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echnical Information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6초

대도시 서울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지역적 예측을 위한 GIS 기반의 공간 구역화 (GIS-based Spatial Zonations for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in Seoul Metropolis)

  • 선창국;천성호;정충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C호
    • /
    • pp.65-76
    • /
    • 2010
  • 최근 지진 발생 사례들에서는 암반보다는 대부분 토사 퇴적층으로 구성된 부지에서의 심각한 지진 피해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지진지반 운동의 증폭을 야기하는 부지 효과가 기반암 위 토사의 공간적 분포 및 동적 특성에 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자료에 관한 통합적 GIS 기반의 정보 시스템을 국내 대표적 대도시 지역인 서울에서의 지진 운동에 대한 지역적 종합 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구축하였다. 서울 지역에 대한 GIS 기반 지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영역 및 인근에 대한 기존 지반 조사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 졌고 지표 지반-지식 자료의 확보를 위한 부지 방문 조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관심 대상 영역의 부지 효과 평가를 위한 지반 정보 시스템의 실질적 적용 목적으로, 지반지진공학적 변수인 기반암 심도 및 부지 주기에 관한 지진재해 구역 지도를 작성하고 지진 유발 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종합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 지역 내 임의 부지 및 하위 행정 단위에서의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부지 증폭계수의 결정 수단으로 부지 분류의 지진재해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서울 지역에서의 지진재해 구역화 사례 연구로부터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의 대도시에 대한 지진재해의 지역적 예측 뿐만 아니라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천 송도지역 지반정수의 확률분포 추정 (Probability Distribution of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ngdo area in Incheon)

  • 김동휘;김민태;고성권;박정규;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399-1406
    • /
    • 2009
  • Probability distribution of geotechnical properties is very useful information and it is used for evaluating the geotechnical properties itself and calculating probability of failure. In this study,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ompression index, recompression index, and void ratio are evaluated, and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property distributions satisfy normal and log-normal distribution.

  • PDF

온톨로지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하공간 정보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with Cluster Analysis and Ontology Model)

  • 이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0-180
    • /
    • 2010
  • 지하공간 개발의 증가에 따라 지층단면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지하공간 정보모델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반은 근본적으로 불확실하며, 이를 표현하는 정보모델도 자료부족, 해석표준 부재 등의 비통계적 요인과 외부환경 변수라는 통계적 요인으로 불확실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재의 모델 생성은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반공학 전문가의 경험과 지식에서 시맨틱을 추출하고, 이를 온톨로지 모델과 정보량으로 정량화하였다. 정량화한 온톨로지 모델은 군집분석의 클러스터간 거리계산에 적용하여 시맨틱을 고려한 군집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제안 방법을 실험지역에 적용한 결과 기존 K-Means 방법에 비해 전문가의 해석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수작업으로는 어려운 대용량 데이터를 손쉽게 처리하고 3차원 GIS로 가시화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반공학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그 경험을 고려하면서 대량의 지반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신뢰성 있는 지하공간 정보모델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Case History Applications of Reliability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Lessons Learned and Future Opportunities

  • Gilbert, R.B.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3-20
    • /
    • 2006
  • The following lessons have been learned from the application of reliability methods in the practice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 Establishing Goals Is Important; 2. Mitigating Consequences Can Be Effective; 3. Performance Depends on Systems; 4. Physical Factors Are Important in Statistical Models; 5. Too Much and Too Little Conservatism Are Both Problems; 6. Value of Information Depends on Decision Making; and 7. Effective Communication Is Essential. While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of reliability methods in the future is unlimited, there are major needs related to each of these lessons that will have to be addressed in order to realize this potential.

  • PDF

해상 지반조사 분야의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 of Offshore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s)

  • 조성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639-653
    • /
    • 2007
  • Offshore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 of the seabed ground has been a key factor of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various types of offshore structures like as sea-crossing bridges, submerged tunnels, and other marine facilities. Offshore investigations are not easy tasks because of the wave, wind, tidal ebb and flows, and others. Recent developments of offshore equipment including platforms and testing devices like as maine cone penetrator have inspired us to get more reliable characteristics of the seafloor. General information on the offshore site investigations and technical trends concerned are introduced.

