • Using much electric resistivity survey to design or preservation administration of facilities. However, By survey method th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grasps special quality in base by potential difference creating artificial current in underground, Is influenced in electric resistance propensitys of various underground utilities in base. This Study selects dam 1 place that could grasp well underground situation and studied electricity interference effect by effect of underground utilities. Grasp underground utilities of dam interior, and control and observed accuracy with survey wave because various pole space. Through this Study, wish to present survey method of electric resistivity survey at design or survey of preservation administration dimension after with drawn result.

  • PDF

호우로 인한 절개산지의 피해 조사 및 대책공법 -동아대 승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and Repair Methods for the Excavated Mountain Area damaged by Rainfall : At the Sunghak Campus, Dong-A University)

  • 정성교;김종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2호
    • /
    • pp.27-40
    • /
    • 1991
  •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산지를 굴착하여 약 10년 전부터 연차적으로 건설되어 왔다. 1989년 8월에 내린 200mm16ay이상의 집중호우로 인한 지하수 및 산사태로써 건물, 사면, 미로 등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이 피해의 원인조사 및 보완대책을 위하여 현황 및 50m 격자형 위치측량, 예비조사, 야외간이 측량법, 지구 물리학적 탐사법, 시추조사 및 흙의 특성시험 등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피해의 원인 및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수평배수공법, 위험한 노출암괴의 제거, 지하배수를 겸한 옹벽설치, 붕적층의 제거 및 격자형 블록에 의한 사면안정공법 등좌 보완대책이 수립되었다.

  • PDF

전도성 충적지반의 지질 및 하부 기반암 조사를 위한 지하레이다(GPR)의 적용 (Application of GPR Technology for Detecting Bedrock under Conductive Overburden and Geological Survey)

  • 윤운상;배성호;김병철;김학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5권2호
    • /
    • pp.114-122
    • /
    • 1995
  •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s of GPR(Ground Penetrating Radear) are familiar to engineering geologists and geophsicists as very attractive technique for continuous high resolution images of the subsurface. However, the main limitation of GPR is obviously related to presence of clayey or silty conductive soils, resulting in complete attenuation of radar signals. This difficulty gives hesitation for the exploration of the deeper targets for example detecting bedrock, particularly in Korean situation that most regions have conductive overburden. In order to prove usefulness of geological survey with GPR in that situation, the technique was tried to investigate depth of bedrock under thick conductive overburden and the other geolocgical informations for the constructionof foundation in the Dongbu apartment site, Kimhae. The reflection patterns on the processed GPR sections are well correlated with the geotechnical units-bedrock, alluvium, landfill unit and their internal layer-boundaries of boring data before GPR survey, except upper contact of bedrock. The isopach maps of the geotechnical units for the 3-D interpretations are made from GPR sections. The maps provided useful geological information that bedrock was distributed as plain and valley with 22~27m depth under alluvium unit (this depth is 5~8 m deeper than drill log) and sedimentary layers subsided and bended along growth fault with NNE strike/15$^{\circ}$SE dip in alluvium un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