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Languag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3초

GML을 이용한 인터넷 지리정보 서비스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ing Internet GIS Services Using the GML)

  • 장민철;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63
    • /
    • 2005
  • 최근 무선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GIS기반의 응용분야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종이나 플랫폼에서 응용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는 이러한 플랫폼간의 데이터 교환이나 포맷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Geographic Markup Language(GML)는 XML에 근거한 언어로서 인터넷이나 다양한 모바일 기기상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웍이나 무선 플랫폼을 통해 지리적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표현하는데 GML을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리정보 서비스들과 GML을 사용한 방법을 상호 비교하고, 이에 근거하여 GML을 사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 PDF

GML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ing GIS Services using the GML)

  • 전철민;고준환;장민철;김병화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5-450
    • /
    • 2004
  • Due to rapid development of If, difference types of services and platforms are being developed increasingly. With the emerging mobile technologi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lso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But it is known to have some limitations in being served in different types of mobile devices and platforms. While information services are limited by data format and data exchange between platforms,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is getting focused as the most promising technology as the solution to such problem. Geographic Markup Language (GML) is based on XML technology and is being frequently mentioned recently as the solution to service problem on different mobile devices as well as the internet.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framework to use the GML in order to transfer and represent geographical data through the on-line or wireless platforms. We compared different application types which are currently used with GML and proposed to improve GIS services using the GML in geographical data transfer and description.

  • PDF

지리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Review of the trend of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Korea (1945-1995))

  • 남상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7-328
    • /
    • 1996
  • 대한지리학회 창립 이후 우리 나라의 초.중등 학교 지리교육 개선에 기여하기 위 하여 산출된 연구업적을 검토함으로써, 기왕의 지리교육 연구의 성과와 미흡한 점을 파악하 고 미래지향적인 지리교육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 연 구는 그동안 양과 질의 양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특히 여섯번의 교육과정이 새 롭게 개정되는 과정에서 지리교과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현장의 지리교육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이 보다 발전되고 안정된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으로서는 지리교육의 성격, 문제점 및 개선방안 영역과 지리교육 목적.목표, 지리교육 심리영역에 대한 연구 중심, 연구영역 전반에 걸친 세분화와 전문화, 정의적 영역과 기능적 영역 그리고 초.중등의 연계성에 대한 고려, 더욱 증진된 지리학과 지리교육간의 협조관계의 수립을 통한 지리교육 언어개발, 지리교육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시맨틱 웹에 기초한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A Semantic Web Service for Tourism Information over the Mobile Web)

  • 이양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88-807
    • /
    • 2007
  • 웹 기술의 변화발전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지리정보의 웹 공유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의 하나이다.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정보를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론 및 기술로서, 기존의 웹과 온톨로지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개념화의 명시적인 사양이라고 정의되는 온톨로지와 이에 기반한 시맨틱 웹은 지리정보의 효과적인 공유와 검색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웹 상에서 사용자의 행동맥락에 부합되는 관광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맨틱 웹 서비스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관광지, 관광자원, 관광객의 활동 등이 체계적으로 개념화 및 조직화된 PARA(Place-Attraction-Resource-Activity) 온톨로지 모형을 구축하고, 관광객의 이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관광지와 연결된 전철 네트웍을 이 모형에 결합시킨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이에 따른 서버의 응답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데, PARA 온톨로지 모형과 연동되는XML 웹 서비스를 통해 개념기반의 관광정보 발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도쿄 관광정보의 검색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가용성이 테스트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공간 질의어 Geographical SQL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al SQL: a Spatial Query Language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 이민재;이영구;송주원;황규영;김장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126-128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통합하여 다루는 시스템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의 질의 언어는 비공간 데이터만을 잘 다룰 뿐, 공간 데이터는 다루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질의어를 사용할 수 없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해서는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공간 질의언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의 특징을 실펴보고 공간 질의어가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질의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기조의 질의어에 공간 객체와 공간 연산자를 서술할 수 있으며 하부 시스템에 구현된 공간 색인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공간 스캔과 공간 조인 방법을 활요하여 빠른 공간 질의 성능을 보인다.

전국 수어(手語)지명의 유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 Folktale of Sign Language Place Names)

  • 박문희;정욱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64-675
    • /
    • 2019
  • 이 연구는 전국 수어지명의 유래에 대한 것으로 수어지명에서 나타나는 한국수어 형태론적 특성과 어원론적 형태를 통해 유래를 알아보고자 전국의 한국농아인협회 각 시·군 지회를 통한 간행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어지명에서는 한자, 한글, 외래어 등에서의 차용성보다 토박이 수어지명 즉, 농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사용된 수어지명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명은 해당 지역의 문화, 정체성 등과 함께 역사를 나타내는 소중한 문화유산에 해당한다고 볼 때에 수어지명에 나타난 풍부한 도상성, 토박이 수어지명은 농문화 혹은 한국수어에 있어 보존, 전승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수어지명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특산품, 지리적 특성 등에 의한 수어지명이 현대에 이르러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변화되었거나, 특산품 자체가 사라진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져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어지명에서 볼 수 있는 농인의 시각중심적인 한국수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으며, 농문화사적인 자료보존 차원에서 매우 값진 유산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Identification of Chinese Personal Names in Unrestricted Texts

  • Cheung, Lawrence;Tsou, Benjamin K.;Sun, Mao-Song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28-35
    • /
    • 2002
  • Automatic identification of Chinese personal names in unrestricted texts is a key task in Chinese word segmentation, and can affect other NLP tasks such as word segment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if it is not properly addressed. This paper (1) demonstrates the problems of Chinese personal name identification in some If applications, (2) analyzes the structure of Chinese personal names, and (3) further presents the relevant processing strategies.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of Chinese personal names between Beijing and Hong Kong are highlighted at the end. It shows that variation in names across different Chinese communities constitutes a critical factor in designing Chinese personal name Identification algorithm.

  • PDF

'맞은편'은 어디인가? 공간언어의 모호성과 의사소통 문제 (Which Direction Is the Opposite Side? The Ambiguity of Spat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 이종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1-86
    • /
    • 2008
  • 공간정보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의사소통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맞은편' 이라는 공간언어를 통해 공간언어가 갖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이 사람들 간 의사소통 문제를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서 증명하는 것이다. 단순화된 '사거리'를 활용하는 평가도구를 통해 실험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맞은편'은 어디이며, 그 방향이 맞은편을 얼마나 정확하게 의미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이 한 방향 이상을 '맞은편'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맞은편' 이라는 용어가 갖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은 준거로 주어진 정사각형 건물의 수직과 수평 방향을 고르게 '맞은편'으로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준거가 되는 건물의 형태 변화, 준거가 되는 건물에 내재적 방향성 부여 등도 '맞은편' 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Intrinsic Justific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ubject)

  • 조철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4-472
    • /
    • 2005
  • 본 연구는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민성'과 '시민성의 공간' 에 대한 내재적 정당화에 관한 논의이다. Peters의 지식의 형식과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 따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검토하여 시민성을 내재적으로 정당화하였다. 지리학은 탈실증주의 패러다임의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공간' 중심에서 '인간'과 '사회'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이는 다름아닌 시민성의 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즉, 사회공간이론을 통해 가치중립적인 물리적 공간 개념을 거부하고, 가치내재적인 '시민성의 공간'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지식의 형식의 변화가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의 변화를 주도한다고 볼 때, 시민성은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으로서의 시민성은 사회과 교육목적을 그대로 수용하는 외재적 정당화가 아니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통해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때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시민성 공간에 토대한 시민성이라는 가치와 신념으로의 입문으로서의 지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을 가지고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