  • PDF

지반상태를 고려한 구조물 성능 평가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nsidering Geotechnical Conditions)

  • 양태선;이규환;김제경;김병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73-976
    • /
    • 2009
  • This paper shows that the method of validation on performance-based design is studied on geotechnical conditions. In the design of structure foundation are studied the evaluation items on this matter.

  • PDF

구조물의 성능기준 평가 현황에 관한 연구 (Study on Evaluation Status of Performance Guideline in the Structures)

  • 양태선;구재동;김제경;이송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39-1243
    • /
    • 2008
  • On the Performance-based Design guideline techniques, many studies were not execued. Especially, some structures were studied on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based design. Geotechnical foundation on the structures are investigated in domestic and other countries.

  • PDF

지자체 지진방재 대책을 위한 지질과 지반정보관리 정책 제언 (Policy Suggestions for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in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Measures by Local Governments)

  • 임현지;송철우;하상민;김민철;손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6-187
    • /
    • 2022
  • 최근 들어 한반도에 중규모의 지진이 연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진방재 대책을 새로이 마련하고 있다. 지진재해 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보는 지질과 지반정보로 여러 관계기관에서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DB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러한 정보들을 지자체의 지진방재 대책 수립에 이용하고자 할 때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지질정보의 경우, 소축척 지질도는 개략적으로 표현이 되어 세부적인 특징을 보여주기가 어렵고, 대축척 지질도는 도폭 간의 경계에서 암상이 불일치하거나 구조선의 연장이 불분명하다. 지반정보의 경우, 디지털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장된 정보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진방재 대책의 기초단위인 지방자치단체 단계에서의 지질·지반정보관리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미 생산되었거나 생산될 지질정보와 지반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산학연 기술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많은 지질과 지반정보가 축적될 수 있도록 자치법규 제정 및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지질·지반정보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전문가시스템 도입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효율적인 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전담부서 신설과 예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시추조사 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rilling Investigation Information)

  • 김진환;백용;이종현;이규필;김우석
    • 지질공학
    • /
    • 제33권4호
    • /
    • pp.531-541
    • /
    • 2023
  • 4차 산업, AI 시대, 스마트건설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 데이터다. 토목 건설 분야의 기초 데이터는 지반조사로부터 시작된다. 시추조사를 포함한 지반조사 데이터 관리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유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는 각종 건설공사의 설계, 시공을 위해 수행하였던 시추조사 결과를 장기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범지구를 설정하고 시추조사 자료 중, 일부 지반설계정수를 이용하여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제작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범지구 경암 지층에 대한 마찰각과 투수계수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을 제작하였다.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은 지반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나 입력되는 초기 데이터가 부족하여 신뢰성 보완이 필요하다. 추가 연구를 통해 보다 완성된 지반설계정수 디지털 맵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보간 대상 및 지반정보에 따른 액상화 재해도 비교 (Comparison of Liquefactive Hazard Map Regarding with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Target)

  • 송성완;황범식;조완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5-15
    • /
    • 2022
  • 지난 2017년 포항 지진에 의해 액상화가 관측됨에 따라 액상화 피해를 예측하는 연구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반이 전단 강도를 상실하는 현상을 말하며 상부 구조물이 가라앉는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써 액상화 가능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활용하여 액상화 피해 규모를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국내의 연구 사례 또한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간보간 대상에 따른 액상화 재해도 및 액상화 가능지수를 결정하는 지반정보에 따른 액상화 재해도를 작성하고 각 재해도의 정밀도를 비교하여 액상화 재해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간보간의 대상을 LPI 결정에 활용되는 지반정보로 하는 것이 LPI값 자체를 공간보간 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정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