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difference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6초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AL SELECTION OF HAUL ROUTES BASED ON TIME SLOTS IN EARTHMOVING OPERATION

  • Sang-Hyeok Kang;Kyeong-Geun Baik;Hyun-Gi Baek;Hyeong-Gi Park;Jong-Won Se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34-1139
    • /
    • 2009
  • Haul routes for earthmoving operation need to be carefully selected because the decision on the haul routes could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ject's cost and time. This paper proposes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productivity of earthmoving operation that helps construction managers choose the best haul routes of trucks based on time slots. Also, a methodology for optimal selection of haul routes considering traff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conditions of the routes is explained. Raster data model is used to find an available shortest path based on cost weighted distance. A system was develop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for efficient database management and easy manipulation of graphical data. A real-world cas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 PDF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ffective Precipitation using Detailed Soil Map)

  • 김경탁;최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04
  •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는 유출모의를 위해서는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강우량인 유효강우량을 산정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SCS CN방법을 이용하여 유효강우량을 산청하기 위해 필요한 유역의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 및 토양도 중 정밀토양도의 이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밀토양도를 SCS CN방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SCS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토양도를 SCS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 분류할 때 허기술과 정정화(1987)의 분류기준과 정정화 등(1995)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은 IHP 시범유역인 위천 유역과 평창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유출모의는 HEC-1을 이용하였으며 지형인자의 계산은 WMS v6.1을 사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정밀토양도의 분류방법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의 차이는 유역에 따라서 달리 나타날 수 있으나, 정정화 등(1995)이 제시한 기준에 의해서 분류된 정밀토양도를 이용할 경우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두 지역에서 모두 실측치에 좀더 근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와 연관된 산악효과와 해양효과 (Orographic and Ocean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Snowfall Event over Yeongdong Region)

  • 조구희;권태영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57-71
    • /
    • 2012
  • Influences of orographic and ocean effect, which depend on the detailed geographic characteristics, upon winter time (December-February)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re investigated. Most of precipitation events in the Yeongdong region during the wintertime are associated with moist northeasterly (coming from the northeast direction) winds and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shows a great difference between Mountain area (Daegwallyeong) and Coastal area (Gangneung).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obtained from NCEP/NCAR Reanalysis Data and precipitation amount for each precipitation type is calculated. Mountain type precipitation is dominated by northeasterly wind speed of the low level (1000 hPa and 925 hPa) and characterized with more precipitation in mountain area than coastal area. However, Coastal type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cean and atmosphere, and characterized with more precipitation in coastal area than mountain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mountain typ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ind speed at 1000 hPa (925 hPa) and precipitation amount at Daegwallyeong is 0.60 (0.61).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 significant at 1% level. In the case of coastal typ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cean and 925 hPa (850 hPa) over the East sea area and precipitation amount at Gangneung is 0.33 (0.34). As for the mountain type precipitation,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mount at Daegwallyeong and low level wind speed data from wind profiler in Gangneung and Buoy in the East Sea. The results also show the similar behavior.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untain type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is closely related with easterly wind speed. Thu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ew selected meteorological variables can be a good indicator to estimate the precipitation totals in the Yeongdong region in winter time.

Frey씨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서 Thermography의 유용성 (The Effectiveness of Thermography in Diagnosis of Frey's Syndrome Following Parotidectomy)

  • 김현수;박범정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2-146
    • /
    • 2007
  • Objectives and Backgrounds : After parotidectomy, some of patients complain gustatory sweating, facial flushing and discomfort in the same area. A series of these symptoms are supposed to be caused by the aberrant regeneration of the secretory parasympathetic fibers to sweat glands and blood vessels of the skin following parotidectomy. In this study, we want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rmography to the Minor's starch-iodine tes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Frey's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 48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or superficial parotidectomy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4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subjective clinical questionnaire and the objective Minor's starchiodine 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this syndrome. Total 21 patients were confirmed as positive Frey's syndrome and infrared thermography was performed for them. Result : Frey's syndrome occurred in 21 patients(43.8%). The average temperature of parotidectomy site and normal opposite area were $27.65^{\circ}C\;and\;26.41^{\circ}C$ respectively. Thermography showed temperature difference in 20 patient(95.2%) an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1.0^{\circ}C$(p<0.001). The severity of symptoms were related with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p<0.05). Conclusion : Thermography is useful, non-invasive, simple and quantifying method to diagnose Frey's syndrome. Additionally, this geographic diagnosis is available to show the accurate area for botulinum toxin injection.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자료의 주야간 지표면 식별 특성 평가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High-Resolution Middle-Infrared Data for Day and Night Time)

