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ynthetic-soil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초

Response of rigid footing on reinforced granular fill over soft soil

  • Ramu, K.;Madhav, Madhira 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권4호
    • /
    • pp.281-302
    • /
    • 2010
  • An extended model for the response of a rigid footing on a reinforced foundation bed on super soft soil is proposed by incorporating the rough membrane element into the granular bed. The super soft soil, the granular bed and the reinforcement are modeled as non-linear Winkler springs, non-linear Pasternak layer and rough membrane respectively. The hyperbolic stress-displacement response of the super soft soil and the hyperbolic shear stress-shear strain response of the granular fill are considered. The finite deformation theory is used since large settlements are expected to develop due to deformation of the super-soft soil. Parametric studies quantify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n the stress-settlement response of the reinforced foundation bed, the settlement and tension profiles.

상재하중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변위 (Wall Displacement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with Different Surcharge Loads - Model Test)

  • 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4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 상부에 재하된 상재하중 및 보강재 종류의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 변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은 높이${\times}$길이${\times}$폭이 $100cm{\times}140cm{\times}100cm$인 모형토조 내에 축조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시 뒤채움흙으로는 통일분류법상 SM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고, 보강재로는 인장강도 특성이 다른 3종류의 토목섬유(지오네트 한 종류 및 지오그리드 두 종류)를 사용하여 총 7종류의 모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후 상재하중 재하에 따른 벽체 변위를 LVD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최대 수평변위는 벽체 저면에서부터 0.7H지점에서 발생하고, 그 크기는 보강재의 인장강도가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재하중이 증가할수록 토목섬유 보강으로 인한 벽체변위의 감소율은 감소하였다.

  • PDF

역경사형 토목섬유 보강토 구조물에 탄소성 모델의 적용 (An Application of Elasto-Plastic Model to Overhanging Geosynthetic-Reinforced Soil Structure)

  • 김은라;;김유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3-12
    • /
    • 2004
  • 본 연구는 토목섬유 보강토 구조물의 보강 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보강 메카니즘은 전단에 의한 다짐토의 체적 팽창(부의 다일러턴시)을 토목섬유에 의해 구속 억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효과로 간주하고 있다. 실물 현장시험은 일본 Kanazawa(1994)에서 실시했으며, 실내시험으로는 등체적 전단시험을 실시하여 강도 및 변형특성을 조사하였고,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에 필요한 재료 파라메타를 결정하였다. 또한, 탄소성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여 이론치와 실험 결과치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유한요소 해석이 현장 시험을 유용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띠형 섬유보강재의 폭과 설치간격에 따른 변형률 분포 및 인발강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Strain Distribution and Pullout Strength based on Width and Horizontal Spacing of Geosynthetic Strip)

  • 이광우;조삼덕;한중근;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9-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적용이 가능한 띠형 섬유보강재에 대하여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지반 내에 포설된 보강재의 인장변형 및 유발인발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면적법과 유효면적법을 이용한 인발강도를 평가하였다. 최대인발력은 보강재 폭 및 수직응력 조건에 관계없이 끝단 인발변위가 15mm 이내에서 발현되었다. 그리고 보강재의 설치간격과 관계없이 인발력과 끝단 인발변위 관계에 의한 인발거동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발에 의한 변형은 보강재의 폭과 관계없이 선단부에 집중되어 선단부분에서 큰 인발력이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직응력 조건에 따른 마찰저항 보강재의 결속력이 인발저항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띠형 섬유보강재는 인장특성이 고려된 유효길이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보다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earing capacity of geotextile-reinforced sand with varying fine fraction

  • Deb, Kousik;Konai, Sank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33-45
    • /
    • 2014
  • Use of geotextile as reinforcement material to improve the weak soil is a popular method these days.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and the soil-geotextile interaction are the major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soil. Change in fine content within the sand can change the interface behavior between soil and geotextile. In the present paper, the bearing capacity of unreinforced and geotextile-reinforced san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fines has been studied. A series of model test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load settlement curves are obtained. The ultimate load carrying capacity of unreinforced and reinforced san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fines is compared. The interface behavior of sand and geotextile with various percentages of fines is also studied. It is observed that sand having around 5% of fine is suitable or permissible for bearing capacity improvem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reinforcement in load carrying capacity improvement decreases due to the addition of excessive amount of fines.

