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undo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9초

A Newly Recorded Sea Urchin (Echinoidea: Spatangoida: Spatangidae) from Geomundo Island, Korea

  • 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4호
    • /
    • pp.308-311
    • /
    • 2013
  • A sea urchin was collected from Geomundo Island of Jeollanam-do, Korea on July 3, 2009. This specimen was classified as Spatangus luetkeni A. Agassiz 1872 belonging to the family Spatangidae of order Spatangoid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genus and species are newly recorded in Korea. It is distinct morphological characters that test is thick and strong, six to eight primary tubercles are in 1 and 4 interambulacra, sternum is equipped with little keel, and color in alcohol is dark violet. This species inhabits tropical waters and usually distributes over the West Pacific from southern Japan to New Zealand.

한국 서남해역 무안, 진도와 거문도의 춘계 해조식생 (A Spring Marine Algal Vegetation in the Muan, Jindo and Geomundo Coast, Western South Sea of Korea)

  • 임수연;강만구;이창혁;김성주;신종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612-625
    • /
    • 2017
  • To grasp the algal vegetation using the occurred species number, biomass and dominant speci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subtidal zone of Muan-gun, in the intertidal zone of Jindo-gun and in the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Geomundo, the south-eastern coast of Jeollanamdo, Korea in the spring 2014. The total occurred species was 140 ones including 10 chlorophytes(7.14%), 54 phaeophytes(38.57%) and 76 rhodophytes(54.29%); the biomass was $70,484g{\cdot}w{\cdot}w/m^2$ in total. The flora charateristic using R/P ratio,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of algae, at the Station 9-1(intertidal zone) in Geomundo was tropical; the flora at the Station 6 (Maengseong-ri, Sanjodo, Jindo-gun) and the Station 9-2(subtidal zone) in Geomundo were mixed; the others were arctic to temperate. The physiognomic types were also shown. Each species was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form groups, and two ecological state groups(ESG) were evaluated based on these groups. The coarsely branched-group of functional-form groups was 44% of total occurred species. The ESG II in all study sites was high, and this is maybe due to the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pollution and disturbance, etc.

우리나라 거문도 연안에서 채집된 양쥐돔과 한국첫기록종, Acanthurus xanthopterus (First Record of the Yellowfin Surgeonfish, Acanthurus xanthopterus (Perciformes: Acanthuridae) from Geomundo Island, Korea)

  • 조현근;최 윤;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4-200
    • /
    • 2023
  • 우리나라 거문도 연안에서 채집된 양쥐돔과 어류 1개체(332.6 mm in SL)의 표본을 근거로 Acanthurus xanthopterus를 국내 첫기록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눈 앞에 노란색 가로줄 무늬가 있는 점,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4개의 푸른색 줄무늬가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노란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종의 신한국 명으로 '노랑무늬양쥐돔'으로 제안한다.

거문도 연안 갯고사리류 (극피동물문, 바다나리강)의 4한국미기록종 (Four Species of the Shallow-water Comantulids(Echinodermata, Crinoidea) from Geomundo Island; New Records in Korea)

  • 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251-262
    • /
    • 2001
  • 거문도 해안의 조하대에서 채집된 갯고사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바다나리목(Comantulida). 깃갯고사리과 (Comasteridae)의 가는밭깃갯고사리(Comantheria intermedia), 일본깃갯고사리(Comanthus japonicus), 햇님깃갯고사리 (C. solaster), 그리고 작은발깃갯고사리 (C. parvicirrus)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갯고사리류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 PDF

거문도를 중심으로 하는 세일링요트 안전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 - 전남 여수 거문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항 루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afe Navigation Route for a Sailing Yacht Focused on Geomundo (Port Hamilton))

  • 김인철;오현준;김동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4-180
    • /
    • 2016
  • 본 연구는 여수에서 출항하여 백도와 도서문화가 살아있는 거문도를 거쳐 제주 김녕항으로 이어지는 해양관광 크루즈 세일링 요트 항로를 제안하였다. 최근 해양레저 활성화에 비례하여 안전사고도 늘어나고 있으며, 세일링 요트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항로 개척은 지역별, 해역별로 조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문도의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면 해양문화의 소개, 국제요트대회유치, 다기능항으로 개발 등이 필요하고, 특히 해당 항로의 운항패턴과 밀집도 분석 등이 추가로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세일링 요트의 운항 안전율을 높여 지역 관광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Shrimp Beam Trawl Fisheries in the Adjacent Waters Geomundo, Korea)

  • 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1호
    • /
    • pp.63-76
    • /
    • 2003
  •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circ}C$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 박민정;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8
    • /
    • 2016
  • 본 연구는 거문도를 사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근대화 이전 거문도의 사회구조는 하나의 마을을 기본적인 공간단위로 하는 공동체 의례와 조직에 기초한 전통적인 사회로 각 마을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인의 이주라는 일제에 의한 강제된 근대화로 기존의 마을과는 별개로 형성되는 집단거주공간을 중심으로 근대화가 이식되고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개별 거주지 간 의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공동체 의례뿐만 아니라 새로운 근대적 사회조직의 출현과 그 성격도 변화하였다. 그 후 근대화 토착화기에는 선진어업기술 및 유통체계의 근대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근대적 규범이 정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관변조직 뿐만 아니라 각종 자생적 자치조직까지도 식민지 수탈정책을 보조하는 근대화에 역행하는 조직으로 전락하였다. 공간구조는 공동체의 영역 및 구성원의 외연적 확대로 마을 간의 연계성이 강화된 위계적인 구조로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강제된 근대화'라는 한계성으로 기존의 자율적이고 자생적 조직의 해체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의 붕괴라는 부작용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 PDF

남해안 6개 도서의 조하대 해조류 군집구조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on the Subtidal of Southern Six Islands, Korea)

  • 허진석;유현일;박은정;하동수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95-603
    • /
    • 2017
  • Th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subtidal zones of six study sit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between May and August 2015. A total of 132 seaweeds, comprising 10 green, 28 brown and 94 red Seaweed, were identified. The seaweed biomass was $80.32g\;dry\;wt.\;m^{-2}$ in average, and it was maximal at Geomundo ($166.94g\;dry\;wt.\;m^{-2}$) and minimal at Byeongpungdo ($14.52g\;dry\;wt.\;m^{-2}$). On the basis of the biomass, the Ecklonia cava was a representative species, distributed widely in the subtidal zone of the three islands (Yeoseodo, Geomundo, Baekdo). Also, the Sargassum sp. was dominant at Sejondo and Hongdo. The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Byeongpungdo, Sejondo, Geomundo) was characterized by high turbidity, low light transmittance and a lower habitat depth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Hongdo, Baekdo, Yeoseodo). As the water depth increased, the biomass decreased due to the lowered light transmittance. In Byeongpungdo and Sejondo, which showed high turbidity and low light transmittance, the degree of seaweed coverage was decreased with the depth of water. The ESGII ratio of the Ecological Status Group was higher than fourty percentage in Byeongpungdo and Baekdo. Community indices were as follows: dominance index (DI) 0.35-0.90, richness index (R) 7.03-17.93, evenness index (J′) 0.22-0.60, and diversity index (H′) 0.79-2.18. The Macroalgal zonation of the subtidal zone was calculated by the Ecklonia cava and Brown algal population on five islands(Byeongpungdo, Yeoseodo, Geomundo, Beakdo, Hongdo). On the other hand,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sp. dominated at Sejondo.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