  • 백승균;장동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3-125
    • /
    • 2012
  • 다목적실용위성 3A호에 탑재되는 고해상도의 중적외선 영상자료에 대한 지표면 식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 획득이 가능한 AHS(Airborne Hyperspectral Scanner) 자료를 사용하여 중적외선 영상 자료의 지표면 온도 산출 가능성과 토지피복도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AHS 열적외선 자료로 작성한 지표면 온도 영상과 AHS 중적외선 각 밴드의 화소값을 비교한 결과 주간과 야간 모두 밴드 68(중심파장 $4.64{\mu}m$)의 결정계수가 0.74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AHS 중적외선 밴드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한 결과 주간의 경우 지붕, 도로, 초지, 식생, 수역 등이 구분 가능했지만 야간의 경우 초지와 식생, 도로와 수역, 지붕과 도로 등 일부 클래스들이 서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AHS 중적외선 밴드의 지표면 식별 능력의 향상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간과 야간자료의 편차 영상을 구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한 결과 Zone 1과 Zone 2의 소지역별 분류정확도가 각각 67.5%, 64.3%로서, 주간 또는 야간 중적외선 밴드로 작성된 토지피복도에 비해 10% 이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고해상도 중적외선 밴드 영상자료는 지표면온도 산출시 지표 피복 특성을 고려한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되며, 지표면 식별 능력은 주간에 비해 야간이 낮으므로 주간과 야간의 편차 영상을 이용할 경우 지표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SODATA 기법을 이용한 RapidEye 영상으로부터 하천의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 River from the RapidEye Image Using ISODATA Algorithm)

  • 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4
    • /
    • 2012
  • 하천은 육지 표면에서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를 의미하며, 하천 매핑 작업은 하천유역의 지형 변화 연구 및 하천 유역의 홍수 모니터링 연구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하천의 수위변화로 인한 유역 내 지표면의 수위 및 유량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지반조사 기술은 하천 매핑 작업에 효과적이지 않다. 공간 정보 자료는 해당 지역에 접근하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 관한 지형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하천 지형 조사 및 하천 측량 등 하천 유역의 지형연구에 굉장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영상분류 기법 중의 하나인 ISODATA(Iterative Self_Organizing Data Analysis)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RapidEye 영상으로부터 하천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RapidEye 영상으로부터 NIR(Near InfraRed) 밴드 영상과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영상을 생성한 뒤, 이를 각각의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생성된 각각의 영상에 ISODATA 기법을 적용한 뒤, 후처리 과정을 통하여 각각의 영상으로부터 하천을 추출하도록 한다.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한 하천의 경계선 또한 Sobel 에지 추출 기법을 통하여 추출된다. 점검 점들을 이용하여 정확도 검증을 수행한 결과, NIR 밴드로부터 추출한 하천의 정확도가 NDVI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하천의 정확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산(韓國産)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 Gasterosteidae)의 인판(鱗板)의 지리적(地理的) 변이(變異) (Geographic Variation of Scutes in Eightspine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 from Korea)

  • 채병수;양홍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42-53
    • /
    • 1989
  • 휴전선(休戰線) 이남의 한반도(韓半島)에서 채집된 가시고기 P. sinensis의 12 개체군에 대하여 인판(鱗板)의 수 및 형태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인판(鱗板)의 수에 지리적(地理的) 경사(傾斜)는 보이지 않았지만 P. sinensis sinensis가 P. sinensis kaibarae 보다 다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어 두 아종(亞種) 간에 변이폭이 달랐으나 형산강 개체군은 매우 심한 변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인판(鱗板)의 크기는 금호강의 개체군이 가장 컸다. 형산강 개체군의 것은 크기도 작고 매우 퇴화적인 경향을 나타낼 뿐 아니라 semiarmatus형(型)의 인판배열(鱗板排列)을 지닌 개체도 발견되고 있어 P. sinensis의 특수형으로 취급하였다. 육봉화(陸封化)와 인판(鱗板)의 크기 사이의 관계에서 보아, 형산강의 개체군이 가장 먼저 육봉화(陸封化)되었으며, 금호강의 개체군을 제외한 다른 P. sinensis kaibarae 개체군들은 보다 늦은 시기에 육봉화(陸封化)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육봉화(陸封化)되어 있으면서 내륙 깊이 존재하고 있는 금호강의 개체군이 가장 잘 발달된 인판(鱗板)을 지니고 있으며 인판(鱗板)의 수도 적지 않다는 사실에서, 이 개체군에는 염분내성(鹽分耐性) 및 육봉화(陸封化)와 인판(鱗板)의 수 및 발달이 서로 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여러 사실로 보아 형산강과 금호강에 서식하고 있는 P. sinensis kaibarae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다 세밀한 조사가 요망된다.

