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31초

광역시 GIS의 구축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Direction of the Metropolitan Cites' GIS)

  • 오종우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5-2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s 7 metropolitan cites on the urban facility data rather than application systems including water, sewer, and roads and to present the best way to reconfigure of the geospatial data in Korea. Data were mainly compiled from the 2nd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95-00) because the GIS data of this study is relatively important to generate favorable results due to their data precisely examinate by the 1st NGIS evaluated results. In results, GIS data and invested budge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not only covered 25 distracted areas of the fields, but also were overwhelming other six metropolitan government invested budget. Relatively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had least invested budget resulted in Jess geospatial data than others. In particularly there were serious geospatial data error occurred even though geospatial data of the urban infrastructures like water, sewer, and roads includ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like elec., comm., heat, oil pipes, and gas were facilitated with human habitants, gas and elec. had very high error data nearly two times high than the permitted error in 30cm. Therefore, this paper exhibited a LiDAR technology to regenerate high accuracy geospatial data of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because of the new technology's extremely accuracy in 20cm in horizontal scale in fields.

  • PDF

Urban sprawl and its impact on the land cover-a geospatial study

  • Jayakumar, S.;Enkhbaatar, Lkhagva;Heo, Joo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3-78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urban sprawl in a historical city of India using series of satellite data between 1968 and 2005(37 years) and GIS. The total area of the Tiruchirappalli city was 1991.96 ha during 1968 and it was expanded into 4335.98 ha(117.67%) during 2005. The average growth rate per year was 63.35 ha. This 117.67% growth was at the cost of agriculture land(97.81%) and water body(2.19%). The satellit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good source of information for this kind of analysi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his city expansion on agriculture yield and ground water.

  • PDF

기반시설 관점에서의 u-City 기술 분류에 대한 연구 (A Technology Classification Scheme of u-City Technology from Infrastructural point of view)

  • 임시영;조춘만;박주희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2-4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Eco City 건설을 위한 u-City 기술 연구의 첫걸음으로서 기반시설 관점에서 u-City기술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u-City를 구현할 때 기반시설에 u-City기술을 접목함으로써 u-City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즉,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언급하고 있는 u-기반시설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술을 분류함으로써 서비스-기술-기반시설의 연계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하는 u-City 기술의 분류는 u-City기술의 범위를 정하고, 추후 기술개발의 전략적 목표 설정 및 기술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국가 지리공간 정보 유통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ndation of the Infrastructure for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Distribution)

  • 최재훈;정난수;김영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63-80
    • /
    • 1999
  •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는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지리정보의 유용성에 눈을 뜨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인간의 정주환경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GIS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정보개념의 확산과 더불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적용이 가능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모델을 제시하였다.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국내외의 공간정보 유통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공간정보유통모델의 방향성을 도출하고, 다음으로 공간정보유통의 기반이 되는 요소들을 제도적인 측면과 기술적, 물리적, 그리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기반현황의 변화에 맞추어 우리나라에 적용이 가능한 단계적인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모델을 제안하였다. 국가공간정보유통모델은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자와 공급자 그리고 공간정보유통기구와 공간정보목록관리소로 구성되며, 공간정보의 관리형태에 따라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구성요소들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하였으며 분류한 모델들의 비교결과 및 제도, 프로토콜 초고속정보통신망, 전자상거래등의 발전방향과 병행하여 도입기, 확산기, 안정기의 단계별 유통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 연구 -캄보디아와 아부다비 에미리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Abroad Export Strategy by Country of Spatial Open Platform -Focused on the Kingdom of Cambodia and the Emirate of Abu Dhabi-)

  • 김걸;정진도;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9-21
    • /
    • 2014
  • 공간정보 환경이 최근 플랫폼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 인프라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와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공간정보 인프라 현황을 구성요소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캄보디아는 해외 원조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이며,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풍부한 오일머니의 자금력으로 해외 선진기술과 고급 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신흥선진국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국가별 공간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모델과 아부다비 모델이라는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수출 방식과 해외 진출 전략 및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마이닝을 위한 정밀 광산공간정보 구축 및 광체 모델링 (Construction of Precise Mine Geospatial Information and Ore Modeling for Smart Mining)

  • 박준규;정갑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25-731
    • /
    • 2020
  • 광물자원 개발에서 자원탐사는 지표와 지하에 있는 경제성 있는 광물을 찾아내는 작업으로 개발, 생산단계에 비해 성공률이 낮은 실정이며, 탐사를 통해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광산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여 X, Y 및 Z 방향으로 최대 0.140m와 평균 0.095m의 편차를 얻어 3D 레이저스캐너를 통한 광산공간정보 구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자원탐사 결과를 이용해 광체구간에 보간법을 적용하여 광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광체 모델링 결과는 3D 레이저스캐너를 통해 구축된 광산공간정보의 모델링 결과와 중첩하여 정밀 광산공간정보 기반의 광체 모델링 결과를 구축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구축된 광산공간정보 기반의 광체 모델링 결과는 자료해석의 용이성과 산출자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향후 광물자원 개발과 광해방지 분야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3차원 건물데이터 포맷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3D Building Data Format for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 김현덕;강지훈;김학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7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서는 국가공간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픈플랫폼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정보 데이터가 상이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매끄럽게 연결된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이 최근 서비스 환경의 변화와 신기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픈플랫폼 3차원 데이터의 서비스 향상 및 상호운영성 확보를 위하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포맷은 기존 포맷과 비교하여 경량화되었고 렌더링 속도가 개선되었다.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 김병선;안종욱;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18
    • /
    • 2014
  • 본 연구는 공간정보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ngle Point Access 플랫폼 연계 모델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중심의 플랫폼 정부 구현,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 및 국가 정보화 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리공간 웹 서비스 기반의 기준점 자동추출 기법 연구 (Automatic Extraction Method of Control Point Based on Geospatial Web Service)

  • 이영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2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웹 서비스 기반의 기준점 자동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3단계로 구성된다. 1)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리공간 웹 서비스를 통해 대상영상의 촬영지역에 해당하는 기준자료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2) 두 번째 단계에서는 획득된 기준자료와 대상영상에 SUR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후보 기준점을 찾는다. 3) 마지막 단계에서는 RANSA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후보 기준점 중 정 정합점을 최종 기준점으로 산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준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지리공간 웹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은 기준영상과 고도자료의 관리 및 획득 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 시켰고,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높은 확장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을 SPOT-1, SPOT-5, IKONOS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지역에 적용한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대상영상의 촬영센서, 촬영일자, 해상도 변화에도 RMSE 5화소 미만의 일관된 정확도를 산출하였고, 대상영상의 해상도가 좋아짐에 따라 정확도의 지속적인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준영상과 고도자료로 군 표준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의 군사적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집합장소의 시민서비스 고도화 방안 : 지리공간 웹 기반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Strategic Plan for Improvement of Citizen Service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n Public Area: Geospatial Web based Service)

  • 강영옥;김희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79-99
    • /
    • 2008
  • 유비쿼터스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기업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집합장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 지면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은 보편적 지도위에 참여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모델이 구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지도의 구축, 디지털 지도기반의 컨텐츠 제작, 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시설 설치, 그리고 컨텐츠 확보를 위한 기존 홈페이지의 웹 표준화 및 자료정비, 기존자료를 인터넷지도와 연계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고도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향후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기술적 관점 뿐 아니라 그 장소를 활용하는 시민, 기업, 공공부분의 특성과 이들이 요구하는 수요에 기반 하는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반에는 지리공간 웹이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