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4,240건 처리시간 0.031초

Implementation of a Geo-Semantic App by Combining Mobile User Contexts with Geographic Ontologies

  • Lee, Ha-Jung;Lee, Yang-W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3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 GIS framework for geo-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We built geographic ontologies of POI (point of interest) and weather information for use in the combination of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in a fully integrated database. We also implemented a geo-semantic app for Android-based smartphones that can extract more appropriate POIs in terms of user contexts and geographic ontologies and can visualize the POIs using Google Maps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 feasibility tests showed our geo-semantic app can provide pertinent POI information according to mobile user contexts such as location, time, schedule, and weather. We can discover a baking CVS (convenience store) in the test of bakery search and can find out a drive-in theater for a not rainy day, which are good examples of the geo-semantic query using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As future work, we should need ontology-based inference systems and the LOD (linked open data) of various ontologies for more advanced sharing of geographic knowledge.

국가지리정보시스템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연계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e for Intergrating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National Very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 유근배;황철수;구자용;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61-75
    • /
    • 1997
  •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should be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geographic data collected by each national organiz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geographic database systemically. To achieve this object, NGIS database would be better connected to National Very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ocess of research, some problems related to Korean NGIS are found. These are standardization, compatibility, extension, issue of making and opening digital map, and issue related to land information. So, it is required that pilot project appl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erms of National Very High-Speed computer network project. This project is to contain two main theme building of physical network and special management of network which is related with NGIS.

  • PDF

IGIS: 웹 상에서의 인터넷 지리 정보 시스템 (IGIS: An 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WWW)

  • 문진용;구용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4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인터넷에서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지리적 정보를 좀 더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웹을 통하여 제공해 주고, 또한 공간 데이타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지리 정보시스템인 IGIS(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한다. IGIS는 네트워크 상의 전송 시간을 줄이면서 모든 지리 특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웹과의 연동을 위해 CGI를 이용한 벡터 지도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IGIS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대화식으로 지리 정보를 검색하고, 출력된 주변지도를 확대i축소 또는 이동하며 원하는 상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ssembl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SPOT-5 Satellite Imagery : A Case Study on North Korea)

  • 사공호상;박진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4-142
    • /
    • 2005
  • 본 연구는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지라정보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험연구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접근이 불가능한 북한지역의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지상 기준점은 일제시대에 제작된 삼각점으로, 미군정에 의해 갱신된 후 1960년대에 국립지리원에 전달된 것이다. 이러한 삼각점을 이용하여 지상 기준점을 획득하고 입체영상을 구성한 후 설계된 레이어에 따라 북한의 지리정보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축된 지리정보의 위치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평균 수평오차가 8.755m로 나타나, 축척 1:25,000에 해당하는 공공측량 작업 규정의 오차한계 17.5m를 만족하였다.

  • PDF

컴퓨터 그래픽스를 이용한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성과 설계기법 (Organization and Design Techniqu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Computer Graphics)

  • 金光埴;崔潤哲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70
    • /
    • 1987
  • The main purpose of is paper is to review and develope design techniques with respect 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using computer graphic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a system designed to capture, store, manipulate, retrieve and display various data about geographic location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a significan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various design techniques of GIS based upon computer graphice were discussed.

지형 정보를 사용한 다중 지상 표적 추적 알고리즘의 연구 (Study on Multiple Ground Target Tracking Algorith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 김인택;이응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73-180
    • /
    • 2000
  • During the last decade many researches have been working on multiple target tracking problem in the area of radar application,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tracking problem and the concept of sensor fusion was established as an effort. In this paper util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for ground target tracking is investigated and performance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applying sensor fusion is described. Geographic information is used in three aspects: association masking target measurement and re-striction of removing true target.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using two sensors shows better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racking but a single with geographic information is a winner in reducing the number of false tracks.

