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1초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 특성과 활용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Gatbawi, Mokpo, Korea)

  • 김해경;문병찬;고영구;윤석태;오강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12
  • 천연기념물 500호인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규모, 형태, 광물 조성, 화학 조성, 풍화 상태 등을 분석하였다. 갓바위 해안지형은 전형적인 침식지형으로 해식절벽, 해식노치, 해식대지, 타포니, 해식노치 등의 지형이 발달해 있다. 해식절벽은 수직적 경사를 보이고, 기저부는 파식에 의해 해식노치를 형성하며, 폭 3.5m 너비 20m 내외의 해식대지, 벌집구조의 타포니가 발달하여있다. 갓바위 암석의 주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흑운모, 견운모 등으로 구성되며, 석영과 장석이 우세한 결정질 응회암이다. 화학 조성은 $Al_2O_3$ 23.60~28.27 wt.%, $Na_2O$ 3.27~5.80 wt.%, Cl 0.11~0.20 wt.%로 지각평균보다 높다. 화학적 풍화지수(CAI)는 77.42~83.93%로 상당한 풍화가 진행되었다. 갓바위 자연경관의 관광 및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안내판 설치, 관찰 망원경 비치, 전문 해설사의 교육 및 활용, 유관 기관들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관광 상품 개발, 교과서나 참고서의 관련 삽화로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철도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의 현황과 과제 (Present Status and Future Vision of EIA for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 이현우;이영준;박영민;윤미경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6-302
    • /
    • 2004
  • After the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1992, developed countries are undertak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ation (EST)' projects. To meet the needs for EST, current transportation policies in Korea are rapidly reforming and one of its concerns is modernizing and upgrading railway freight system. Planning new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is increasing and subsequ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demands improvements, especially in both the EIA and decision making system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resent status of EIA for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especially, by analyzing the EIA documents accumulated for last six years. The EIA for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accounts for only $4.9\%$ of total project EIAs during 1998-2003. However, the portion is gradually increasing. Major environmental concerns for EIA in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were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nges, protection of rare organisms, air pollution, water quality, wast management, noise, etc. We also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impacts of railroad construction with those of vehicle road construction. The result shows that railroad construction usually requires 3${\~}$4 times longer tunnels and bridges for a given length than vehicle roa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amounts of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nges (road-cutting, embankment, devegetation, etc.) in railroad construction were generally less than $40\%$ of those in vehicle road construction. In order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railway systems, monitoring studies for environmental impacts of railroads such as habitat fragmentation and road kills, dispersal of alien plants, tunnelling effects on groundwater and vegetation, and noise impacts are highly required.

  • PDF

철도사업 환경영향평가와 환경관리(I)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Railways (I))

  • 이현우;이영준;박영민;이정호;윤미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6호
    • /
    • pp.295-305
    • /
    • 2004
  • After the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1992, developed countries are undertak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ation (EST)" projects. To meet the needs for EST, current transportation policies in Korea are rapidly reforming and one of its concerns is modernizing and upgrading railway freight system. Planning new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is increasing and subsequ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demands improvements, especially in both the EIA and decision making system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resent status of EIA for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especially, by analyzing the EIA documents for the last six years. The EIA for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accounts for only 4.9% of total 918 project EIAs during 1998-2003, and the portion is gradually increasing. Major environmental concerns for EIA in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were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nges, protection of rare organisms,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waste management, and noise, etc. We compare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impacts of railroad construction with those of vehicle road construction, based on environmental and construction-planning indicators appeared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Railroad construction usually requires longer tunnels and bridges for a given length than those for vehicle roa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amounts of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nges (road-cutting, embankment, devegetation, etc.) in railroad construction were generally less than 50% of those in vehicle road construction.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railway systems, monitoring studies for environmental impacts of railroads such as habitat fragmentation and road kills, dispersal of alien plants, tunnelling effects on groundwater and vegetation, and noise impacts are highly recommended.

Landsat 7 ETM+ 영상에서 얻은 지표온도와 지형인자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opographic Factors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 7 ETM+ Imagery)

  • 이진덕;방건준;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2-491
    • /
    • 2012
  • 인공위성영상은 적외선 채널을 이용하여 지표에서 복사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지표온도와 열섬현상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사면향과 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와 지표온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다소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면향과 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의 변화에 따라 지표온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Landsat 7 ETM+을 사용하여 연구하였으며 지표에서 발생하는 인본열을 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지표의 사면향은 지표온도분포에 중요한 인자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사면의 기울기는 태양의 고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성영상은 지표면과 이루는 각으로 인해 영상에 정확한 지표온도를 기록할 수 없지만, 사면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보정한 결과 평균 지표온도분포 분석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위성영상을 통해 지표발산 인본열 추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곡 용암대지 물거미 서식지의 지형특성과 식생 분포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Geo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pider(Argyroneta aquatica) Habitat in the Jeongok Lava Plateau, Central Korea)

  • 이민부;이상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7-73
    • /
    • 2017
  • The formation of the lava dam of the paleo lake blocked the entrance to the Chatancheon River on the Jeongok lava plateau and it suddenly transformed the terrestrial ecosystem into the aquatic one by the overflow. The spiders in the lava dam adapted in the wetland and evolved into water spiders that could survive by forming bubble houses. Since then, the lava dam was connected to the present Hantangang River due to the dissection and the lake became a terrestrial environment, a small area of marsh composed of primarily clay soil layer. Change in water level of the habitat and thus the extension of the terrestrial area made the species a endangered now.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of wetness and plant habitats of the vascular plant in the water spider habit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otal 180taxa are of 55 (30.6%) wetland plant groups and of 113 (62.8%) upland plant groups except facultative plant groups. Among the wetland plant groups, the Isachne globosa community occupied the largest area, where the water spiders were most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he types of vascular plant specie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sustaining healthy wetland ecosystem and the restoration of the habitat for the water spiders.