화학적 영향을 고려한 토목섬유-지반 접촉면의 동적상대변위 (Dynamic Relative Displacement of Geosynthetic-Soil Interface Considering Chemical Effect)

  • 곽창원;오명학;장동인;박인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1호
    • /
    • pp.73-81
    • /
    • 2016
  • 최근 늘어나고 있는 폐기물량에 따라 해상 폐기물 매립장의 건설이 연구되고 있으며, 매립장 내 폐기물의 보강 및 보호 목적으로 토목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목섬유는 흙과의 접촉면을 형성하는데 지진시 접촉면에서의 동적 전단 거동이 폐기물 매립장의 지진시 거동 및 안정성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접촉면 동적 전단거동 및 동적상대변위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접촉면 거동은 주위 환경 및 하중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응답을 보이므로 이론적 접근이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 내의 산성 및 염기성과 같은 성분이 반복 전단하중 상태에서 지반-토목섬유 접촉면의 동적 상대변위특성에 대하여 실내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적 접촉면 전단 시험기를 이용하여 산성 및 염기성 용액에 840일 장기수침 시료와 60일 단기수침시료에 대하여 반복 단순전단 시험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산성 및 염기성 조건 공통적으로 산성일 경우 접촉면의 상대변위가 가장 큰 값을 나타내어 접촉면 손상 정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시험에 의한 점성토 보강토벽의 거동분석 (Analgesis of Clearly Reinforced Soil Wall Behavior by Model Test)

  • 이용안;이재열;김유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토목섬유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5-94
    • /
    • 1999
  • Reinforced Soil Wall has several merits comparing with conventional retaining wall. The conventional method has the limit of wall height, ununiform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ground, quality assurance of the embankment body, shortening of construction period, economical construction and so on. Basis of previous mentioned things reinforced soil wall is the substitutional method of conventional retaining wall and its necess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embanking material used in reinforced soil wall is generally limited such as a good quality sandy soil, and in many case constructors have to transfer such a good embanking material from far away to construction site. As a result, they would pressed by time and economy. If poor soils could be used embanking material, for example, clayey soil produced in-situ by cutting and excavation, the economical merit of reinforced soil wall would be increased more and more. Likewise, a lot of study about laboratory experimental behavior of reinforced soil wall using a good quality soil is being performed, but is rare study about clayey soil containing much volume of fine particle relatively in korea.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behavior of the geosynthetic reinforced and unreinforced soil walls using clayey soil as embanking material in view of horizontal movement of walls, bearing capacity and reinforcement stress.

  • PDF

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의 휴믹물질에 의한 토목합성수지 점토라이너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geosynthetic clay liners(GCL) with humic substances of leachate on the landfill.)

  • 한영수;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1호
    • /
    • pp.33-40
    • /
    • 2002
  • 폐기물 매립장에서 자연점토의 대체물질로서 사용되는 토목합성수지 점토라이너(GCL : Geosynthetic Clay Liner)는 차수능이 우수한 반면, 투수되는 용액의 성상에 따라 투수계수가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GCL에서 차수능을 담당하는 벤토나이트는 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내의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 그 특성이 변할 수 있는데, 특히 침출수의 휴믹물질과 벤토나이트 입자 상호간의 영향에 의하여 수리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년령이 오래된 매립지 (O-매립지)와 신생매립지 (Y-매립지)의 침출수에 대하여 휴믹물질이 매립지의 차수재로 사용되는 GCL의 투수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휴믹물질이 GCL의 수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매립지 및 Y-매립지의 침출수로부터 추출 정제한 휴믹산과 펄빅산에 대하여 GCL내부의 벤토나이트의 스웰링 시험과 GCL의 수리학적 전도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스웰링 시험을 통해 휴믹물질의 농도와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벤토나이트의 스웰링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휴믹물질은 GCL의 수리학적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리학적 전도도 실험결과, 침출수 및 침출수 내 휴믹물질은 GCL의 수리학적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O-매립지의 침출수 및 휴믹물질은 Y-매립지의 침출수 및 휴믹물질보다 GCL의 투수계수를 큰 폭으로 증가시켰다.

철도구조물 적용을 위한 보강토옹벽 벽체시스템과 단계시공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acing System and Staged Construction Procedures in GRS Walls for Application in Railroad Structures)

  • 원명수;권오현;김영신;방윤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359-366
    • /
    • 2009
  • The present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effect of facing system and staged construction in GRS (geosynethetic reinforced soil) walls for railway structures throughout various case analyses. The result shows that postconstruction facing system by staged construction procedures is more advantageous for railway structure construction than preconstruction and simultaneous construction facing system with reinforced soil.

  • PDF

Variation of Pull-out Resistance of Geogrid with Degree of Saturation of Soil

  • Yoo, Chungsik;ALI, TABISH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degree of saturation of soil on the pullout behavior of a geogrid. Different test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while performing the experiment including the soil physical conditions based on water content and external loading applied. The soil used was locally available weathered granite soil. The tests included variations in saturation of about 90%, 80%, 70% and 45% (optimum moisture content). The pullout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ASTM standard D 6706-01.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in the soil decreases the pull-out capacity, which in turn decreases the interface friction angle and interaction coefficient. The decrease in the pullout interface coefficient was observed to be around 12.50% to 33.33% depending on the normal load and degree of saturation of the soil. Th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e detrimental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within the reinforce soil on the pullout behavior of reinforcement, thus on the internal stability. The practical inferences of the outcomes are analyz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