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3초

지능형 상하수도 센서설치를 위한 연구방법론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Installment of Ubiquitous Censors for Water and Sewer Management)

  • 김정훈;조춘만;한재일;이미숙;오효경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209-216
    • /
    • 2008
  •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로 도시 지하시설물 지능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유비쿼터스 국토' 실현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다양한 기관에서 지능화된 시설물 관리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U-City 사업을 통하여 센서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의 대부분이 지상 시설에 대한 분야로 한정되어, 지상시설의 센서네트워크 기술은 다양한 응용분야로 발전하고 있으나 지하 환경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센서네트워크 기술은 아직 활용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지능형 상하수도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센서 설치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립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지능화(또는 유비쿼터스화)의 개념, 둘째, 상하수도 시설물 지능화의 필요성, 셋째, 시설물 지능화를 위한 센서설치의 역할 및 중요성, 넷째, u-City 구현을 위한 3대 영역(즉, 물리영역, 비물리영역, 정보통신영역)의 융합개념을 적용한 지능형 상하수도의 개념정립, 다섯째, 이상의 기반을 바탕으로 상하수도 지능화를 위한 센서설치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물리영역(즉, 물리적 제한요소들), 비물리영역(실수요기반 시설물 지능화의 필요성) 그리고 정보통신영역(즉, 정보통신 관련 핵심기술 및 보조기술)의 상호융합에 의한 지능형 상하수도 관리를 위한 센서설치방안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ystem Comparisons for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Services

  • Lee, Eun-Kyu;Kim, Mi-Jeong;Oh, Byoung-Woo;Jang, Byung-T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19-221
    • /
    • 2003
  • With regarding to web GIS, OGC promotes WFS allowing a client to retrieve geospatial data encoded in GML which is a modeling language to encode the semantics, syntax and schema of geospatial information resources. Even though GML provides benefits for geographic description, it is too heavy to be processed by mobile devices.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this paper evaluates GML service with WFS server and GML viewers. Through this paper, we get analyses of properties of GML geospatial data and the effects on wireless devices, which are expected to be fundamental materials onto a design of mobile applications.

  • PDF

하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벡터데이터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 Vector Data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River-Geospatial Information)

  • 신형진;채효석;이을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4-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표준벡터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위해 강정고령보 및 창녕합천보유역의 RIMGIS 벡터자료를 대상으로 모형에 적용하여 표준벡터데이터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공간자료 표준화 단체(OGC)의 표준을 조사 분석하고 표준을 준용하여 하천공간 데이터모델의 규격을 정립하였다. 데이터 속성 및 관계등에 대한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ERD를 설계하였다. 개발된 GDM에 RIMGIS의 벡터자료인 점, 선, 면 자료에 대한 검증을 레이어 별 자료에 대해 비교하고 각 자료에 대한 기본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정밀 전수 비교하였다. 변환시 오류는 0%로 모델의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천공간정보 표준데이터모델은 여러 연구자와 기관들에 의해 수집된 대량의 데이터 세트의 통합 분석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하천공간자료의 검색을 위해 일관성 있는 형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형공간정보 기반의 침투위험도 예측 모델을 이용한 최적침투지역 분석 (Analysis of Infiltration Area using Prediction Model of Infiltration Risk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신내호;오명호;최호림;정동윤;이용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A simple and effective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for predicting the best infiltration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numerical estimation barometer for degree of infiltration risk has been derived. The dominant geospatial features influencing infiltration risk have been found to be area altitud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lative direction of surface gradient to the surveillance lin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petition, regional forest information. Each feature has been numerically expresse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infiltration risk of that area. Four different detection probability maps of infiltration risk for the surveillance area are drawn on the actual map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ly expressed five dominant factors of infiltration risks. By combining the four detection probability maps, the complete picture of thr best infiltration area has been drawn. By using the map and the analytic method the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operation can be improved.

