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igraphic Analysis on Paleofluvial Outcrop underJeongok Basalt Layer in the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석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광률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study deals with the geochemical analyses on the stratigraphy and sedimentation of the paleofluvial outcrop under Jeongok basalt layer in Chugaryeong Rift Valley. The results of field survey and analysis show that the paleofluvial sand and gravel layers had been constructed before the arrival of basaltic lava in Jeongok area of Hantan River valley in central Korea. XRF, for the main elements analysis, results present that JG2-3, a test sample from basalt weathering layer,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5 other samples in the aspects of chemical weathering levels. ICP-MS, for analysis of the rare earth elements analysis, estimates that gravel layer, in the lowest part of the outcrop, had been originated from pre-lava bedrocks near the upper reach of the Hantan River, so the layer is almost not related to basalt layers. Finally, the OSL dating results in paleofluvial sedimentation had been in process until nearly 40,000 BP, before formation of lava plateau in the Jeongok area.

본 연구에서는 추가령 열곡의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발견된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의 층서 및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야외 조사 및 입도 분석 결과, 현무암층 하부의 자갈층과 모래층은 용암대지가 형성되기 이전에 한탄강에 의해 운반 퇴적된 하성 퇴적물로 판단된다. 주원소 분석 결과, 화학적 풍화도의 측면에서 현무암 풍화층인 JG2-3이 다른 5개 시료들과는 다른 이질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 원소 분석결과, 최하부에 위치한 자갈층은 현무암과 관계가 없는 한탄강 상류의 원 기반암에서 유래한 물질일 가능성이 높으며, 나머지 모든 층의 물질은 현무암층과 관련성이 매우 높다. OSL 연대 측정 결과, 전곡리 노두 일대에서는 약 4만 년 전까지 한탄강에 의한 하성 퇴적작용이 진행되었고, 이후 현무암 용암대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