  • PDF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이중배수체계기반 침수해석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Based on Dual-Drainage Scheme)

  • 이정영;진기호;하성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의 유무에 따른 도시지역의 침수특성을 이중배수체계기반의 2차원 침수 해석모형을 이용하여 각각 해석하고 해석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LiDAR 측량 기반 $1m{\times}1m$ 해상도의 표고모델과 표고모델 위에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표수 유입을 억제하는 격자를 생성한 표고모델의 2가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고, 2가지 지형조건을 2차원 침수해석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0m{\times}10m$ 해상도로 re-sampling 하였다. 분석 결과, CCTV 영상에 의한 실측 침수심 자료와 모의값을 비교한 결과, 건물을 고려하지 않은 지형자료를 사용한 경우 침수심이 과소 산출되었으나, 건물을 고려한 경우에는 실측값과 근사하게 모의되었다. 침수심의 차이는 침수 가능 면적의 변화에 따라 침수체적이 변하게 되므로,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수문량이 절대량으로 고정된다면 침수 가능영역이 큰 지형자료를 사용한 경우 침수심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침수흔적도와 비교한 침수면적은 두 지형자료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사하게 건물을 고려한 경우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침수면적과 침수심의 두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이중배수체계기반의 2차원 침수해석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유역의 침수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건물을 고려한 지형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UAV 열적외 영상을 활용한 피복재질별 표면온도 특성 분석 (Analysis of Surfac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by Land Surface Fabrics Using UAV TIR Images)

  • 송봉근;김경아;서경호;이승원;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2-175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 열환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UAV 영상 표면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피복재질별 표면온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UAV 영상 표면온도를 유사한 시기에 측정된 현장 실측 표면온도와 비교하였다. UAV 영상과 실측 표면온도와 비교한 결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피복재질은 회색 콘크리트 지붕 재질로 약 $7.8^{\circ}C$로 나타났다. 우레탄은 $0.3^{\circ}C$ 차이로 가장 적었다. 산점도를 분석한 결과 설명력이 63.75%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면온도가 가장 높은 재질은 금속지붕으로 $48.9^{\circ}C$로 나타났고, 우레탄($43.4^{\circ}C$), 회색 콘크리트 지붕($42.9^{\circ}C$) 순이었다. 표면온도가 낮은 재질은 나지($30.2^{\circ}C$), 수목 및 잔디($30.2^{\circ}C$), 흰색 콘크리트 지붕($34.9^{\circ}C$)이었다. UAV 영상 표면온도 자료는 피복재질의 열적특성을 정밀하게 분석 가능하였다. 향후,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UAV 영상의 정확성 검 보정과 위성영상과 연계하여 UAV 영상 자료의 활용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가침박달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유전구조 분석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Exochorda serratifolia in South Korea)

  • 홍경낙;이제완;강진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22-128
    • /
    • 2013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가침박달 9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발된 6개 ISSR primer에서 다형성 band는 35개로 primer당 평균 5.8개(S.D.=2.32), 집단별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은 평균 78.7%로 나타났다. AMOVA에서 전체 유전변이의 27.8%는 집단간 차이에 기인하며, 72.2%는 집단내 개체 간 차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베이즈 방법에 따른 유전분화는 ${\theta}^{11}$$G_{ST}$가 각각 0.249와 0.227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집단에 대한 근친교배율은 0.412로 계산되었다. 집단간의 지리적 거리와 유전적 거리에 대한 상관성 분석에서 지리적 거리가 멀수록 유전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즈 군집분석에서 가침박달 집단은 유전변이 분포에 따라서 1) 대구 지역의 2집단 및 안동, 청송, 예천 집단이 하나의 구역으로, 그리고 2) 단양, 영월 집단과 3) 임실, 청주 집단이 각각 하나의 구역으로 묶여서 총 3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구역의 유전변이는 백두대간과 정맥의 산줄기를 경계로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AMOVA에서 전체 유전변이량의 10.0%는 구역간, 19.7%는 집단간, 나머지 70.3%는 집단내 개체간 차이로 설명되었다. 아울러 가침박달의 현지내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유전다양성 평가와 유전구조 분석결과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