Traffic Emission Modelling Using LiDAR Derived Parameters and Integrated Geospatial Model

  • Azeez, Omer Saud;Pradhan, Biswajeet;Jena, Ratiranjan;Jung, Hyung-Sup;Ahmed, Ahmed Abdulkaree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7-149
    • /
    • 2019
  • Traffic emissions are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cities and respiratory problems amongst people.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based on an integration of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algorith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map traffic carbon monoxide (CO) concentrations and produce prediction maps from micro level to macro level at a particular time gap in a day in a very densely populated area (Utara-Selatan Expressway-NKVE, Kuala Lumpur, Malaysia). The proposed model comprised two models: the first model was implemented to estimate traffic CO concentrations using the SVR model, and the second model was applied to create prediction maps at different times a day using the GIS approach. The parameters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field survey and remote sensing data sources such as very-high-resolution aerial photos an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point clou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7, the mean absolute error was 1.401 ppm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2.45 ppm. The proposed model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as decision-making tools to find a suitable solution for mitigating traffic jams near tollgates, highways and road networks.

Geospatial Data Catalogue Service ; Status and Issues

  • Chang, Eun-Mi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463-468
    • /
    • 2009
  • 공간정보의 상호운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표준 및 개방형지리정보 표준협회에서 만든 표준이 널리 적용되어왔으며, 카탈로그 서비스에 대한 부분 역시 그러하였다. 국가지리정보유통망 서비스와 캐나다의 GeoConnection서비스 및 기타 다양한 공간정보의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를 분류하고 그곳에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 현황을 조사하였다. 실제 필수메타데이터는 잘 준용되고 있으나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프로세스 등은 미약하였으며, 검색을 위한 기준과 메타데이터가 100% 일치하지는 않았다. 지적재산권보호기술과 카탈로그의 기술적 통합 등 이슈가 되는 주변기술과의 결합가능성을 테이블을 작성하여 구현 방안을 검토하였다. 서비스 카탈로그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받은 국가의 공간정보 카탈로그 서비스는 없었다. 서비스되는 공간정보가 종류가 많고 다양해지고 쌍방향 정보가 되는 과정에서 메타데이터를 사용자가 편하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방법 및 기타 보안관련 사항 등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 PDF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A Study on Geo-Data Appliance for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f Public Open Data)

  • 연성현;김현덕;이인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71-85
    • /
    • 2015
  •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연구교육용 공간정보기술 통합플랫폼 개발 및 활용방안 (A Study on the Deveslopment and Utilization of GEospatial Platform Service for the Research and Education)

  • 한선희;김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49-4558
    • /
    • 2015
  • 최근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및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산공간정보기술의 확대 발전을 위해 연구교육용 공간정보기술 통합플랫폼(GEEPS)을 개발했다. GEEPS를 개발한 목적은 대학(원) 및 연구기관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SW와 공간정보기술 R&D 성과물을 융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결합한 SW를 개발하고, GEEPS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GEEPS 활용 모니터링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활성화방안을 마련하였다. GEEPS 활성화를 위해 개발자 및 교수, 문화 관광분야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정밀한 의견조사를 수행하여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방문교육을 활성화하여 기관별 맞춤형교육을 수행하며, 참여마당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향후에 GEEPS를 공간지식플랫폼과 결합하거나 오픈소스 GIS 조합이 관리 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범죄공간정보 위치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Mapping and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 이준석;황철수;김태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39-150
    • /
    • 2014
  • 최근 강력 범죄의 증가는 중요한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범죄 예방은 단순한 치안 유지만이 아니라, 국민 복지의 문제로 살펴야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범죄공간정보의 특성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를 사용한 시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시범지역의 범죄공간정보 DB 링크시스템 및 분석 데이터를 주제도 이미지 지도 위에 Mesh-Up으로 표출한 우범지역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순찰차 CCTV 최적 배치 등의 가상 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시하였다.

GIS 웹 서비스에서 SOA를 위한 공간정보 레지스트리 적용 전략 (Application Strategies of Geospatial Service Registry for SOA in GIS Web Services)

  • 하수욱;박종민;남광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21-128
    • /
    • 2010
  • 이 논문은 효율적인 GIS 웹 서비스에서 GIS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활용 모델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와 웹 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SOA 서비스의 핵심 컴포넌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 레지스트리의 활용 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실제적인 GIS 웹 서비스의 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 웹서비스에서의 서비스 참여 주제를 규정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GIS 웹 서비스 모델을 분류한다. 또한, 각각의 분류된 모델유형에 대해 GIS웹서비스 레지스트리로서 참조되고 고려되어야 하는 특성들을 도출하여 가능한 분석관점도 함께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