한반도 남부의 화강암 구릉대 지표피복물의 풍화 특색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ic Regolith in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영래;기근도;양재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3-137
    • /
    • 2012
  • 한반도 남부에는 적색의 지표피복물이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 교육에서는 라테라이트성 적색토로 규정해 왔다. 줄포, 나주, 영암에 분포하는 화강암 구릉대의 적색화된 풍화층을 대상으로 CIA(화학적풍화지수)와 A-CNK 삼각도를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칼슘과 나트륨의 용탈은 매우 강하게 진전되어 있지만 칼륨의 용탈이 미약한 상태이다. 스페인의 카올리나이트층과 카메룬의 라테라이트토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반도 남서부 지역의 풍화물은 백운모와 일라이트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단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적 함량이 증가하는 철분은 지표피복물 적색화의 주요 요인이지만, 라테라이트토가 강한 화학적 풍화로 인한 잔적물인 철분에 의한 적색화라면, 연구지역의 적색화는 철분의 함량과 화학적 풍화 강도 모두 그에 못 미친다. 따라서 한반도 남부 지역에 나타나는 적색의 지표피복물들을 성대적 개념의 라테라이트성 적색토로 규정하기에는 현재의 연구가 많이 부족하며, 추후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석 (Stratigraphic Analysis on Paleofluvial Outcrop underJeongok Basalt Layer in the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추가령 열곡의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발견된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의 층서 및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야외 조사 및 입도 분석 결과, 현무암층 하부의 자갈층과 모래층은 용암대지가 형성되기 이전에 한탄강에 의해 운반 퇴적된 하성 퇴적물로 판단된다. 주원소 분석 결과, 화학적 풍화도의 측면에서 현무암 풍화층인 JG2-3이 다른 5개 시료들과는 다른 이질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 원소 분석결과, 최하부에 위치한 자갈층은 현무암과 관계가 없는 한탄강 상류의 원 기반암에서 유래한 물질일 가능성이 높으며, 나머지 모든 층의 물질은 현무암층과 관련성이 매우 높다. OSL 연대 측정 결과, 전곡리 노두 일대에서는 약 4만 년 전까지 한탄강에 의한 하성 퇴적작용이 진행되었고, 이후 현무암 용암대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에 있어서 사면 미지형과 옛 주거지 분포와의 대응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Micro-Landforms and Distribution of the Ancient Dwelling Site in the Middle Western area, Korea)

  • 박지훈;최성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8
    • /
    • 2013
  • 본 연구목적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인 인천 영종도에 있어서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주거지들 중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주거지 각각 145기와 47기를 대상으로 개별 주거지들의 미지형 입지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가장 많이 밀집하는 구릉의 미지형은 각각 상부곡벽사면(64기, 44.1%)과 정부사면(39기, 83%)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볼 때, 조사지역의 경우,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가면서 주거지 최적 입지환경이 바뀌었으며 주거지가 입지하는 구릉의 미지형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약간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만강 하류 사구지형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 of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Korea and China)

  • 주철;이민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40
    • /
    • 2012
  • 두만강 하류의 사구는 주로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풍향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구가 발달한 지역의 인근 두만강 하상에는 사질성의 사주와 하중도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기술과 입도특성분석으로 볼 때 연구지역 사구의 형성과정은 퇴적환경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회룡봉, 경신-원정 및 두만강변 사구는 두만강이 운반해온 충적물이 하상에 퇴적되고, 다시 바람에 의해 인근의 사주단, 단구면과 보다 고도가 높은 침식 구릉지 등에서 퇴적된 것이다. 둘째, 방천-노동자지역에서의 이동사구는 첫 번째 유형과 유사하게 형성되었지만, 정착 사구는 수중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고창 장호리 해안사구의 수직 발달 과정 연구 (Vertically Development Processes of Jangho-ri Coastal Dune, West Coast of Korea)

  • 한민;김진철;양동윤;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9-92
    • /
    • 2016
  • Samples from two boreholes of coastal dune field at Jangho-ri coast, Gochang was studied. These were analyzed by grain size analysis geochemical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OSL dating metho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during the Holocene. The boreholes SB8 and SB9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sedimentary layers by their mean grain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upper sand layer is equivalent to the present coastal dune layer, which developed since 1,200 years ago; the silt layer in the middle to the dune slack or lagoon sedimentation layer, which developed between 1,200 and 6,000 years ago; and the sand layer at the bottom to the paleo coastal dune that developed between 6,000 and 7,000 years ago. It was proposed that the forming material of current coastal dune was supplied from the sandy flat in coastal area, while the middle silt layer was supplied from the weathered soil of a bed rock by the comparison with material of surrounding area. In the case of coastal dune, concentrated layer of san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buried about 300 and 1,200 years ago, which is identified as the little ice age. This study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Jangho-ri coastal dunes after Holocene Climate Optimum period, and it is likely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coastal dune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