  • PDF

3차원 지형정보를 활용한 조종석 디스플레이 (Cockpit Display using 3D Geographic Information)

  • 김인중;황호연;박성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24
    • /
    • 2011
  • In this research, a cockpit display system using 3 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was developed. A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from WGS84 to TM was first studied. Octree data structure was used for efficient 2D and 3D graphic display. Also, a 3D graphic engine was developed for fast display with large amount of geographic data which can be practically used in aircraft onboard computer having low performance. This 3D engine contains additional function such as geographic and object information loading, many kinds of camera mode, aircraft position and rotation control function, character strip display. In the future research, actual GPS signal should be us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help pilot's decision should be display.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지리정보 DB 연구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for Facilitating Regional Development)

  • 김항집;최봉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80
    • /
    • 2002
  • 본 연구는 GIS와 지리정보 DB가 지역계획이나 도시계획을 위한 단순한 기능적 도구가 아니라,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지역정보기반으로서 구축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지리정보 DB 구축사례를 분석하고, 정보사회에서 GIS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개발과 연계되는 지리정보 DB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의 내용적 기술적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서술하였다. 즉, 향후의 지역 지리정보는 내용적으로는 다양화, 충실화, 기능화되고, 기술적으로는 메타자료의 구축,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DB구조의 유연성을 갖추어야 하며, 제도적으로는 유통체계 확립 민관 정보공유, 지리정보 공개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 PDF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홍수방어 시뮬레이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홍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3-45
    • /
    • 2003
  • 이 연구는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를 연결하는 지리-객체필드 방법을 규정하고, 수계-객체필드를 이용하여 새만금호 수량과 배수갑문수위를 조작하는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의 홍수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그리고 새만금 수계 수자원에 발생하는 자연현상과 인공현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 수계-객체필드로 구성되는 객체지향 클래스 계층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홍수통제 알고리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시에 UML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리-객체필드와 단계적인 부분 지리-객체필드의 클래스계층구조를 가시화하고자 하며, 각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ZEUS/COM과 Win32 API을 이용한 Visual Basic 6.0을 사용함으로써 각각 호환성과 재사용성 기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물관리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토환경지리정보 고도화 전략 연구 -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생태자연도, 토지피복지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dvancing Strategy for National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s - Focused on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Ecological Map and Land Cover Map -)

  • 이종수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2호
    • /
    • pp.97-122
    • /
    • 2007
  • 환경부는 2006년에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생태자연도, 토지피복지도 등 전국단위 국토환경지리정보 구축을 완료하였다. 이제는 국토환경지리정보의 복합적인 특성을 감안한 고도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지리정보 여건분석과 정보화 추세를 반영하여 국토환경지리정보의 고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국토환경지리정보는 2차 자료 특성과 단위 업무별 또는 단위 부서별로 분산되어 관리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국토환경지리정보에 기반한 정책수립 지원과 복합적인 정보가 필요한 수요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행정업무처리 위주의 정보체계에서 의사결정지원 중심으로 정보체계를 전환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지리정보 고도화의 비전을 "국토환경지리정보 고도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체계 구현"으로 설정하였다.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로는 지식기반의 전략적 지리정보 구축, 고객중심의 투명한 정보공개 기반 마련, 확장 통합형 국토환경지리정보 구축, 국토환경지리정보에 기반한 환경행정 실현, 국토환경지리정보 활용도 극대화 효율적 국토환경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으로 설정하였다.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품질관리프로그램의 개발, 환경정보 통합제공체계 구축, 정보수집, 시스템 구축, 시스템 활용, 시스템 관리측면에서 법제도 정비방안, 업무프로세스, 인력 및 조직, 법 제도, 정보기술 부문의 운영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토환경지리정보의 양적 팽창 위주에서 진일보하여 질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적 전환계기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고도화 전략이 모든 국토환경지리정보와 환경행정 현황을 반영하였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에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실제 환경행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토환경지리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범주화, 관련자 면담 등을 포함한 보다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PDF